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74183554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16-12-15
목차
머리말 13
1. 이어도 인문지리
1-1. 이어도라는 지명은 어디서 유래했는가? 17
1-2. 이어도의 지리적 위치는 어디인가? 19
1-3. 이어도는 얼마나 크고 어떻게 생겼나? 21
1-4. 이어도가 있는 바다의 특징과 기후는 어떠한가? 22
1-5. 왜 국제해도에는 이어도가 ‘소코트라암초’라고 되어 있는가? 23
1-6. 중국은 왜 이어도를 ‘쑤옌자오’라고 부르는가? 27
1-7. 우리는 언제, 어떻게 이어도의 실체를 확인했는가? 28
1-8. 이어도는 어떻게 우리 국민들에게 알려지게 되었는가? 31
1-9. 이어도의 위치는 어떻게 표시되는가? 34
1-10. 이어도는 어떻게 갈 수 있는가? 36
2. 이어도 역사·설화와 문화
2-1. 우리 고문헌에 이어도가 등장한 기록이 있는가? 38
2-2. 『청용만고』 속에 이어도는 어떻게 묘사되었는가? 42
2-3. 다카하시 도오루의 연구를 통해서 나타난 이어도는? 45
2-4. 제주에서 전해 내려오는 이어도 이야기는 어떤 것이 있나? 47
2-5. 이어도가 등장하는 제주설화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51
2-6. 이어도가 등장하는 제주소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56
2-7. 이어도가 등장하는 현대문학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59
2-8. 이어도에 관한 우리 대중가요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61
2-9. 최근에 제작된 이어도 노래는 없는가? 65
2-10. TV에서도 이어도를 주제로 한 프로그램이 방영되었는가? 67
3. 제주인의 이어도
3-1. 제주인의 생활 속에 이어도는 어떻게 투영되었는가? 70
3-2. 옛 제주인들은 왜 이어도를 ‘이상향’이라고 생각했는가? 73
3-3. 수중암초인 이어도를 왜 섬이라고 부르는가? 76
3-4. ‘이어도항로’는 어떤 항로인가? 78
3-5. 제주에 해민(海民)의 생겨난 배경은 무엇인가? 81
3-6. 제주의 해민정신에서 ‘이어도토피아’는 어떤 의미인가? 82
3-7. 이어도문화에 깃든 ‘탐라한류’란 무엇을 말하는가? 84
3-8. 설화 속 이어도와 현실의 이어도는 같은가 다른가? 86
3-9. 이어도는 실존했는가 아니면 허구인가? 88
3-10. 전설 속 이어도는 어떤 모습이고 어디에 있었는가? 92
4. 이어도 해양과학
4-1. 이어도는 어떻게 생성되었는가? 97
4-2. 빙하기의 이어도는 어떤 모습이었는가? 99
4-3. 이어도는 화산지형인가? 100
4-4. 이어도가 더 커지거나 섬이 될 가능성이 있는가? 102
4-5. 이어도 부근 표층에는 어떤 퇴적물이 쌓여 있는가? 105
4-6. 이어도의 기반암은 어떤 암석인가? 107
4-7. 이어도가 위치한 동중국해는 어떤 바다인가? 109
4-8. 이어도의 해양광물 자원의 보유 가치는 얼마나 되는가? 111
4-9. 이어도 주변해역에는 어떤 수산자원이 분포하고 있는가? 112
4-10. 물속의 이어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113
5. 이어도 해양환경
5-1. 이어도의 면적은 여의도보다 큰가? 116
5-2. 이어도의 기후는 제주도에 비해 더 따뜻한가? 117
5-3. 이어도 주변을 지나는 해류는 어떤 것이 있는가? 120
5-4. 이어도 주변 바닷물이 싱거워지는 때가 있는가? 122
5-5. 중국 싼샤댐이 이어도 주변 해역에 영향을 미치는가? 123
5-6. 이어도 주변해역에도 지구 온난화 현상이 있는가? 125
5-7. 황사가 이어도 주변해역까지 오는가? 127
5-8. 우리 내륙에서는 볼 수 없고 이어도에서만 볼 수 있는 별자리는? 128
5-9. 이어도의 모습을 관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130
5-10. 이어도 거리측정 기점이 마라도인 이유는? 132
6. 이어도종합해양과학기지
6-1. 우리나라에는 어떤 해양과학기지들이 있는가? 135
6-2. 이어도해양과학기지가 설치된 위치와 지점은 어디인가? 138
6-3. 이어도해양과학기지는 어떻게 설계, 시공되었는가? 140
6-4. 이어도해양과학기지는 어떤 구조인가? 141
6-5. 이어도해양과학기지는 어떻게 운용, 관리되고 있는가? 144
6-6. 이어도해양과학기지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146
6-7. 이어도해양과학기지의 태풍, 기후변화 연구를 위한 역할은? 148
6-8. 이어도해양과학기지는 해양법적으로 인정되는 구조물인가? 153
6-9. 이어도해양과학기지의 안전을 보호하는 ‘안전수역’이란? 156
6-10. 이어도해양과학기지를 볼 수 있는 방법은? 158
7. 유엔해양법
7-1. 바다의 국제법인 유엔해양법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161
7-2. 유엡해양법에서는 해역을 어떻게 구분하는가? 164
7-3. 해양경계의 기준선인 ‘영해기선’이란? 167
7-4. 유엔해양법이 정의하는 ‘영해’와 ‘접속수역’이란? 169
7-5. 배타적 경제수역 관할권을 가진 국가의 권리는? 172
7-6. 해양자원의 보고라고 불리는 ‘대륙붕’이란? 174
7-7. 바다의 경계선인 해양경계는 어떻게 획정하는가? 177
7-8. 해양영토를 둘러싼 분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79
7-9. 해양영토분쟁을 해결하는 방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81
7-10. 해양분쟁을 다루는 국제사법기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83
8. 유엔해양법과 이어도
8-1. 해양경계획정에서 ‘섬’이나 ‘암석’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86
8-2. 오키노도리시마처럼 이어도도 ‘섬’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은? 190
8-3. 이어도의 해양법적 지위는? 193
8-4. 한국과 중국이 주장하는 해양경계획정의 원칙은? 194
8-5. 중국이 주장하는 해양경계획정 기준인 ‘자연연장 원칙’이란? 197
8-6. 중국의 또 다른 주장인 ‘형평의 원칙’이란? 199
8-7. 우리가 주장하는 해양경계획정 기준인 ‘중간선 원칙’이란? 201
8-8. EEZ의 중첩으로 인해 체결한 한?중어업협정이란? 204
8-9. 한?중어업협정은 이어도와 어떤 관계인가? 207
8-10. 이어도 주변해역을 중국과 공동으로 개발할 가능성은? 209
9. 이어도 분쟁
9-1. 이어도는 전략적으로 어떤 중요성이 있는가? 212
9-2. 이어도 문제는 영유권 분쟁인가 관할권 분쟁인가? 215
9-3. 이어도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은 무엇인가? 216
9-4. 이어도에 대한 중국 정부의 입장은 무엇인가? 217
9-5. 중국 관료와 민간부문에서는 이어도를 어떻게 보는가? 219
9-6. 중국의 주장에 대해 국내 학계는 어떤 반론을 제기하는가? 221
9-7. 이어도와 중국 민족주의의 관계는? 223
9-8. 이어도는 중국의 ‘핵심 이익’에 포함되는가? 226
9-9. 중국의 도련선 전략과 이어도는 어떤 관계인가? 228
9-10. 이어도 상공의 방공식별구역 설정으로 인한 문제는? 231
10. 이어도와 해양주권
10-1. 미래에 해양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234
10-2. 왜 해양영토와 해양주권이 중요한가? 236
10-3. 바다의 국제법인 유엔해양법의 한계는 무엇인가? 239
10-4. 우리나라의 해양 관련 국제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241
10-5. 이어도해양과학기지의 ‘안전수역’ 선포는 왜 필요한가? 242
10-6. 이어도를 수호하기 위해서는 해군력 강화가 필요한가? 246
10-7. 한?중 해양경계획정 회담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248
10-8. 합법적으로 우리 해양영토를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은? 251
10-9. 민간단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동이 필요한 이유는? 255
10-10. 해양영토 문제에 대한 국민적 이해를 높여야 하는 이유는? 259
참고문헌 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