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통계에 담긴 진짜 재미있는 경제

통계에 담긴 진짜 재미있는 경제

(교과서도 놓친 경제 속 숨은 그림 찾기 70)

유병규 (지은이)
매일경제신문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통계에 담긴 진짜 재미있는 경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통계에 담긴 진짜 재미있는 경제 (교과서도 놓친 경제 속 숨은 그림 찾기 70)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88974428556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2-11-06

책 소개

통계 경제학을 전공하고 20년 넘게 국내외 경제 현상을 조사·분석하는 연구원으로 생활해 온 저자가 통계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 경제를 분석·정리해 2008년부터 4년 동안 [매경이코노미]를 통해 소개했던 글들을 간추려 재구성했다.

목차

머리말

Part 1 경제 통계에 숨겨진 진실을 찾아라

≫ 여론조사의 함정 16
≫ 경제성장률 착시 현상 20
≫ 경제지표 속 평균의 함정 25
≫ 경제 예측의 진자 효과 30
≫ 국내 실업률 통계의 허구성 34
≫ 현실과 동떨어진 주택보급률 38
≫ 대학 평가 방법의 오류 42
≫ 집회 참여자 수 논란의 실체 46
≫ 세계 최고 이혼율 소동 50
≫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국가경쟁력 지수 54
≫ 월드컵 경제적 효과 평가 방법 59
≫ 유럽 재정 불안의 근본 원인 63
≫ 세계 환율 전쟁의 배경 67
≫ 스웨덴 패러독스의 비밀 71
≫ 공교육의 한계 76
≫ 높은 학업성취도의 비결 80
≫ 사교육비와 시장 원리 84
≫ 중국 파워의 실상 88
≫ 아프리카의 경제적 잠재력 93
≫ 대한민국 광복 60년의 변화 98
≫ 서로 다른 국민소득과 행복지수 103

Part 2 왜 서민 경제는 늘 팍팍하기만 할까?

≫ 불황을 알려주는 호황 지표들 108
≫ 국내 민간소비 부진의 늪 112
≫ 추석 택배 물량은 경기 바로미터 116
≫ 지역별 경제 격차의 현실 120
≫ 국내 저축률 왜 꼴찌인가? 125
≫ MB 물가의 오류 129
≫ 국내 골프 비용 왜 비싼가? 133
≫ 국제 원유 피크론과 유가 음모론 137
≫ 국내 집값 하락의 연쇄 작용 141
≫ 세계 유일의 전세 제도 145
≫ 국내 가계부채가 불안한 이유 150
≫ 빈약한 국내 개인금융자산 154
≫ 제로 금리 유혹과 함정 159
≫ 시중부동자금의 성격 163
≫ 외환보유액은 다다익선 168
≫ 금융위기 후 원화 환율 급등 배경 172
≫ 엔고 현상의 명암 176
≫ 취업 애로계층의 특성 180
≫ 증가하는 워킹푸어 185
≫ 불법복제와 일자리 189
≫ 여성 고용률의 실체 193
≫ 청년 실업, 원인은 따로 있다 198
≫ 노사분규보다 피해 큰 산업재해 202
≫ 빈번했던 국가 부도설의 진상 206
≫ 세수 확보의 발판 지하경제 210
≫ 지방재정 악화와 ‘2할 자치’의 한계 214
≫ 고용 없이 성장하는 불임 경제 219
≫ 하락하는 국내 경제 잠재성장률 224

Part 3 새로운 경제 생태계가 형성된다

≫ 국내 복지 지출 수준 230
≫ 사회적 기업, 증가하나? 234
≫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정체성 238
≫ 출산율 하락, 대가 끊긴다 243
≫ 저출산 정책의 5대 상충 관계 247
≫ 인구 통계에 기초한 저출산 대책 252
≫ 다문화 사회로 변하는 한국 256
≫ 다문화 사회의 해결 과제 260
≫ 한국판 베르테르 효과 265
≫ 노총각, 노처녀 왜 늘어나나? 269
≫ 외톨이 가구 증가의 경제적 여파 273
≫ 국내 기상이변의 파장 277
≫ 녹색소비가 더 중요하다 281
≫ 한국의 호모 노마드 286
≫ 고령화의 새로운 사업 기회 290
≫ 세계 체육계 재패의 숨은 비결 295
≫ 대북한 지원의 유무형 효과 299
≫ 남북한 인구가 합쳐지면 303
≫ 이산가족 상봉 가능 시간 308
≫ 동서독 통일 20년의 성과 312
≫ 통일 비용 최소화 방안 317

저자소개

유병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경제발전론 전공으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대그룹이 설립한 현대경제연구원에서 동향분석실장과 산업전략본부장 등을 거쳐 현재 경제연구본부장을 맡고 있다. 주로 국내외 경제 현안 분석과 미래 성장 전략, 기업 정책, 남북 경협 활성화 연구를 담당하고 있다. 민간 경제 전문가로 공공부문과 정부기관의 자문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국민경제자문회의 전문위원, 한국경제학회 경제교육위원,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SAIS) 한미연구소 초빙연구원 등을 지냈다. 국내 주요 종합일간지와 경제지에 정기적으로 경제 시론을 기고하는 전문 칼럼니스트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한국 경제의 발전 과정과 미래》(공저), 《과학기술 창조 한국의 길》(공저), 《대한민국 경제지도》(공저)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경제적 이유 등으로 국내 이혼율이 높아지는 것은 수긍이 간다. 하지만 영화 등 언론매체 등을 통해 볼 때 성문화가 매우 개방적인 유럽과 같은 선진국에 비해 한국 이혼율이 높은 것은 우리 실생활과는 동떨어진 느낌이 든다. 이혼율에서도 현실과 통계치가 괴리되는 ‘통계 착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각국의 인구 구조나 성문화 등을 정확히 감안하지 못하고 있는 까닭이다. 특히 결혼과 이혼 시기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면 이혼율은 현실과 영 괴리된 통계 오류를 초래하게 된다. 이런 점 때문에 이혼율은 잘못된 통계가 현실을 얼마나 왜곡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주요한 사례로 종종 활용된다.

-Part 1 '경제 통계에 숨겨진 진실을 찾아라' 중에서


한국 사회에서도 예외 없이 ‘베르테르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유명 연예인이나 정치인이 자살을 하는 경우에는 대체로 이를 뒤따르는 자살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08년 사망 원인 통계 결과〉를 보아도 이러한 효과가 반영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한국인의 10대 사망 원인은 암, 뇌혈관 질환, 심장 질환, 고의적 자해(자살), 당뇨병, 만성하기도 질환, 운수사고, 간 질환, 폐렴, 고혈압성 질환으로 총사망자의 70.4%에 달한다. 10년 전과 비교할 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사망 원인 중 자살과 운수사고의 순위가 뒤바뀐 점이다. 1998년에는 10대 사망 원인 중 운수사고가 4위였으나 2008년에는 7위로 내려간 반면 자살은 7위에서 4위로 올라왔다.
한국에서 2008년에 자살로 인한 사망자는 1만 2,858명을 기록하여 전년에 비해 5.6%나 증가했다. 하루 평균 35.1명이 자기 스스로 삶을 포기한 셈이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연령대별로 보면 20대와 30대의 사망 원인 중 자살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이다. 연령대별 사망 원인 순위 1위는 10대 이하는 운수사고, 20~30대는 자살, 40대 이상은 암이다. 특히 20대 사망자의 40.7%가 자살이다.
그런데 2008년의 월별 자살자 수를 보면 10월에 유독 자살자 수가 늘어난 것이 눈에 확 들어온다. 2008년 10월 자살자는 총 1,793명으로 9월에 비해 한 달 새 무려 65.6%나 증가했고 2007년 같은 기간보다도 85.4%나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월별 구성비를 보면 자살자의 약 14%가 10월에 발생한 셈이다. 이는 2003~2007년 평균 10월 자살자 비율보다 무려 70% 정도나 늘어난 것이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2008년 10월은 국내 유명 여배우가 자살한 달이었다. 2008년 말에 세계적인 금융 위기로 경기가 급속히 하강하여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평소 사모하는 여배우의 죽음이 연쇄 죽음을 몰고 왔다고도 해석할 수 있는 정황이다.

- Part 2 ‘왜 서민 경제는 늘 팍팍하기만 할까?’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