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KEC 가이드북 : 완성편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전기전자공학 > 전기설비
· ISBN : 9788973740055
· 쪽수 : 548쪽
· 출판일 : 2025-05-13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전기전자공학 > 전기설비
· ISBN : 9788973740055
· 쪽수 : 548쪽
· 출판일 : 2025-05-13
책 소개
한국전기설비규정의 개념과 취지를 이해하고 현장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KEC 순서에 의하여 서술한 해설서다. KEC의 주요 개정사항은 공통사항과 저압전기설비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 해석은 우리나라에서 적용되는 자가용전기설비와 건축전기설비의 실무를 중심으로 해법을 제시하였다.
머리말
「KEC 가이드북 완성편」은 한국전기설비규정(KEC : Korea Electro-technical Code, 이하 KEC)의 개념과 취지를 이해하고 현장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KEC 순서에 의하여 서술한 해설서입니다.
이 책의 구성과 적용방법 그리고 전반적 이해를 위한 연계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KEC의 주요 개정사항은 공통사항과 저압전기설비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 해석은 우리나라에서 적용되는 자가용전기설비와 건축전기설비의 실무를 중심으로 해법을 제시하였습니다.
2. 제1장 공통사항의 120(전선)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제조 및 적용되는 절연전선과 케이블을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며, 전선의 시설방법이 배선설비이므로 배선설비 공사방법을 위한 제2장 230(배선설비 및 조명설비)와 전선 규격 결정과 과전류보호에 의한 차단기(MCCB) 선정을 위한 212(과전류보호에 대한 보호)를 연계하여 보면 효과적일 것입니다.
3. 접지는 차단 전 전위(전압) 상승의 억제로 감전보호의 기본사항이므로 140(접지시스템)과 211(감전에 대한 보호)을 연계하여 봐야 합니다. 또한 시스템접지인 203(계통접지의 방식), 제3장 고압·특고압 전기설비의 320(접지설비)는 140(접지시스템)의 연장 사항입니다.
4. 150(피뢰시스템)은 건축법적 사항으로 지금까지 검사 대상이 아니었으나 2023. 12. 19 안전관리법 개정으로 2024. 09. 24. 이후 발주분부터는 공사계획신고를 하여야 하며, 이는 사용전검사의 대상이 됩니다. 피뢰시스템은 외부피뢰시스템의 시설 측면에서 시공방법과 내부피뢰시스템의 전자기장해 방지를 위한 인하도선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며, 인하도선 수와 내부피뢰시스템 보호 등의 KEC 추가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5. 제3장(고압・특고압 전기설비)는 302(기본 원칙)과 320(접지설비) 등을 우리나라의 건축물 등에 인입되는 배전계통인 22.9 kV-Y 다중접지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수변전설비는 KESC(세부 검사・점검 기준)을 추가하여 개념을 정리하였습니다.
「KEC 가이드북 완성편」은 한국전기설비규정(KEC : Korea Electro-technical Code, 이하 KEC)의 개념과 취지를 이해하고 현장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KEC 순서에 의하여 서술한 해설서입니다.
이 책의 구성과 적용방법 그리고 전반적 이해를 위한 연계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KEC의 주요 개정사항은 공통사항과 저압전기설비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 해석은 우리나라에서 적용되는 자가용전기설비와 건축전기설비의 실무를 중심으로 해법을 제시하였습니다.
2. 제1장 공통사항의 120(전선)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제조 및 적용되는 절연전선과 케이블을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며, 전선의 시설방법이 배선설비이므로 배선설비 공사방법을 위한 제2장 230(배선설비 및 조명설비)와 전선 규격 결정과 과전류보호에 의한 차단기(MCCB) 선정을 위한 212(과전류보호에 대한 보호)를 연계하여 보면 효과적일 것입니다.
3. 접지는 차단 전 전위(전압) 상승의 억제로 감전보호의 기본사항이므로 140(접지시스템)과 211(감전에 대한 보호)을 연계하여 봐야 합니다. 또한 시스템접지인 203(계통접지의 방식), 제3장 고압·특고압 전기설비의 320(접지설비)는 140(접지시스템)의 연장 사항입니다.
4. 150(피뢰시스템)은 건축법적 사항으로 지금까지 검사 대상이 아니었으나 2023. 12. 19 안전관리법 개정으로 2024. 09. 24. 이후 발주분부터는 공사계획신고를 하여야 하며, 이는 사용전검사의 대상이 됩니다. 피뢰시스템은 외부피뢰시스템의 시설 측면에서 시공방법과 내부피뢰시스템의 전자기장해 방지를 위한 인하도선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며, 인하도선 수와 내부피뢰시스템 보호 등의 KEC 추가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5. 제3장(고압・특고압 전기설비)는 302(기본 원칙)과 320(접지설비) 등을 우리나라의 건축물 등에 인입되는 배전계통인 22.9 kV-Y 다중접지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수변전설비는 KESC(세부 검사・점검 기준)을 추가하여 개념을 정리하였습니다.
목차
제1장 공통사항
100 총칙
110 일반사항
120 전선
130 전로의 절연
140 접지시스템
150 피뢰시스템
제2장 저압 전기설비
200 총칙
210 안전을 위한 보호
220 전선로
230 배선 및 조명설비 등
240 특수설비
제3장 고압·특고압 전기설비
300 통칙
310 안전을 위한 보호
320 접지설비
330 전선로
340 기계·기구 시설 및 옥내배선
351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등의 전기설비
제4장 전기철도설비
400 통칙
410 전기철도의 전기방식
420 전기철도의 변전방식
430 전기 철도의 전차선로
440 전기철도의 전기철도차량 설비
450 전기철도의 설비를 위한 보호
460 전기철도의 안전을 위한 보호
제5장 분산형전원설비
500 통칙
510 전기저장장치
520 태양광발전설비
530 풍력발전설비
540 연료전지설비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