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풍석 서유구 연구 下

풍석 서유구 연구 下

김왕직, 이봉규, 송지원, 이민주, 문석윤 (지은이), 재단법인 실시학사
사람의무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1,25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풍석 서유구 연구 下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풍석 서유구 연구 下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91155501375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15-11-30

책 소개

실시학사 실학연구총서 열 번째 책. 조선 최대의 실용백과사전이라 불리는 <임원경제지>의 저자 풍석 서유구가 건축.복식.음악.양생.예학 분야에서 구축해놓은 학문적 성취에 대해 다섯 명의 전문가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목차

· 간행사 - 실학연구총서를 펴내며
· 이 책을 내면서

· 「贍用志」를 통해 본 楓石의 건축론 ‘ 김왕직‘
1. 서론
2. 배치와 평면 형식
3. 건물의 비례
4. 지붕잇기
5. 온돌 제도
6. 창호 제도
7. 결론

· 楓石의 복식 분류와 ‘鄕居養志’ ‘ 이민주‘
1. 머리말
2. 경화세족(京華世族)으로서의 서유구 집안
3. 17~18세기 의생활 문화
4. 서유구의 복식 분류
5. 서유구와 향거양지
6. 맺음말

· 「林園經濟志」를 통해 본 楓石의 음악 생활 ‘ 송지원‘
1. 머리말
2. 조선 후기 문인 지식층의 음악 활동
3. 「유예지」와 조선 후기 음악
4. 맺음말

· 楓石 徐有? 「?養志」의 형성에 대한 연구 ‘ 문석윤 ‘
1. 서론
2. 「보양지」 목차 구성에 나타난 기본 구조와 성격
3. 「보양지」 인용 문헌 분석 : 주요 인용 서목(引用書目)과 인용 빈도
4. 「수양총서(壽養叢書)」와의 관련성 문제
5. 「보양지」 형성 과정의 재구성
6. 풍석의 안설(按說)에 대한 분석
7. 「보양지」 편성의 특징
8. 맺음말

· 「林園經濟志」를 통해 본 楓石의 禮學과 經濟觀 ‘ 이봉규‘
1. 서론
2. 서유구 예학의 연원
3. 「향례지(鄕禮志)」의 예식 내용과 특성
4. 「예규지(倪圭志)」의 경제관과 실학적 특색
5. 맺음말

·「풍석 서유구 연구(하)」 집담회

·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왕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교수이자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이다. 한국건축역사학회 15대 회장을 역임했으며 한옥기술개발 연구로 제9회 대한민국한류대상(2019)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개정증보판)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2025), 《우리 정자: 경상도》(공저, 2021), 《우리 옛집》(공저, 2015) 등 다수의 전통문화 유산 및 한옥 관련 도서가 있다.
펼치기
이봉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철학과 교수 저서로 『다산 정약용 연구』(공저), 『서학의 충격과 접변』(공저), 『이황』 등이 있고, 논문으로 「인륜: 쟁탈성 해소를 위한 유교적 구성」, 「동서의 지적 交錯: 『천주실의』의 理 해석과 그 반향」, 「초기 실학 연구의 학술사적 의의」 등이 있다.
펼치기
송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한국음악학 전공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비전임교수로 강의하고 있으며 국악방송에서 〈국악산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공연문화학회 명예회장이다. 조선시대의 음악사상사, 음악문화사, 음악사회사 분야의 연구를 통해 인간과 문화, 사회, 사상의 관점에서 조선시대를 읽어 내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공연예술 및 축제와 의례에 대한 관심도 크다. 2002년 제3회 이혜구 학술상과 2013년 제17회 난계악학대상을 수상했다. 한국공연문화학회 회장과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의 국악연구실장,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임연구원 및 연구교수 등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정조의 음악정책』, 『한국음악의 거장들』, 『조선의 오케스트라, 우주의 선율을 연주하다』, 『음악, 삶의 역사를 만나다』(공저), 『새로 쓰는 예술사』(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문석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유가철학 전공. 1963년생으로, 1985년 2월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1987년 2월 석사학위(「韓非子의 法思想」), 1995년 8월 박사학위(「朝鮮 後期 湖洛論辨의 成立史 硏究」)를 받았다. 1995년 9월부터 2006년 8월까지 명지대학교 철학과에 재직하였으며, 2006년 9월부터 현재까지 경희대학교 철학과에 재직 중이다.
펼치기
재단법인 실시학사 (기획)    정보 더보기
실학사상의 계승·발전을 위한 학술연구와 지원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2010년 설립된 공익재단법인이다. 재단은 벽사 이우성 선생이 1990년 서울 대치동에서 문을 연 ‘실시학사’가 그 모태로, 2010년 모하 이헌조 선생의 사재 출연으로 공익재단법인으로 전환되었다. 실학사상의 학술연구팀을 구성하여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그 연구 성과를 모아 ‘실시학사 실학연구총서’로 출간하고 있다. 또한 재단은 실학 관련 고전을 번역한 ‘실시학사 실학번역총서’를 속속 출간하고 있고, 실학 관련 연구자들의 업적을 현창하고 신진학자를 격려하기 위한 사업으로 ‘벽사학술상’과 ‘모하실학논문상’을 제정하여 시상하는 등 실학 사상의 전파와 교류를 위한 출판, 행사, 교육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재단은 1990년대부터 경학 관계 저술을 강독 번역해온 ‘경학연구회’와 한국한문학 고전을 강독 번역해온 ‘고전문학연구회’, 두 연구회의 공동학술연구모임 등 재단 산하 연구회의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우수한 실학연구자 육성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재단은 앞으로도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서 실학사상이 개화기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근현대에 걸쳐서 우리나라 발전에 어떤 역할을 하였으며, 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를 연구하게 될 것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서유구가 구축하고자 한 사대부의 삶은 전통적인 유학자의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이념을 배제한 것은 아니었지만, 수기의 영역에 실제적인 생산 영역을 포괄하고, 그것을 단순히 통치와 관리의 관점이 아니라 생산자의 관점에서 이행함으로써 수기를 치인에 종속시키는 전통적 구도를 넘어선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즉, 그는 생산 활동을 사대부의 삶의 본질적인 부분으로 이해하고, 전통적인 사대부 상을 넘어서는 새로운 사대부의 상을 제시했다. 그에 따르면, 사대부는 단지 관료가 될 자격을 갖춘 문인 교양인이 아니라 생산인으로서, 향촌에서도 자신의 독자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존재로 자리매김했다. 생산 활동은 그의 경제적 기반을, 문인 교양은 그의 정신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사대부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사대부 자신의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반성을 배경으로 한 것으로서, 그것은 이른바 조선에서는 실학의 시대에 일어나고 있던 한 양상이었다. 도시적 삶의 독자성이 비교적 분명하지 않거나 취약한 상황에서, 그리고 농업 이외의 산업적 기반이 마찬가지로 미약한 상황 속에서 사대부가 선택할 수 있는 삶의 방식은 향촌에서 농업 생산에 종사하면서, 동시에 사대부로서의 유교적 교양과 철학을 연마하고,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공동체를 구성해 가는 것이 될 것이다. 근대성에 대한 최근의 성찰 및 성과를 배경으로 하여 그러한 삶의 방식이 가지는 함의와 새로움을 곰곰이 음미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풍석 서유구 「보양지」의 형성에 대한 연구'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