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언어교수학 입문

언어교수학 입문

Willis Edmondson, Juliane House (지은이), 신형욱, 이미영 (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언어교수학 입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언어교수학 입문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74647551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2-09-20

책 소개

언어교수·학습 행위를 있는 그대로 관찰하면서 그와 관련된 여러 측면들을 기술하고 설명하고자 한 책이다. 언어교수·학습 연구 분야의 기본 인식들을 간단명료하게 정리하고 있다.

목차

4판 머리말
3판 머리말
2판 머리말

Part 1. 수업을 통한 외국어학습 연구

Chapter 01 언어교수학?학문분과로서의 지향점과 성립
1. 언어교수학 ? 학문분과로서의 특성
1.1 연구대상 범위
1.2 인식대상으로서의 관심사
1.3 연구의 출발점
2. 언어교수학을 정의하기 위한 전제조건들: 언어와 학습의 개념
2.1 언어 ? 외국어 ? 제2언어
2.2 언어학습 ? 언어습득
3. 언어교수학과 동종 학문분과
4. 언어교수학: 발달사
5. 요약과 전망

Chapter 02 연구대상으로서의 외국어교육
1. 외국어 교수와 학습 ? 구성요인 복합체로서의 외국어교육
1.1 외국어교수 모델
1.2 L2-학습 모델
1.3 구성요인 복합체로서의 외국어교육 모델
2. 요약과 전망
Part 1 수업을 통한 외국어학습 연구
Part 2 언어교수학의 차원들

Chapter 03 언어교수학 연구방법론 29
1. 가설 ? 이론 ? 모델
2. 연구 논리
3. 외국어학습 관찰 층위
4. 외국어 학습 및 교수 연구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4.1 언어교수학 연구의 반복 가능성 기준
4.2 “관찰자 효과”
4.3 연구집단의 기대치
5. 언어교수학의 상이한 두 연구 방향
5.1 자질기준(연구충족 요건)
5.2 자료수집 방법
6. 요약과 전망

Part 2. 언어교수학의 차원들

Chapter 04 외국어교육의 역사 및 정치적 차원들
1. 외국어교육에서의 외국어 교수 및 학습의 역사에 대하여
1.1 독일의 외국어교육 ? 회고
1.2 외국어교수 방법론 ? 회고
2. 언어정책
2.1 언어정책 결정의 이유와 근거
2.2 언어는 권력이자 문화이며, 정체성이다
2.3 언어정책의 전개 양상: 과거의 한 예
2.4 언어정책의 전개 양상: 현시점의 관점들
2.5 언어정책 결정의 제도화
3. 요약과 전망

Chapter 05 언어교수학의 언어학적 기반
1. 언어란 무엇인가?
1.1 기호학 층위들
1.2 언어 층위들
2. 현대 언어학의 주요 흐름
2.1 구조주의
2.2 생성문법
2.3 낱말영역론(Wortfeldtheorie)
2.4 화행론
2.5 담화분석(discourse analysis)/회화분석(conversation analysis)
2.6 사회 현상으로서의 언어
3. 요약과 전망

Chapter 06 학습/외국어학습:심리학과 신경학의 관점
1. 본성(Nature) 대 교육(Nurture)
1.1 행동주의
1.2 인지주의 심리학
1.3 행동주의와 인지주의의 접근방법 비교
1.4 외국어학습을 위한 근래의 심리학 및 심리사회학의 제안들
2. 언어와 뇌
2.1 신경언어학 연구에 관한 기본 사항
2.2 신경심리학의 몇 가지 연구결과/가설
2.3 신경언어학의 연구결과가 주는 의미
3. 요약과 전망

Chapter 07 외국어교수 방법들
1. “교수방법”이란 무엇인가?
2. 몇 가지 외국어교수 방법 또는 접근법들
2.1 문법·번역교수법
2.2 직접교수법
2.3 구청각교수법
2.4 시청각교수법
2.5 인지적(“Cognitive Code”) 접근법
2.6 의사소통 접근법들
2.7 “의식적” 교수법
2.8 “새로운” 또는 “대안” 교수법
3. 언어학과 심리학 학파들이 외국어교수 방법에 미친 영향: 역사 개관
4. 교수방법과 학습성과
5. 요약과 전망

Part 3. 외국어학습과 다른 유형의 언어학습 과정 비교

Chapter 08 제1언어습득 및 제2언어습득 이론으로서의 보편문법: 이론적 관점들
1. L1-L2 동일가설의 이론적 토대: 제1언어습득 이론으로서의 보편문법
2. 제2언어학습 이론으로서의 보편문법
2.1 동일가설에 대한 반론
2.2 L2학습에서의 매개변항 확정
2.3 L2학습에서의 유표성(Markedness)
2.4 연구상의 문제
3. L1습득과 L2습득 간의 차이들
4. 요약과 전망
Chapter 09 제1언어습득 ? 제2언어습득 ? 외국어학습: 실험관찰을 통한 비교
1. 제1언어습득과 제2언어습득 비교 ? 연구논문들
1.1 자연스런 학습순서가 존재하는가? ? 형태소 연구들
1.2 통사 현상 습득에 일반적인 발달단계가 있는가?
2. “지도가 차이를 가져다 주는가?”
2.1 언어수업과 학습성과
2.2 언어수업과 자연스런 학습이 동일한 경로인가?
3. 설명가설
3.1 서로 경쟁하는 인지 체계
3.2 다차원적 언어습득 모델
4. 교수법적인 관점: 외국어 수업에서의 진행단계
5. 요약과 전망

Part 4. 학습자의 개인적인 변수들과 그것이 L2학습에 미치는 영향

Chapter 10 L2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나이
1. 중요한 몇 가지 구분들
1.1 나이
1.2 나이와 외국어학습 발달의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2. 실험관찰을 통해 밝혀낸 사실들: 개관
2.1 어린이들/청소년들이 더 빨리 배우는가?
2.2 통사
2.3 발음
2.4 의사소통 능력
2.5 연구논문 비교 ? 비판적 관점에서
3. 설명가설들
3.1 신경 발달
3.2 인지 발달
3.3 입력
3.4 사회·심리적 요인들
3.5 설명가설 비교
4 요약과 전망

Chapter 11 학습자의 인지적·정서적 차이
1. 지능
2. 언어학습 적성
3. 인지 스타일
4. 동기(motivation)
5. 자세
6. 인성적 요인들
7. 개인 차이와 언어교수
8. 요약과 전망

Part5. 외국어교육에서의 외국어학습: 기술(記述), 해석, 이론

Chapter 12 학습자언어 분석
1. 오류분석
2. 외국어학습에 미치는 모국어의 영향에 대하여
2.1 대조분석
2.2 모국어, 번역 그리고 전이의 역할에 대한 재고
3. 중간언어(Interlanguage) 가설
3.1 학습전략
3.2 의사소통 전략
3.3 학습자 전략
4. 요약과 전망

Chapter 13 외국어수업에서의 상호작용
1. 상호작용 분석: 교수법적 행위 연속체로서의 외국어수업
2. 담화분석: 개별 담화유형으로서의 외국어수업
3. 외국어수업에서의 교사언어에 대한 연구조사들
3.1 외국어수업에서의 교사언어라는 어투
3.2 교사 질문
3.3 교사의 피드백 행위(외국어수업에서의 교정)
4. 교수법적 권고
4.1 외국어수업에서의 역할들
4.2 외국어수업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형태
4.3 교사의 피드백 행위
5. 요약과 전망

Chapter 14 수업에서 이뤄지는 외국어학습: 가설/이론
1. 수업 담화에서 이뤄지는 외국어학습: 가설들
1.1 입력 가설(input hypothesis)
1.2 의미협의 가설(“negotiation of meaning hypothesis”)
1.3 출력 가설(output hypothesis)
1.4 상호작용 가설
1.5 도움받아 수행된 출력 가설
1.6 주제 조절 가설
1.7 “엿듣기” 가설
1.8 수용 대 자가교정 가설
2. 외국어학습에서 문법지식의 역할에 관하여: 이론들
2.1 모니터 이론
2.2 모니터 이론에 대한 대안: 명시적 및 암시적 언어지식
3. 요약과 전망

Part 6 언어교수학에서 언어교수로: 외국어교수법적 결정들

Chapter 15 교육과정의 결정들
1. 문법적, 기능적 그리고 언어학습 중심 교육과정
1.1 형태 혹은 문법 중심 교육과정
1.2 개념 또는 기능 중심 교육과정
1.3 학습 또는 과업 중심(“task-based”) 교육과정
1.4 비교 요약
2. 외부 교육과정에서 내부 교육과정으로: 학습의 시각
2.1 교수목표 확정
2.2 언어학습 과정 및 교수전략들
2.3 교수계획에서의 진도 설정에 대하여: 시간적 요소
2.4 적합한 교수자료 선정에 대하여
2.5 외국어 교수·학습을 위한 새로운 매체들
3. 요약과 전망

Chapter 16 요약과 전망
1. 되돌아 보기
2. 나가며
참고문헌
색인

저자소개

Willis Edmondson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에서 태어나 Cambridge대학교, London대학교, Essex대학교, Bochum대학교 등에서 영어영문학, 불어불문학, 외국어교수법, 일반언어학, 응용언어학 및 언어교수학을 수학하였다. 1983년부터 2005년까지 독일 Hamburg대학교 언어교수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은퇴 후에는 팔레스타인 Hebron대학에서 강의하였다. 언어교수학과 외국어교육의 전 분야에 걸쳐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였으며, 특히 담화분석, 수업분석, 제2언어습득이론, 인지, 외국어습득, 주관적 학습이론 등에 역점을 두었다. 주요 저서로는 Juliane House와 공동 집필한Einf?hrung in die Sprachlehrforschung(1994)과 Twelve Lectures on Second LanguageAcquisition(1999)이 있으며, 12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Juliane House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Heidelberg대학에서 영어와 스페인어를 공부하고, 국제법과 관련하여 석사학위(Diplom)를 취득한 후, 캐나다 Toronto대학에서 교육학 학사, 언어학과 응용언어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79년부터 독일 Hamburg대학교 언어교수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외국어로서의 영어” 및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분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Hamburg대학교 Sonderforschungsbereich 538: Mehrsprachigkeit(다언어연구소)를 이끌어 왔다. 번역이론, 비교화용론, 담화분석, 문화 간 소통, 문화 간 담화에서의 오해, 공손법이론, 세계 공용어로서의 영어, 국제비즈니스 의사소통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여러 저명학술지의 편집위원 및 논문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Willis Edmondson와 공동 집필한 Einf?hrung in die Sprachlehrforschung(1994) 외에도 Cross-Cultural Pragmatics: requests and apologies(1989, Shoshana Blum-Kulka, Gabriele Kasper와 공저), Misunderstanding in Social Life. Discourse Approaches to Problematic Talk(2003, Gabriele Kasper, Steven Ross와 공저), Translation(2009), English as a Lingua Franca(2009), Impoliteness in Germany(2010) 등이 있으며, 200여 편에 달하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신형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 학력 -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독어학 석사 독일 뮌스터(Munster)대학교 일반언어학 박사 - 주요 경력 -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사범대학 독일어교육과 교수 한국독일어교육학회 회장 역임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회장 역임 - 주요 저.역서 - Analyse und Kritik koreanischer Schulbucher fur den Deutschunterricht (1991) Deutschunterricht (1991) 언어기호론 (2003) 언어교수학 입문 (2012) - 주요 논문 - 외국어수업을 위한 교재개발 원칙 (1999) Grammatik verstehen, Grammatik anwenden (2017)
펼치기
이미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학력 ·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 졸업 · 독일 함부르크대학교 언어교수학 석사, 박사 경력 · 독일 함부르크대학교 언어교수학과 연구원 및 강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사범대학 독일어교육과 교수 주요 저서 · Vom Rhythmus zur Regel - Studie zur Nutzung prosodischer Merkmale bei der Vermittlung der deutschen Wortstellungsregel im Nebensatz (2010) 주요 논문 · Zusammenh?nge zwischen Wortstellungen und Subjekt- Verb-Kongruenz in der lernersprachlichen Entwicklung bei L2-Lernern des Deutschen (2012)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