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내과 > 신장병
· ISBN : 9788973316519
· 출판일 : 2006-11-01
목차
머리말 xiii
저자 약력 xiv
Chapter 01 신장의 구조 1
1. 신장의 일반구조 1
1) 육안적 구조 1
2) 신장의 혈액순환 3
3) 신장의 림프순환 3
2. 신장의 현미경적 구조 4
1) 사구체 5
2) 세뇨관 8
3) 사구체옆장치 11
4) 간질 13
Chapter 02 신장 생리 15
1. 신혈류 역학 및 자동조절 17
1) 신혈류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18
2) 신혈류량의 측정 18
3) 신혈류량의 자동조절 20
2. 사구체여과와 선택적 투과성 21
1) 사구체여과율의 자동조절 22
2) 사구체여과장벽 22
3) 사구체여과의 힘 22
4) 사구체여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24
5) 사구체여과율의 측정 25
3. 세뇨관의 기능: 재흡수와 분비 26
1) 근위세관 28
2) 헨레고리 30
3) 원위세관과 집합관 31
4. 요 농축과 희석 33
1) 요희석 33
2) 요농축 34
3) 요농축의 기전 35
4) 삼투질 청소율과 유리수분 청소율 37
5. 체액량 조절의 생리 39
1) 체액과 전해질의 분포 40
2) 체액량의 측정 42
3) 체액의 이동 43
4) 체액량의 조절기전 46
6. 체액장력 조절의 생리 50
1) 체액장력 조절의 생리적 의의 50
2) 혈장 삼투질농도의 측정 51
3) 체액장력의 조절기전 51
7. 칼륨 항상성 55
1) 세포내액의 칼륨 완충작용 57
2) 신장에서 칼륨 배설의 조절 58
8. 체액의 산-염기 평형 60
1) 체액의 완충 60
2) 호흡을 통한 산-염기 조절 62
3) 신장을 통한 산-염기 조절 63
4) 혈장과 뇌척수액 사이의 pH 불균형 66
Chapter 03 체액량 장애 69
1. 체액량 감소 69
1) 정의 69
2) 원인 및 병인 70
3) 임상증상 72
4) 진단 73
5) 치료 74
2. 순환장애에 의한 체액량 이상 75
1) 정의 75
2) 병인 75
3) 진단과 치료 76
3. 체액량 과다 77
1) 정의 77
2) 원인 및 병인 78
3) 진단과 치료 79
Chapter 04 삼투질농도 조절 장애 83
1. 저장성 장애 83
1) 정의 83
2) 병인 84
2. 고장성 장애 94
1) 정의 94
2) 병인 94
3) 임상양상과 진단 95
4) 치료 96
Chapter 05 칼륨 균형 장애 99
1. 저칼륨혈증 99
1) 정의 99
2) 병인 100
3) 임상양상 104
4) 치료 지침 106
2. 고칼륨혈증 107
1) 정의 107
2) 병인 및 원인 107
3) 임상양상 110
4) 고칼륨혈증의 치료 111
Chapter 06 산-염기 장애 115
1. 산-염기 장애의 정의 115
2. 보상 작용 116
3. 산-염기 장애의 진단 118
1) 일차성 및 혼합형 산-염기 장애 118
2) 음이온 차 118
3) 산-염기 장애 진단의 실제 119
4. 대사성 산증 120
1) 대사성 산증이 전신에 미치는 영향 120
2) 원인 121
3) 증가된 음이온 차 대사성 산증 124
4) 정상 음이온 차(고염소혈증성) 대사성 산증 128
5) 대사성 산증의 일반적인 치료 130
5. 대사성 알칼리증 130
1) 대사성 알칼리증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131
2) 원인 131
3) 치료 135
6. 호흡성 산증 135
1) 임상양상 136
2) 진단 137
3) 치료 137
7. 호흡성 알칼리증 137
1) 임상증상 138
2) 진단 138
3) 치료 139
Chapter 07 신 질환의 진단적 접근 141
1. 신부전 환자의 임상적 접근 142
2. 신기능 검사 143
1) 소변검사 143
2) 요 현미경검사 145
3) 사구체여과율 146
4) 요농축능 147
5) 요희석능 147
6) 요 전해질 검사 147
7) 신 질환 평가를 위한 혈청학적 및 소변검사 148
3. 신생검 149
Chapter 08 신 질환의 영상진단검사 151
1. 신 질환의 방사선 검사 152
1) 검사 종류 152
2) 신 질환들의 영상 소견 158
2. 신 질환의 핵의학 검사 168
1) 방사성 의약품 168
2) 신장스캔의 종류 및 정상소견 170
Chapter 09 급성 신부전 175
1. 정의 175
2. 원인 및 병태생리 176
1) 신전성 신부전 176
2) 신성 신부전 176
3) 신후성 신부전 180
3. 임상증상 180
4. 진단 181
1) 병력 및 이학적 소견 181
2) 소변 검사 182
3) 소변의 생화학적 검사 182
4) 방사선학적 검사 183
5. 합병증 183
6. 치료 184
1) 교정 가능한 원인의 제거 및 신손상의 예방 184
2) 요량 증가를 위한 노력 184
3) 보존적 치료 184
4) 투석치료 185
7. 예후 186
Chapter 10 신증후 출혈열 189
1. 정의 189
2. 연구과정 190
3. 바이러스 구조와 역학 192
4. 병리 193
5. 임상경과 193
6. 진단 195
7. 합병증과 신외증상 196
8. 치료와 예방 196
Chapter 11 만성 신부전 199
1. 만성 신 질환(Chronic Kidney Disease, CKD)의 정의 199
2. 역학 200
3. 원인 200
4. 만성 신부전의 병태생리 201
1) 신기능 진행의 개요 201
2) 신원 적응기전의 개념 202
5. 요독증성 독성 203
6. 요독증의 병태생리 203
1) 전해질, 산-염기대사 이상 203
2) 고혈압 204
3) 심혈관계 위험요소 204
4) 요독 증후군 204
5) 소화기계 장애 205
6) 요독성 장막염 205
7) 소양증 205
8) 신성 골이영양증 206
9) 내분비 기능 207
10) 신경계 장애 208
11) 혈액학적 이상 208
12) 면역계 이상 208
7. 감별진단 208
8. 진단 209
1) 병력청취 209
2) 이학적 검사 210
3) 검사실 소견 210
4) 영상진단 210
9. 요독증의 증상 211
10. 치료 212
1) 신부전의 급성 악화요인에 대한 치료 212
2) 특수 합병증 치료 213
3) 식이요법과 약리학적 중재 215
4) 경과 관찰 217
5) 투석치료의 시작 시기 219
Chapter 12 말기 신부전증의 치료(투석요법) 221
1. 혈액투석 222
1) 역사적 배경 222
2) 혈액투석의 원리 223
3) 혈액투석의 기본구조 223
4) 혈관접근 225
5) 항응고요법 226
6) 혈액투석에서 수질관리 227
7) 고효율, 고유량 투석 227
8) 새로운 개념의 혈액투석치료 228
2. 복막투석 228
1) 역사적 배경 228
2) 지속성 외래성 복막투석 229
3) 자동 복막투석 232
4) CAPD의 복막염 233
5) 복막도관에 관련된 감염 234
6) 복막투석의 합병증 235
3. 지속성 신대체요법 235
4. 온라인 혈액투석여과법 238
5. 합병증 239
1) 투석 중에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 239
2) 장기투석 환자의 합병증 240
Chapter 13 신장 이식 245
1. 역사적 배경 246
2. 이식 환자의 선택 246
3. 신 제공자의 선택 247
1) 생체 신이식 247
2) 사체 신이식 248
4. 주조직적합성 복합체 248
1) 주조직적합성 복합체 248
2) 조직형 검사 250
5. 거부반응의 면역학적 기전 251
1) 거부반응의 종류 251
6. 면역억제요법 255
1) 약제 255
2) 항림프구 항체 256
7. 임상경과 및 이식 환자 관리 257
8. 합병증 258
1) 감염 258
2) 악성종양 259
3) 기타 합병증 259
Chapter 14 신 손상의 기전 263
1. 사구체 손상의 병인 263
1) 면역학적 기전 264
2) 비면역학적 요인에 의한 사구체 손상 267
2. 면역학적인 사구체 손상의 매개물 268
3. 사구체 질환의 진행 269
1) 사구체 질환의 진행에 있어 단백뇨의 역할 270
2) 사구체 질환의 진행에서 발세포 손상의 역할 270
Chapter 15 사구체 질환의 진단적 접근 273
1. 사구체 질환의 혈청 검사 273
1) 항호중구 세포질 자가항체 274
2) 항사구체 기저막 항체 275
3) 루푸스 신염의 혈청학적 분석 275
4) 혈청 보체 276
5) 혈청 면역전기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