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74114916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16-10-20
책 소개
목차
제1부 고구려사의 기초적 연구
제1장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4~5세기 기록의 검토
1. 4-5세기 고구려본기의 국내 전승 원전 기록
1) 중국왕조와의 대외관계 기사 재검토
2) 국내 전승의 원전에서 채록한 기사의 유형
2. 본기간 공유기사와 국내 전승 원전의 기록
1) 고구려본기와 백제본기 공유기사
2) 고구려본기와 신라본기 공유기사
3) 삼국간 본기의 공유기사와 고구려본기에 생략된 기사
3. 소결
제2장 광개토왕비의 성격과 5세기 고구려의 수묘제 개편
1. 광개토왕비의 성격
2. 5세기 고구려의 수묘제 개편
3. 소결
제3장 집안고구려비의 성격과 주변의 고구려 고분
1. 집안 마선구의 왕릉급 고분
2. 집안고구려비의 성격과 원위치 추정
3. 소결
제4장 광개토왕비와 집안고구려비의 비교 연구
1. 비의 형태와 위치에 대한 비교 검토
1) 비의 형태
2) 비의 위치
2. 비의 내용 구성과 성격에 대한 비교 검토
1) 비의 내용 구성
2) 비의 성격과 두 비의 관계
3. 소결
제5장 삼국사기 온달전을 통해 본 온달의 역사적 위상과 아단성
1『삼국사기』 온달전의 검토
2. 아단성의 위치 문제
3. 소결
제6장 고구려사의 전개와 고분의 변천
1. 집안 분지 및 외곽지역 고분의 통계적 분석
2. 집안 일대 고분과 GIS의 데이터 비교 분석
3. 고구려사의 전개과정과 고분의 변천 양상
4. 소결
제2부 고구려사 관련 역사인식
제1장 조우관을 쓴 인물도의 유형과 성격
1. 조우관을 쓴 인물도의 유형
2. 조우관을 쓴 인물도의 성격
3. 소결
제2장 백암 박은식의 고구려사 서술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백암 박은식의 고구려 인식과 고구려사 서술
2. 백암의『明臨答夫傳』과 단재의『大東歷史』의 관계
3. 소결
제3장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고구려사·발해사 서술 검토
1.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변화
2. 고구려사와 발해사의 서술에 대한 분석과 쟁점 검토
3. 소결
제4장 고구려 망국의 리더십
1. 고구려의 국내 정세
2.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국제질서 재편
3. 연개소문과 고구려 지배층의 리더십
4. 소결
제5장 중국의 post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관련 동향 분석
1. 중국의 고구려사 연구 분석
2. 중국의 역사 대중화 동향
3. 중국 역사교과서의 고구려사 서술
4. 소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