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앙아시아학 입문

중앙아시아학 입문

김대성 (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9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앙아시아학 입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앙아시아학 입문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74645717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09-11-30

책 소개

국제사회에서 커다란 주목을 받고 있는 중앙아시아 5개국의 지정학적 개념에서부터 역사, 문화, 정치적 관계 등을 다룬 중앙아시아학 입문서. 저자는 세계 여러 국가들이 중앙아시아의 중요성을 인식한 데에 비해 우리의 중앙아시아 연구는 상당히 열악한 실정에 놓여 있다고 말한다. 중아아시아에 대해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하기위한 이 책은 모두 14개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장은 지정학적 개념, 전통사회, 역사 등의 주제들로 구성되었다.

목차

책을 내면서

제1장.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 개념과 지리적 환경/김대성·손영훈
Ⅰ.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 정의 / 1
Ⅱ. 중앙아시아의 자연환경 / 4
Ⅲ. 중앙아시아 각국의 지형과 기후 / 10
1. 카자흐스탄 / 10
2. 우즈베키스탄 / 13
3. 타지키스탄 / 15
4. 투르크메니스탄 / 18
5. 키르기즈스탄 / 22

제2장. 중앙아시아 전통사회의 생산양식과 사회변화/김상철
Ⅰ. 중앙아시아의 유목-정주문명 관계 / 25
Ⅱ. 중앙아시아의 변천과 유목 / 30
Ⅲ. 정착민 중심 사회에서 유목민 중심 통치구조로의 변천 / 34
1. 정착문명 중심 공존 공동체의 형성과 변천 / 34
2. 중앙아시아 유목민 공동체의 형성과 발전 / 37
3. 정주화 유목공동체 지배세력의 교체 / 41
Ⅳ. 15세기 이후 유목 공동체 세력의 발전 / 44
Ⅴ. 제정러시아의 진출과 정착사회로의 변화 / 50

제3장. 중앙아시아 역사/이평래
Ⅰ. 중앙아시아 역사 이해의 전제 조건 / 58
Ⅱ. 중앙아시아의 두 세계 / 60
Ⅲ. 고대 유목국가와 오아시스국가 / 65
1. 고대 유목국가 / 65
2. 고대 오아시스국가 / 68
3. 실크로드와 동서 문화교류 / 70
Ⅳ. 중앙아시아의 투르크화와 이슬람화 / 72
1. 투르크화 / 72
2. 이슬람화 / 75
3. 투르크-이슬람 문화의 발전 / 77
Ⅴ. 몽골 제국의 성립과 세계사적 의의 / 78
1. 몽골 제국의 형성과 전개 / 78
2. 몽골 제국의 세계사적 의의 / 82
3. 몽골 제국의 해체 / 85
Ⅵ. 티무르 제국의 흥망 / 86
Ⅶ. 티무르 제국 이후의 중앙아시아 / 92
Ⅷ. 청조와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지배 / 99
1. 청조의 신강 지배 / 99
2.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지배 / 101
ⅠX. 현대의 중앙아시아 / 105
1. 신강 / 105
2. 중앙아시아 / 107

제4장. 중앙아시아 종교/현승수
Ⅰ. 실크로드의 종교 / 113
1. 토속 신앙 / 113
2. 불 교 / 116
3. 조로아스터교와 마니교 / 118
4. 경 교 / 119
Ⅱ. 중앙아시아의 이슬람 / 120
1. 중앙아시아의 이슬람화 / 120
2. 수피즘 / 122
Ⅲ. 국가와 종교 / 124
1. 러시아·소비에트 체제 하의 이슬람 / 124
2. 독립 이후의 이슬람과 국가 / 126
3. 수피즘과 정치 / 130
Ⅳ. 현대 중앙아시아의 이슬람주의 / 131
1. 이슬람주의 조직의 등장 / 131
2.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 / 135
3. 해방당 / 136
Ⅴ. 중앙아시아 기독교의 고민 / 137
Ⅵ. 향후 중앙아시아 종교의 전망 / 139

제5장. 중앙아시아 전통문화/장준희
Ⅰ. 중앙아시아 전통문화의 존재양상 / 141
Ⅱ. 출생의례 / 153
Ⅲ. 혼인풍습 / 160
Ⅳ. 장례와 추모행사 / 167
Ⅴ. 중앙아시아 전통문화에 대한 종합적 견해 / 171

제6장. 중앙아시아 문학/오은경
Ⅰ. 중앙아시아 시문학과 '마나스' 서사시 / 175
Ⅱ. 소련 점령기 중앙아시아 문학의 반향 / 180
Ⅲ. 소련 지배시기 대표 작가 칭기즈 아이트마토프 / 183
Ⅳ. 향후 전망 / 186

제7장. 중앙아시아 예술/유의정
Ⅰ. 중앙아시아의 음악 / 188
1. 정착민족들의 음악 : 민속음악 / 189
2. 정착민족들의 음악 : 궁중음악 / 192
3. 유목민의 음악 / 194
Ⅱ. 중앙아시아의 미술 / 196
1. 회화 / 196
2. 조각 / 201
3. 공예 / 202
Ⅲ. 중앙아시아의 무용 / 203

제8장. 중앙아시아의 여성/김대성
Ⅰ. 중앙아시아 여성의 지위 / 206
Ⅱ. 중앙아시아의 국가별 구분 / 207
Ⅲ. 소련 치하의 이슬람 / 211
Ⅳ. 이슬람에서의 혼인과 이혼 / 212
Ⅴ. 우즈베키스탄의 무슬림 여성 / 216
1. 우즈베키스탄 무슬림 여성의 지위 / 216
2. 전통적 우즈베크 여성의 결혼 / 218
Ⅵ. 카자흐스탄의 여성 / 220
1. 카자흐스탄 여성의 지위 / 220
2. 카자흐 여성의 결혼 / 222
Ⅶ. 보수적 여성과 진보적 여성 / 224

제9장. 중앙아시아 한인사회/황영삼
Ⅰ. 한인의 중앙아시아 지역 이주사 / 226
Ⅱ. 한인경제 공동체와 한인사회 / 233
1. 한인들의 경제공동체와 경제생활 / 233
2. 중앙아시아 한인의 언론매체 / 237
3. 한국어 교육의 문제 / 239
Ⅲ. 한인의 일상생활과 문화 / 240
1. 한인의 의식주 문화 / 240
2. 민족고유의 전통의례 / 243
3. 한인들의 예술활동과 고려극장 / 245
Ⅳ. 종합적 평가 / 246

제10장. 중앙아시아의 정치: 소비에트 정치유산과 독립 후의 정치 변혁/오종진
Ⅰ. 중앙아시아 정치와 소비에트 정치유산 / 250
Ⅱ. 독립 후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정치-사회 변혁 / 255
1. 일등 국민으로서의 토착민족 / 255
2. 역사의 재발견과 전통의 확립 / 256
Ⅲ. 중앙아시아 정치구조의 특징 / 257
1. 대통령의 권력과 의회 / 260
2. 중앙아시아 정치에서 정당의 역할 / 262
Ⅳ. 중앙아시아 각국 정치세력의 역학관계 / 263
Ⅴ. 전망 / 271

제11장. 세계 속의 중앙아시아 경제/이종문
Ⅰ. 중앙아시아 경제의 부상 / 275
Ⅱ. 천연자원 잠재력으로 본 중앙아시아 / 277
1. 에너지 자원 매장량 / 278
2. 에너지 자원 생산과 수출 / 282
3. 기타 광물자원 / 285
Ⅲ. 거시 경제 지표로 본 중앙아시아 / 286
1. 경제성장률 (실질 GDP증가율) / 286
2. 국내총생산(GDP) / 288
3. 국민총소득(GNⅠ. Gross NatⅠonal Ⅰncome) / 290
4. 대외무역 / 291
5. 외국인직접투자(FDⅠ. ForeⅠgn DⅠrect ⅠnⅤestment) / 292
6. 외국인직접투자 잠재지수와 성과지수 / 293
7. 경제자유도지수 (Ⅰndex of economⅠc freedom) / 296
8. 인간개발지수(Human DeⅤelopment Ⅰndex : HDⅠ) / 297
9. 외환보유고(ForeⅠgn exchange reserⅤes) / 299
Ⅳ. 국가경쟁력으로 본 중앙아시아 / 301
1. 세계경제포럼(WEF)의 글로벌경쟁력지수(GCⅠ) / 301
2. 국가신용등급(soⅤereⅠgn credⅠt ratⅠng) / 304
Ⅴ. 투자(비즈니스) 환경으로 본 중앙아시아 / 306
1. 세계은행의 비즈니스 활동 2009(DoⅠng BusⅠness 2009) / 306
2. 세계경제포럼(WEF)의 비즈니스 경쟁력 지수(BGⅠ) / 308
3. 국제투명성기구(TⅠ)의 부패지수 / 309

제12장. 중앙아시아 국제관계/박상남
Ⅰ. 세계질서의 재편과 중앙아시아 / 313
Ⅱ. 중앙아시아를 둘러싼 국제환경 / 314
Ⅲ. 중앙아시아로 달려가는 열강들 / 322
Ⅳ. 중앙아시아 5개국의 살아남기 / 331
Ⅴ. 21세기 중앙아시아를 보면서 / 339

제13장. 한국과 중앙아시아 관계/황영삼
Ⅰ. 정부차원의 한국과 중앙아시아 국가와의 관계 / 342
1. 외교관계 / 342
2. 지방자치단체 간 교류관계 / 344
3. 한국국제협력단(KOⅠCA)과 한국교육원의 역할 / 345
Ⅱ. 민간차원의 교류 / 347
1. 문화예술 교류 / 347
2. 대학 간 교류 / 349
3. 중앙아시아 지역의 한국영화와 드라마 소개 / 352
Ⅲ. 한국과 중앙아시아의 경제교류 / 354
Ⅳ. 한국-중앙아시아에 대한 종합적 회고 / 357

제14장. 중앙아시아 국가의 당면과제/성동기
Ⅰ. 개발독재를 넘어 민주주의로 가는 과제 / 360
1. 개발독재의 형성과정 / 360
2. 개발독재 청산의 과제들 / 366
3. 민주주의로 가는 당면과제 / 370
Ⅱ. 1차 산업을 넘어 산업의 다각화로 가는 과제 / 373
1. 중앙아시아 각국의 산업발전 과정 / 373
2. 산업의 다각화 현황 / 377
3. 산업의 다각화로 가는 과제 / 379
Ⅲ. 민족주의를 넘어 다민족다문화주의로 가는 과제 / 380
1. 각국의 민족주의 수행 과정과 특성 / 380
Ⅳ. 국가를 넘어 초국가로 가는 과제 / 386

찾아보기 / 393
필자 / 407

저자소개

김대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터키-아제르바이잔과 교수와 앙카라대학교 문과대학 교환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연구소장으로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