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74354404
· 쪽수 : 590쪽
· 출판일 : 2011-03-12
책 소개
목차
1 문학으로서의 성서
2 성서 내의 문학 양식(forms)과 전략
3 고대근동 문학과 성서
4 성서와 역사
5 성서의 무대
6 정경의 형성
7 오경의 형성
8 예언서
9 지혜문학
10 묵시문학
11 중간기 유대교
12 신약성서의 헬레니즘 배경
13 외경과 위경: 외부의 책들
14 복음서
15 사도행전과 서신
16 성서 본문
17 성서의 번역
18 성서의 종교적 사용과 해석
18 여성 그리고 성서
부록
1. 이스라엘 신의 이름
2. 성서 시대의 글쓰기
3. 중간기 시대의 팔레스타인
4. 성서비평의 종류
5. 성서문학 용어/연대표/지도
책속에서
문학의 양식들은 큰 규모의 구조이다. 양식은 한 주제를 구체화하기 위해 저 자가 선택하는 주요한 수단을 반영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양식이 세밀하게 전략까지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언어를 저자는 선택해야 하나? 어떤 수사적 장치가 도움이 될 것인가? 저자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진행해야 하나? 간접적으로 진행한다면 어떤 가능한 방법들이 존재할까? 성서의 저자들은 현대의 저자들과 마찬가지로 글을 쓸 때 이런저런 질문들에 대답하여야만 했다.
*48쪽 성서 내의 문학 전략 중에서
성서의 저자들은 ‘어딘가’에 살았다. 그리고 그들이 기록한 사건은 한 장소에서 일어난 것으로 제시된다. 역사적인 것임이 분명한 기록뿐 아니라 시와 환상적인 구절조차 저자들이 살았던 환경 속에, 그들이 알았던 삶의 이미지를 입고 우리에게 다가온다. 이러한 환경-성서문학의 물리적 맥락-이란 전통적으로 근동(Near East)이라고 불리는 세계이다. 이 환경의 모습은 성서의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광범위하게 파악될 수 있다. 게다가 시간의 흐름과 인간 문명의 부침에 의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성서의 땅은 조금만 주의 깊게 관찰하면 다시 되살아나기를 기다리고 있다. 그리고 현재 우리가 읽는 성서 본문의 의미에 기여하고 싶어 한다.
*123쪽 “성서의 무대” 중에서
특히 수사학(rhetoric)에 강조를 둔 그리스 문학의 영향은 신약성서의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신약의 두 주요 저자인 바울과 누가-사도행전의 저자는 분명히 좋은 헬라 교육을 받았을 것이다. 이런 배경 없이는 그렇게 작품을 쓸 수 없었을 것이다. 신약의 모든 저자들이 이 두 저자만큼 헬레니즘에 정통했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모두 그 전통 내에서 작품을 썼고 그것이 자신들에게 편안하고 적합했던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따라서 이러한 역사적 맥락에 대한 지식 없이는 기독교 운동의 발전뿐만 아니라 그것을 문서화한 문헌에 대해서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287-288쪽 “신약성서의 헬레니즘 배경”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