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74644178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07-01-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번역사의 지위 - 번역사는 단순한 '중개인'이 아니다
1.1 번역사의 주체성이 발휘되는 두 단계
1.1.1 해석
1.1.2 표현
1.2 번역사의 권한
1.2.1 번역의 의의
1.2.2 번역의 창조적 측면
1.3 번역사의 일
1.3.1 번역의 대상은 빠롤
1.3.2 '실용'이라는 관점
1.4 번역에 필요한 지식
1.4.1 세계지식과 언어지식
1.4.2 텍스트 대응 원칙
1.4.3 번역론과 언어학
제2장 번역의 원리 - 번역은 사전을 찾는 작업이 아니다
2.1 사전은'이용'하는 것
2.2 출발어 텍스트를 의미등가적 도착어 텍스트로 표현하기
2.2.1 출발어 텍스트와 도착어 텍스트
2.2.2 텍스트
2.3'의미'란 무엇인가
2.3.1 의미란 가치이다
2.3.2 번역은 의미를 둘러싼 두 개의 통사론적 행위
2.4'의미등가'에 대해서
2.4.1 코세리우가 분류한 세 가지 '의미'
2.4.2 의미 등가
2.5 두 개의 언어관
2.5.1 언어도구설
2.5.2 언어세계관설
2.5.3 언어초월적으로
제3장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번역(1)
─ 서로 다른 분절체계 간의 교류
3.1 일본어에 대한 의식적 사고
3.1.1 통사적 자립성이 약하다는 것
3.1.2 절대자를 대신해 상황이 기준이 된다는 것
3.1.3 부분의 독립
3.2 언어와 분절
3.2.1 분절의 개념
3.2.2 외국어를 아는 것은 새로운 분절을 아는 것
3.3 세계관의 대비
3.3.1 일본어의 세밀한 분절
3.3.2 '언어접촉'으로서의 번역
제4장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번역(2)
─ 일본어'문장'과 영어'sentence'
4.1 영문법으로 일본어를 설명하는 오류
4.1.1 Sentence
4.1.2 인칭과 시제
4.1.3 대명사와 수동태
4.2 사태서술문과 명제문
4.2.1 사태서술(확인)문
4.2.2 명제문
4.2.3 사태서술문과 명제문의 대비
4.3 문장과 sentence
4.3.1 일본어의 '문장'
4.3.2 영어의 'sentence'
4.4 일본어 문장과 영어 문장의 대비
4.4.1 사태지향과 언어지향
4.4.2 문장과 sentence의 대비
4.4.3 언어구조의 차이를 의식하여 번역한다
제5장 번역의 실제 ─ 통사구조의 차이와 번역의 실제
5.1'일본어다움'다루기
5.1.1 서술문 다루기
5.1.2 화법적 표현 다루기
5.1.3 가역과 감역
5.1.4 표기법, 정형표현 활용
5.2 일본어로 번역하기
5.2.1 통사구조 보강
5.2.2 종속문 번역하기
5.2.3 시간적 배려
5.3 영어로 번역하기
5.3.1 일-영 번역의 즐거움
5.3.2 『오쿠노 호소미치』를 영어로 번역하기
제6장 텍스트 종류 ─ 일상회화는 전문용어보다 번역하기 쉽다?
6.1 텍스트 종류
6.1.1 실용론의 원칙
6.1.2 코드 제약
6.2 번역의 두 종류
6.3 전문용어 번역
6.3.1 자연과학생활과학 문헌 번역
6.3.2 사회과학 문헌 번역
6.3.3 철학 문헌 번역
6.4 문학 번역
6.4.1 미적 언어
6.4.2 문학 번역
[부록] 중요한 번역론언어론
맺음말
참고문헌
인명색인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