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환경학
· ISBN : 9788974502874
· 쪽수 : 515쪽
· 출판일 : 2012-07-31
목차
머리말
제1장 환경문제의 개요 및 이해
1-1. 환경문제의 역사적 배경과 국내외적 관심
1-1-1. 역사적 배경
1-1-2. 국내외적 관심
1-1-3. 국제 환경정책 현황
1-2. 환경규제와 기업경쟁력
1-3. 국제환경법의 이해
제2장 지구환경문제와 인류사회의 사명
2-1. 지구환경과 인간
2-1-1. 지구환경문제
2-1-2. 인류사회의 사명
2-2. 지구온난화와 환경부하
2-2-1. 온실가스
2-2-2. 지구온난화의 영향
2-3. 국내외 대응동향
2-4. 온실가스 저감 대책
2-4-1.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2-4-2. 청정개발체제
2-4-3. 공동이행제도
2-4-4. 국내의 저감 대책
제3장 국내외 환경규제 동향
3-1. 국제환경협약
3-1-1. 기후변화기본협약.
3-1-2. 교토의정서
3-1-3. 몬틑리올의정서
3-1-4. 바젤협약
3-1-5.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협약 (POPs)
3-1-6. 사전통보 승이절차에 관한 협약 (PIC)
3-1-7. 도하 개발 아젠다 (DDA)
3-2. 주요 국제 환경규제
3-2-1. EU REACH
3-2-2. 미국 TSCA
3-2-3. 중국 신규화학물질 환경관리제도
3-2-4. 일본의 화학물질 관련법
3-2-5. 글로벌조화시스템 (GHS)
3-2-6. EU RoHS
3-2-7. 타 국가의 RoHS
3-2-8. EU WEEE
3-2-9. EU Erp (에코디자인)
3-2-10. EU ELV
3-2-11. 에코라벨링
3-2-12. 탄소라벨링
3-3. 산업별 국제 환경규제
3-3-1. 석유화학산업
3-3-2. 전기 · 전자산업
3-3-3. 자동차산업
3-3-4. 철강산업
3-3-5. 섬유산업
3-3-6. 생활용품산업
3-3-7. 항공산업
3-3-8. 나노물질 활용산업
제4장 환경규제 대응
4-1. 환경을 고려한 설계
4-1-1. 배경
4-1-2. 에코디자인 대응전략
4-1-3. ErP
4-2. 녹색 공급망관리
4-2-1. 녹색물류 공급망
4-2-2. 공급망 환경관리 기법 및 사례
4-3. 제품과 공정의 그린디자인
4-4. 청정생산
4-4-1. 청정생산기술
4-4-2. Eco Factory
4-5. 산업별 대응
4-5-1. 석유화학산업
4-5-2. 전기 · 전자산업
4-5-3. 자동차산업
4-5-4. 철강산업
4-5-5. 반도체산업
4-5-6. 섬유산업
4-5-7. 제지산업
4-5-8. 의약산업
제5장 환경윤리
5-1. 환경문제의 윤리적 실천이론
5-2. 환경과 기술윤리
5-2-1. 기업윤리
5-2-2. 공학윤리
5-2-3. 과학기술윤리
5-2-4. 사회적 책임
5-3. 지속가능경영
5-3-1. 역사적 배경
5-3-2. 이론적 배경
5-3-3. 지속가능발전
5-3-4. 친환경경영
5-3-5. 환경규제 대응
5-3-6. 환경윤리
부록
참고문헌
책속에서
오늘날에는 생태계의 위기의식이 지구의 온난화와 이상기온이라든가, 산성비와 오존층의 파괴, 생물계의 멸종 현상이나 사막의 확대 현상 등으로 보편화되고, 과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지만, 이것은 지구환경과 생태계가 파괴되기 시작했을 때부터 인간에 의해 감지되고 각성된 것은 아니었다. 이미 상당한 정도로 생태계의 파멸이 진행되었을 때, 우리는 비로소 위기를 의식하게 되었다.
땅과 물 뿐만이 아니라, 대기권의 문제도 대두되면서 지구기온의 점진적인 상승은 남극과 북극의 빙산들을 녹여서 매년 해양의 수면을 높이고 있고, 홍수의 빈발과 해안지대의 땅과 경작지를 잠식하고, 언젠가는 도시와 마을이 물속에 가라앉아 버릴 수 있는 가능성도 제기되기 시작했다. 이미 이러한 환경파괴는 먹이사슬의 혼란과 인간의 문제를 넘어서 생태계 전체의 생명문제, 나아가서는 지구의 생존문제로 확대되고 말 것이다. 최근 일본의 원선사태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저서는 국내외의 환경문제를 경영학적 시각과 환경법적인 면에서 바라보고, 수많은 환경 문제의 요소 중에서 지구온난화에 대한 국제적인 대응과 함께, 기업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몇가지 공학적인 기법을 소개하고, 산업별 국제환경규제의 세부내용에 관해 편집과 더불어 서술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제1장에서는 환경문제의 개요 및 이해, 제2장에서는 지구온난화를 중심으로 한 지구환경문제와 인류사회의 사명, 제3장은 산업별 국제환경규제 세부내용을 구체적으로 다룬 국내외 환경규제 동향, 제4장은 환경규제 대응기법, 그리고 제5장은 지속가능한 환경경영을 위한 환경윤리로 크게 구분하여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