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에페소.칼케돈 공의회

에페소.칼케돈 공의회

피에르 토마 카믈로 (지은이), 황치헌 (옮긴이)
수원가톨릭대학교출판부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300원
29,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에페소.칼케돈 공의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에페소.칼케돈 공의회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일반
· ISBN : 9788973960682
· 쪽수 : 525쪽
· 출판일 : 2020-05-25

책 소개

니케아 ·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어떻게 성부 하느님과 같은 분이신가에 관한 것이었다면, 이번 에페소 · 칼케돈 공의회에서는 예수 그리스도가 어떻게 하느님의 아드님과 같은 분이시고 한 분이신가에 관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목차

약어표

서론

에페소 공의회


제1장 공의회의 교훈적이며 정신적인 배경

테오토코스(qeoto,koj): 하느님의 어머니이신 마리아
그리스도의 일치의 신비
신비와 그에 대한 문제
그리스도 안에서 일치를 강조
그리스도의 영혼에 관한 문제
이원론에 대한 강조

제2장 네스토리우스와 키릴루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네스토리우스
신학의 결함
콘스탄티노폴리스와 로마와 이집트에서 네스토리우스와 관련한 동요
키릴루스, 알렉산드리아의 총대주교
사람이 되신 말씀에 관한 신학
본성과 위격
키릴루스와 네스토리우스와 교황 첼레스티노

제3장 에페소 공의회

공의회 소집
에페소 도착
공의회 개최
제1회기: 네스토리우스의 폐위
안티오키아의 요한 주교의 도착과 동방 주교들의 교회회의
로마 사절단의 도착과 공의회의 재개
황실 경호대장 요한의 등장, 키릴루스와 멤논과 네스토리우스 체포
마지막 신학적 협상과 공의회 해산

제4장 에페소 공의회 교의

합법적인 에페소 공의회
네스토리우스의 단죄
교의적인 정의가 있었는가?
마리아, “하느님의 어머니”
433년의 합의, 교회의 공동 신앙


칼케돈 공의회


제1장 에페소 이후 에페소로부터: 에우티케스

키릴루스에 반대하는 동방인들의 저항
키릴루스의 추종자들 사이의 동요
총대주교 프로클루스의 「아르메니아인들에게 보낸 서한(Tomus ad Armenios)」
에데사의 주교 이바스
키루스의 테오도레투스
테오도레투스의 신학: 「에라니스테스」
수도자 에우티케스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회의와 에우티케스에 대한 단죄
에우티케스의 저항
에페소 제2차 공의회의 소집

제2장 교황 레오와 그가 플라비아누스 총대주교에게 보낸 서한, 에페소 강도 공의회

교황, 수도원장 에우티케스의 오류
총대주교 플라비아누스에게 보낸 교서
교황 레오의 신학
에페소 강도 공의회(449년 8월)
교황에게 항소
교황 레오의 반응

제3장 칼케돈 공의회

새로운 공의회를 향한 길
니케아로 공의회가 소집됨
칼케돈으로 공의회가 옮겨짐
제1차 회기: 총대주교 플라비아누스의 복권
제2차 회기: 새로운 신앙 정식을 위한 노력
제3차 회기: 디오스코루스의 면직
제4차 회기: 개인적인 문제들
제5차 회기: 교의에 대한 정의
제6차 회기: 황제에 의한 승인

제4장 칼케돈 공의회의 교의 결정

신앙정식에 대한 분석과 출처
칼케돈 공의회의 신학
칼케돈 공의회의 교의

제5장 공의회 마지막 회기. 칼케돈 공의회의 규정들, 교황과 공의회

재치권의 경계 설정. 예루살렘 총대주교직의 등장
테오도레투스 주교의 복권
에데사의 이바스 주교 문제
칼케돈 공의회 규정들
칼케돈 공의회 입법의 의미와 중요성
항소 사건에 대한 상급 법원으로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와 칼케돈 공의회 규정 제28조
로마 사절단의 항의
교황에게 보내는 공의회 서한
교황 레오와 공의회
교황에 의한 공의회 승인

결론

칼케돈 공의회의 결과
칼케돈 공의회 교의에 대한 저항
황제의 정치
칼케돈 공의회 신학의 영향
교황과 황제
사도좌
교황과 공의회

부록

원문 · 번역문

저자소개

피에르 토마 카믈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신학자, 도미니코 수도회 회원(릴 교구 신부로 1926년 사제서품, 1935년 도미니코 수도회 입회), 1942-1970년까지 솔수아 신학부 교부학과 교회사 교수, 1950-1956년 학장, 1970-1973년 이라크, Syro-chaldéen de Mossoul 신학교 원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 역서] Virgines Christi, la virginité aux premiers siècles de l'Eglise, Paris, 1944. Foi et gnose, Introduction à l'étude de la connaissance mystique chez Clément d'Alexandrie, Paris, 1945. Contre les païens, et sur l’incarnation du Verbe(traducteur), Paris, 1947 Polycarpe de smirne, lettre, Ignace d’Antioche(traducteur), paris, 1951. Stromates, texte en grec avec sa traduction française en regard(préfacier), Paris, 1954. La Trinité, Oeuvres de saint Augustin 15. - 1(traducteur) Paris, 1955. Somme théologique(traducteur), Paris, 1955-1956. Spiritualité du baptême, Paris, 1960. Vatican II, la Constitution dogmatique sur l'Église "Lumen gentium" [21 novembre 1964]. L'Église de Vatican II... 1(traducteur), Paris, 1966. Vatican II, la Constitution dogmatique sur l'Église "Lumen gentium" [21 novembre 1964]. L'Église de Vatican II... 2(traducteur), Paris, 1966. L'Église, Paris, 1970. L'Église 2, De saint Augustin à l'époque moderne, Paris, 1970. Les Conciles œcuméniques 1, Paris, 1988.
펼치기
황치헌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수원가톨릭대학교에서 신학학사를,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대학에서 신학 석사를 취득하였다. 1996년 1월에 수원교구에서 사제서품을 받았으며, 수원교구 철산본당과 이천본당에서 보좌를 지냈다. 독일 뮌헨대학에서 세계교회사를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수원교구 송전본당 주임을 지낸 뒤 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여, 학생처장ㆍ대학원장ㆍ교무처장ㆍ하상신학원장ㆍ기획관리처장을 두루 역임하였다. 현재 동 대학 도서관장을 지내고 있다. 저서로 <미사통상문을 위한 라틴어>(수원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12, 20182)가 있으며, 역서로 <니케아ㆍ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이냐시오 오르티츠 데 우르비나, 수원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18)와 <에페소ㆍ칼케돈 공의회>(피에르 토마 카믈로 저, 수원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20)이 있다. 또한 <신경, 신앙과 도덕에 관한 규정ㆍ선언 편람>(하인리히 덴칭거 저, 페터 휘너만 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7)의 공역자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테오토코스(Qeoto,koj): 하느님의 어머니이신 마리아

428년 4월 10일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는 총대주교로 네스토리우스를 선출했지만, 그해 말경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어느 누구도 예측할 수 없었던 한 논쟁으로 동요되었다. 새로운 총대주교는 이단자들을 반대하여 그의 열정을 불사르면서, 테오토코스(Qeoto,koj), 곧 하느님을 낳은 어머니라는 칭호로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그들의 신심 안에서 공경했던 그리스도인들을 반대하였다. 네스토리우스는 이 테오토코스라는 말에 반대하여 설교하게 하였고, 그 자신도 그것에 반대하여 설교하였다. 그는 이렇게 질문하였다. “그렇다면 결국 하느님에게 어머니가 있는 것인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수도에서 사람들은 천천히 동요되었다.


공의회 소집

테오도시우스 2세 황제는 430년 11월 19일자 서한으로 현재의 어려움들을 없앰으로써 교회 안에 안정과 평화를 확고하기 위해 모든 주교들이 모이는 공의회를 소집한다는 그의 결정을 키릴루스 주교에게 알렸다. 황제는 이미 모든 수도대주교들에게 서한을 보냈으며 그해 오순절에(431년 6월 7일) 에페소로 이들을 소집했다. 이들 수도대주교들은 그들의 부주교들을 대동해서 출석해야 했다.

“이 일은 본인에게 아주 소중한 일이기 때문에, 본인은 허가 없이 불참하는 사람을 용납하지 않습니다. 참석하지 않는 사람은 하느님 앞에서 그리고 본인 앞에서도 변명의 여지가 없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