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74111144
· 쪽수 : 550쪽
· 출판일 : 2004-02-27
목차
제1장 서론Ⅰ. 문제 제기 Ⅱ. 연구사 검토 제2장 사회적 배경론Ⅰ. 정치·사상적 배경 Ⅱ. 예악사상의 확립 Ⅲ. 유가의 舊藥정리 기준 제3장 문학적 배경론Ⅰ. 三才之文의 원리 Ⅱ. 文·史·哲의 통합론 1. 문학장르의 기원 2. 원시종합예술과 宗經主義 3. 文·史·哲의 변별적 특색 Ⅲ. 전통시가 장르의 성립 1. 景幾體歌 2. 歌辭 3. 樂章 4. 時調 5. 漢詩 Ⅳ. 시경논의와 風·雅·頌의 조선적 변용 제4장 주제론Ⅰ. 시가와 自然 1. 서론 2. 天人合一의 自然 인식 3. 詩歌에 수용된 自然의 의미 4. 결론 Ⅱ. 시조와 離別 1. 서론 2. 이별의 정서와 범주 3. 고대가요와의 관련성 4. 이별과 恨의 양상 5. 결론 Ⅲ. 사설시조와 性愛 1. 서론 2. 사설시조의 형성배경 3. 경험논리와 性愛의 묘사 4. 계급의식과 본능의 평등의식 5. 결론 제5장 작가론Ⅰ. 鄭道傳의 藥章文學 연구 1. 서론 2. 禮樂思想의 本質 3. 樂章의 始原과 장르적 성격 4. 鄭道傳의 生涯와 樂章와 特徵 5. 결론 Ⅱ. 徐居正의 漢詩 연구 1. 서론 2. 연구사 검토 3. 生涯와 諸家의 評 4. 漢詩의 特色 5. 결론 Ⅲ. 周世鵬의 景幾體歌 연구 1. 서론 2. 경기체가 장르 연구사 3. 경기체가의 명칭과 형성배경 4. 周世鵬의 生涯와 時代背景 5. 작품분석 6. 결론 Ⅳ. 李滉의 漢詩 연구 1. 서론 2. 생애와 시대적 배경 3. 道學者의 文學觀 4. 문학적 특색 5. 陶山十二曲 跋文과 李鼇 六歌 6. 결론 Ⅴ. 許蘭雪軒의 漢詩 연구 1. 서론 2. 硏究史 3. 생애와 사회적 배경 4. 작품론 5. 결론 Ⅵ. 蔡龜淵의 流配歌辭 연구 1. 서론 2. 서지사항과 노정기 3. 蔡龜淵의 생애 4. 君臣論理와 思美人 5. 유배생활과 작품 분석 6. 결론 附 : 蔡宦再謫歌(1870 : 자료) 제6장 결론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