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간호학 > 간호학 일반
· ISBN : 9788973866465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16-02-25
목차
" UnitⅠ. 간호전문직
Chapter 01. 간호의 이해
Section 01 / 간호의 개념과 정의 _ 3
1. 간호의 개념 _ 3
2. 간호의 정의 _ 11
3. 간호사의 역할 _ 15
4. 간호의 목적 _ 17
Section 02 / 간호철학 _ 20
1. 철학의 의미 _ 20
2. 서양철학 _ 21
3. 동양철학 _ 30
4. 간호철학 _ 34
Chapter 02. 간호전문직과 간호조직체계
Section 01 / 전문직의 이해 _ 39
1. 지식사회와 지식 전문가 시대 _ 39
2. 직업과 전문직 _ 40
3. 전문직의 개념 _ 41
Section 02 / 간호와 전문직 _ 47
1. 간호전문직의 특성 _ 47
2. 전문간호사 _ 52
Section 03 / 간호관련 조직체계 _ 56
1. 간호 관련 국제 조직 _ 56
2. 간호 관련 국내 조직 _ 58
Chapter 03. 보건의료체제
Section 01 / 세계 보건의료체계 _ 67
1. 보건의료체계의 구성요소 _ 69
2. 보건의료체계의 분류 _ 71
Section 02 / 한국 보건의료체계 _ 75
1. 한국의 보건의료조직 _ 75
2. 한국의 보건의료자원 _ 76
Section 03 / 한국의 보건의료정책 _ 80
1. 보건의료정책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사항 _ 80
2. 우리나라 보건의료정책 _ 81
Section 04 / 한국 의료보험제도 _ 84
1. 국민건강보험제도 _ 84
2. 의료급여제도 _ 86
3. 노인장기요양보험법 _ 88
" Unit Ⅱ. 세계 간호의 역사
Chapter 04. 고대와 초기 기독교시대 간호
Section 01 / 원시시대의 간호 _ 95
Section 02 / 고대의 간호 _ 95
1. 이집트(Egypt) _ 96
2.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 _ 98
3.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유대, 히브리) _ 100
4. 인도 _ 101
5. 중국 _ 101
6. 고대 그리스 _ 102
7. 초기 로마 문명 _ 104
Section 03 / 초기 기독교시대의 간호 _ 104
1. 초기 기독교시대 정신과 간호 _ 104
2. 여집사 제도 _ 105
3. 로마 귀부인들(Roman Matrons)의 활동 _ 105
4. 초기 기독교시대의 의료기관 _ 107
Chapter 05. 중세의 간호
Section 01 / 중세 전기의 간호 _ 109
1. 중세 전기 유럽사회의 특징 _ 109
2. 장원제도와 간호 _ 110
3. 베네딕트 수도원과 간호 _ 111
4. 중세 전기의 병원 _ 112
5. 성지 구호소 _ 113
6. 이슬람 문명과 간호 _ 113
Section 02 / 중세 후기의 간호 _ 114
1. 중세 후기 유럽 사회의 특징 _ 114
2. 십자군 운동과 이슬람 의학의 전래 _ 114
3. 기사단과 간호 _ 115
4. 중세 대학과 살레르노 _ 117
5. 길드와 간호 _ 119
6. 탁발승단과 간호 _ 119
7. 흑사병과 간호 _ 121
Chapter 06. 근대의 간호
Section 01 /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_ 123
1. 르네상스와 간호 _ 123
2. 과학혁명과 의학의 발달 _ 124
3. 종교개혁(Reformation)과 간호의 암흑기 _ 125
4. 정신병원과 형무소 개선운동 _ 126
5. 자선 간호단(Sisters of Charity) _ 126
Section 02 / 산업혁명과 간호 _ 127
1. 산업혁명과 관련된 건강보건문제 _ 127
Section 03 / 나이팅게일과 간호의 흐름 변화 _ 129
1. 나이팅게일 간호활동의 시작 _ 129
2. 나이팅게일의 전반기 간호활동 및 업적 _ 131
3. 나이팅게일의 후반기 간호활동 및 업적 _ 132
4. 나이팅게일의 간호이념 _ 133
5. 나이팅게일 제자들의 활동 _ 133
Chapter 07. 현대 간호의 흐름과 발전
Section 01 / 영국의 간호 _ 135
1. 임상간호 _ 135
2. 지역사회 간호 _ 136
3. 제2의 간호혁명 _ 137
4. 간호교육 _ 137
5. 현대 간호 _ 138
Section 02 / 미국의 간호 _ 138
1. 초기 미국 간호 _ 139
2. 전쟁과 간호 _ 140
3. 미국 간호교육 _ 141
4. 미국의 대표적인 간호지도자 _ 144
5. 미국의 간호조직 _ 148
Section 03 / 다른 여러 나라의 간호 _ 148
1. 독일 _ 148
2. 프랑스 _ 149
3. 스칸디나비아 제국 _ 149
4. 일본 _ 150
5. 중국 _ 150
6. 인도 _ 151
7. 싱가폴 _ 151
Section 04 / 국제간호협의회 및 국제 단체 _ 152
1. 국제간호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ICN)의 설립과 기능 _ 152
2.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설립과 기능 _ 152
3. 국제적십자사의 설립과 기능 153
" Unit Ⅲ. 한국 간호의 역사
Chapter 08. 한국 조선시대의 간호
Section 01 / 조선시대의 간호개념 _ 157
1. 문헌에 나타난 간호개념 _ 157
Section 02 / 의녀제도와 간호 _ 159
1. 의녀제도의 시작 _ 159
2. 의녀교육 _ 160
Chapter 09. 근대의 간호
Section 01 / 서양 의학 병원과 간호(1883~1910) _ 162
1. 제중원 설립과 간호 _ 162
2. 선교계 병원과 간호 _ 163
3. 간호교육 시작 _ 166
Chapter 10. 일제 강점기의 간호(1910~1945)
Section 01 / 간호관련제도 _ 172
1. 위생행정 _ 172
2. 간호면허제도 _ 172
Section 02 / 간호교육 _ 174
1. 관립 간호교육 _ 174
2. 선교계 간호교육 _ 175
Section 03 / 병원간호 _ 176
1. 관립 대한의원 _ 176
2. 동인의원 _ 177
3. 철도병원 _ 177
4. 경성의전 부속병원 _ 177
5. 적십자병원 _ 177
6. 도립병원 _ 178
7. 소록도 자혜병원 _ 178
Section 04 / 보건간호 _ 179
Section 05 / 간호전문직 단체조직 _ 179
Section 06 / 간호사의 항일 구국운동 _ 181
Chapter 11.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 후 간호
Section 01 / 미군정기의 간호(1945~1948) _ 185
1. 간호사업국의 설치와 활동 _ 185
2. 조선간호협회 발기 _ 188
Section 02 / 대한민국 정부 수립기의 간호(1948~1950) _ 188
1. 간호사업 행정조직의 변화 _ 188
2. 군 간호단 창설과 활동 _ 189
3. 간호사 검정고시제도 폐지 _ 189
4. 대한간호협회로의 명칭 변경과 ICN 가입 _ 190
Section 03 / 한국전쟁과 이후의 간호 _ 190
1. 전쟁시기의 간호 _ 190
2. 전쟁 복구기의 간호 _ 192
Chapter 12. 현대 간호의 발전(1960~)
Section 01 / 1960~70년대의 간호 _ 199
1. 간호관련 제도 및 조직의 발전 _ 199
2. 간호교육제도의 발전 _ 201
3. 간호사의 해외 진출과 영향 _ 202
Section 02 / 1980~90년대의 간호 _ 203
1. 간호사 관련제도의 변화 _ 203
2. 간호조직의 발전 _ 204
3. 간호교육과 학술의 발전 _ 206
4. 간호실무의 발전 _ 207
Section 03 / 2000년 이후의 간호 _ 210
1. 간호 관련제도의 발전 _ 210
2. 간호조직의 발전 _ 212
3. 간호교육의 발전 _ 213
4. 학술적 발전 _ 214
5. 간호실무의 발전 _ 215
6. 간호사의 전문직으로서의 위상 확립 _ 218
" Unit Ⅳ. 간호윤리
Chapter 13. 간호윤리와 이론
Section 01 / 간호윤리의 개념 _ 223
1. 윤리학의 개념 _ 223
2. 도덕발달이론 _ 227
3. 간호윤리학의 개념 _ 231
Section 02 / 윤리이론 _ 234
1. 공리주의 _ 234
2. 의무론 _ 236
Section 03 / 생명윤리학과 윤리적 의사결정 _ 241
1. 생명윤리학 _ 241
2. 윤리적 의사결정 _ 247
Chapter 14. 간호윤리의 원칙과 규칙
Section 01 / 간호윤리의 원칙 _ 252
1. 자율성 존중의 원칙 _ 252
2. 악행금지의 원칙 _ 254
3. 선행의 원칙 _ 255
4. 정의의 원칙 _ 257
Section 02 / 간호윤리의 규칙 _ 259
1. 정직의 규칙 _ 259
2. 신의의 규칙 _ 259
3. 성실의 규칙 _ 259
Chapter 15. 간호사 윤리강령
Section 01 / 간호전문직과 윤리강령 _ 261
Section 02 / 한국간호사 윤리선언 _ 262
Section 03 /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_ 263
1. 윤리강령 1차 개정 _ 264
2. 윤리강령 2차 개정 _ 264
3. 윤리강령 3차 개정 _ 267
4. 윤리강령 4차 개정 _ 270
Section 04 /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및 해설 _ 270
Section 05 / 한국간호사 윤리지침 _ 277
Section 06 / 국제 간호사 윤리강령 _ 284
Section 07 / 윤리강령의 유용성과 한계 _ 286
Section 08 / 연구윤리와 환자의 권리 _ 287
1. 뉘른베르그 강령(Nuremberg Code) _ 287
2. 전문적 지침으로의 발전 : 헬싱키 선언 _ 289
3. 환자의 권리 _ 291
Chapter 16. 간호윤리의 실제
Section 01 / 간호사와 대상자 간의 윤리 _ 297
1. 생명공학과 관련된 주된 윤리문제 _ 298
2. 임신중절 _ 301
3. 대리모 _ 303
4. 뇌사와 장기이식 _ 306
5. 안락사 _ 311
Section 02 / 간호사와 협동자 간의 윤리 _ 321
1. 간호사와 간호사 간의 윤리적 갈등 _ 322
2. 간호사와 의사 간의 윤리적 갈등 _ 323
3. 간호사와 기타 보건관련 전문인 간의 윤리적 갈등 _ 323
4. 윤리적 갈등의 완화 및 해결을 위한 협동적 관계 _ 324
" 부록
부록 Ⅰ 대한간호협회 연혁 _ 329
부록 Ⅱ 나이팅게일 선서 _ 336
참고문헌 _ 337
찾아보기 _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