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화학
· ISBN : 9788973382057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4-01-10
책 소개
목차
1부 입자설이 생기게 된 과학사
01 관념의 세계
02 보일의 반란
03 플로지스톤설을 위한 변명
04 새로 태어난 원소
05 새로 태어난 원자
06 분자의 탄생
07 입자의 존재에 대한 증명
08 입자에 대한 새로운 설명
2부 개념, 어려운 개념에 대한 질문
과학에서 중요한 것은?
01 상전이
질문 1 상평형 그림에서 세로축의 압력은 어떤 압력인가?
질문 2 물은 언제까지 증발할까?
질문 3 밀폐된 용기 안에서도 물이 끓을까?
질문 4 물은 어떻게 100°C 이하에서도 기화하는 것일까?
질문 5 영하 10°C에서도 물이 존재할까?
질문 6 겨울철 언 빨래가 마르는 현상은 승화 현상일까?
02 용해와 용액
질문 1 용해 현상을 구멍 모형으로 설명하면 맞을까?
질문 2 용해도가 온도에 영향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질문 3 탄산칼슘의 용해는 발열 과정인데 잘 녹지 않는 이유는?
질문 4 물과 기름이 안 섞이는 이유는 극성과 무극성의 반발 때문인가?
질문 5 용해 현상과 확산 현상은 어떻게 구분할까?
질문 6 질산칼륨과 염화나트륨을 녹인 후 온도를 낮추면 무엇이 석출될까?
질문 7 용액의 증기 압력 내림을 가로막기 모형으로 설명하면 맞을까?
질문 8 용액의 증기 압력이 순수한 용매보다 낮은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질문 9 밀폐된 상황의 증기 압력과 열린 상황의 끓음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
03 산과 염기
질문 1 아레니우스는 왜 산과 염기를 이온으로 표현하였을까?
질문 2 이온 결합 물질인 수산화나트륨을 물에 녹일 때와 소금을 물에 녹일때의 차이점은?
질문 3 아레니우스의 정의와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의 차이점은?
질문 4 브뢴스테드-로우리 이후의 정의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질문 5 산의 성질이나 pH 값으로 강산과 약산을 구분할 수 있을까?
질문 6 강산의 이온화도 값과 평형 상수가 호환되지 않는 이유는?
질문 7 중화 반응에서 산과 염기의% 농도 사용이 가능할까?
질문 8 중화 반응 후 만들어진 용액은 항상 중성일까?
04 산화와 환원
질문 1 산화·환원 개념에 산화수와 형식 전하가 필요할까?
질문 2 산화·환원 반응과 중화 반응, 앙금 반응을 구분하는 것이 타당할까?
질문 3 화학 전지에서 전류가 흐를 때 전해질 용액 안의 이온은 어떻게 이동할까?
질문 4 전해질 용액에 같은 금속 두 개를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이유는?
질문 5 볼타 전지의 전압은 1.1V일까? 1.76V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