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건축사/건축일반
· ISBN : 9788972975267
· 쪽수 : 532쪽
· 출판일 : 2007-04-10
책 소개
목차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을 내면서
<그림으로 보는 한국건축용어> 서문
목재
침엽수와 활엽수 l 수목의 구조와 특성 l 목재의 주요 성질
건축유형
성곽 l 궁궐 l 관아 l 사찰 l 마을 l 살림집 l 유교건축 l 원림과 누정 l 탑
건축구조
보식 l 귀틀식 l 천두식 l 조적식 l 일체식
지정과 기초
토축기초, 향토기초 l 입사기초 l 적심석기초 l 장대석기초 l 회축기초 l 달고와 달고질
기단
토축기단 l 자연석기단 l 장대석기단 l 가구식기단 l 전축기단 l 와적기단 l 혼합식기단 l 귀특석 l 월대 l 댓돌 l 방전 l 디딤돌 l 계단
초석
초반과 초석 l 자연석초석 l 원형초석 l 방형초석 l 다각형초석 l 사다리형초석 l 장주초석 l 고맥이석과 고맥이초석 l 활주초석 l 심주초석 l 특수형초석
평면
칸 l 평면구성 l 평면형식
기둥
1. 기둥 세부명칭
2. 기둥의 종류 - 나무기둥과 돌기둥 l 원기둥과 각기둥 l 흘림기둥 l 도랑주 l 고주, 평주, 귓기둥 l 어미기둥 l 심주와 사천주 l 누상주와 누하주 l 활주 l 굴림주 l 동자주 l 동바리기둥 l 다림보기와 그렝이 l 귀솟음과 안쏠림
공포
1. 공포의 구성부재 - 주두 l 소로 l 첨차 l 살미 l 익공 l 행공 l 귀포 l 안초공
2. 공포의 종류 - 민도리식 l 포식 l 익공식
3. 공포의 배열 - 주심포형식 l 다포형식
가구
삼량가 l 평사량가 l 오량가 l 칠량가 l 구량가 l 보와보아지 l 맞보 l 대들보, 중보, 종보 l 툇보 l 충량 l 귓보와 귀접이보 l 우미량 l 창방 l 평방 l 도리 l 장혀 l 화반 l 대공
지붕가구
처마 l 추녀와 사래 l 서까래 l 평고대와 연함 l 개판과 산자 l 합각 및 박공 l 외기
지붕
1. 지붕의 종류 - 맞배지붕 l 우진각지붕 l 팔작지붕 l 모임지붕 l 까치구멍집 l 기와지붕의 구성 l 지붕마루 l 초가지붕의 구성 l 너와지붕 및 굴피지붕의 구성
2. 기와의 종류 - 평와 l 막새기와 l 장식기와 l 특수기와
벽과 인방
벽선 l 인방 l 토벽 l 판벽 l 심벽 l 합각벽 l 화방벽 l 포벽
문과 창호
문의 의미 l 개폐방식 l 대문 l 중문과 협문 l 일주문 l 누문 l 홍살문 l 정려 및 효자문 l 머름 l 창호의 종류 l 살창 l 판문 l 판문장식 l 살창장식
마루
우물마루 l 장마루 l 대청 l 툇마루 l 쪽마루 l 누마루 l 들마루
온돌
아궁이와 부뚜막 l 고래와 개자리 l 연도와 굴뚝
천장
우물천장 l 연등천장 l 귀접이천장 l 순각반자 l 눈썹천장 l 빗천장 l 종이반자 l 소경반자 l 고미반자 l 보개천장
난간
계자난간 l 평난간 l 돌난간
단청
1. 단청의 종류 - 가칠단청 l 긋기단청 l 모로단청 l 금단청
2. 무늬의 구성 - 머리초 l 금문 l 별화 l 부리초 l 궁창초 l 반자초
3. 단청 시공 - 초안도 l 출초 l 천초 l 조채 l 아교포수 l 가칠 l 타분 l 도채 l 먹기화 l 들기름칠
장엄장식
닫집 l 어탑 l 사자 l 용 l 해태와 사령 l 드무 l 풍경 l 주련 l 편액 l 만자 l 태극 l 귀면 l 십이지신상 l 사물
이음과 맞춤
1. 이음 - 맞댄이음 l 반턱이음 l 주먹장이음 l 나비장이음 l 맞장부이음 l 엇걸이산지이음 l 메뚜기장이음 l 촉이음 l 턱솔맞댄이음
2. 맞춤 - 사개맞춤 l 상투걸이맞춤 l 통맞춤 l 반턱맞춤 l 주먹장맞춤 l 두겁주먹장맞춤 l 내리주먹장맞춤 l 장부맞춤 l 지옥장부맞춤 l 트인장부맞춤 l 연귀맞춤 l 제비초리맞춤 l 메?뚜기장부맞춤
3. 쪽매
건축연장
윤도판 l 자 l 먹통 l 톱 l 대패 l 자귀 l 끌 l 송곳 l 정
담장
사고석담장 l 꽃담 l 와편담장 l 돌담 l 토담 l 토석담 l 생울 l 싸리울 l 바자울 l 내외담 l 내담과 샛담 l 곡담 l 유
성곽
1. 성곽의 종류 - 도성 l 읍성 l 목책성 l 토성 l 석성 l 전축성 l 산성 l 평지성 l 평산성
2. 성곽의 구성 - 성문 l 암문 l 수문 l 옹성 l 체성 l 적대 l 현안 l 여장 l 치 l 각루 l 용도 l 해자 l 장대 l 봉수대
석조물
석탑 l 석등 l 부도 l 당간 l 부도비 l 하마비 l 석조 l 석누조 l 노둣돌 l 품계석 l 정료대 l 망료위 l 관세위 l 봉발대 l 계단
다리
징검다리 l 나무다리 l 평석교 l 홍예교 l 배다리 l 누교
무덤
석물배치 l 호석 l 석양과 석호 l 묘비 l 혼유석 l 상석 l 계체석 l 망주석 l 장명등 l 문인석과 무인석 l 정자각 l 신도비
부록
용어표기법 l 전각 명칭 l 사찰 내각 전각의 의미 l 여래상 l 보상상 l 수인 l 고건축 관련 척도 l 동양 비교연표 l 연호 및 간지 사용 실례 l 한.중.일 연호(가나다 순) l 왕조표 l 간지표 l 가볼만한 유적 l 시각 방위표
찾아보기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물마루
한옥에서만 나타나는 고유한 마루깔기 형식이다. 마치 우물정(井)자와 같이 깔았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우물마루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기둥과 기둥 사이에 긴 장선을 건너지르는데 이를 장귀틀(長耳機)이라고 한다. 그리고 장귀틀 사이에는 다시 일정한 간격으로 장귀틀과 모양은 같지만 짧은 장선을 보낸다. 이를 동귀틀(童耳機)이라고 한다. 동귀틀 옆에는 길게 홈이 파이고 여기에 마루청판(抹樓廳板)을 끼워 마감한다. 마루청판은 목재의 변재부분을 이용하여 윗면만 대패로 다듬고 아랫면은 피죽이 붙은 채로 사용하면 튼튼하다. 나무는 수축 이완 등의 변형이 적은 널안 쪽을 위로 오게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우물마루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건조수축이 심한 우리나라 기후에 적합한 마루형식이다. 나무가 말라 마루청판 사이가 벌어지면 마루를 다 뜯지 않아도 한 장 한 장 촘촘히 밀어 넣고 한 장 더 보강해 넣으면 되는 효율적인 마루이다. 따라서 한국도 고대에는 장마루가 보편적이었을 것이나 차츰 기후조건에 맞는 우물마루로 발전해갔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