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74647551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2-09-20
책 소개
목차
4판 머리말
3판 머리말
2판 머리말
Part 1. 수업을 통한 외국어학습 연구
Chapter 01 언어교수학?학문분과로서의 지향점과 성립
1. 언어교수학 ? 학문분과로서의 특성
1.1 연구대상 범위
1.2 인식대상으로서의 관심사
1.3 연구의 출발점
2. 언어교수학을 정의하기 위한 전제조건들: 언어와 학습의 개념
2.1 언어 ? 외국어 ? 제2언어
2.2 언어학습 ? 언어습득
3. 언어교수학과 동종 학문분과
4. 언어교수학: 발달사
5. 요약과 전망
Chapter 02 연구대상으로서의 외국어교육
1. 외국어 교수와 학습 ? 구성요인 복합체로서의 외국어교육
1.1 외국어교수 모델
1.2 L2-학습 모델
1.3 구성요인 복합체로서의 외국어교육 모델
2. 요약과 전망
Part 1 수업을 통한 외국어학습 연구
Part 2 언어교수학의 차원들
Chapter 03 언어교수학 연구방법론 29
1. 가설 ? 이론 ? 모델
2. 연구 논리
3. 외국어학습 관찰 층위
4. 외국어 학습 및 교수 연구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4.1 언어교수학 연구의 반복 가능성 기준
4.2 “관찰자 효과”
4.3 연구집단의 기대치
5. 언어교수학의 상이한 두 연구 방향
5.1 자질기준(연구충족 요건)
5.2 자료수집 방법
6. 요약과 전망
Part 2. 언어교수학의 차원들
Chapter 04 외국어교육의 역사 및 정치적 차원들
1. 외국어교육에서의 외국어 교수 및 학습의 역사에 대하여
1.1 독일의 외국어교육 ? 회고
1.2 외국어교수 방법론 ? 회고
2. 언어정책
2.1 언어정책 결정의 이유와 근거
2.2 언어는 권력이자 문화이며, 정체성이다
2.3 언어정책의 전개 양상: 과거의 한 예
2.4 언어정책의 전개 양상: 현시점의 관점들
2.5 언어정책 결정의 제도화
3. 요약과 전망
Chapter 05 언어교수학의 언어학적 기반
1. 언어란 무엇인가?
1.1 기호학 층위들
1.2 언어 층위들
2. 현대 언어학의 주요 흐름
2.1 구조주의
2.2 생성문법
2.3 낱말영역론(Wortfeldtheorie)
2.4 화행론
2.5 담화분석(discourse analysis)/회화분석(conversation analysis)
2.6 사회 현상으로서의 언어
3. 요약과 전망
Chapter 06 학습/외국어학습:심리학과 신경학의 관점
1. 본성(Nature) 대 교육(Nurture)
1.1 행동주의
1.2 인지주의 심리학
1.3 행동주의와 인지주의의 접근방법 비교
1.4 외국어학습을 위한 근래의 심리학 및 심리사회학의 제안들
2. 언어와 뇌
2.1 신경언어학 연구에 관한 기본 사항
2.2 신경심리학의 몇 가지 연구결과/가설
2.3 신경언어학의 연구결과가 주는 의미
3. 요약과 전망
Chapter 07 외국어교수 방법들
1. “교수방법”이란 무엇인가?
2. 몇 가지 외국어교수 방법 또는 접근법들
2.1 문법·번역교수법
2.2 직접교수법
2.3 구청각교수법
2.4 시청각교수법
2.5 인지적(“Cognitive Code”) 접근법
2.6 의사소통 접근법들
2.7 “의식적” 교수법
2.8 “새로운” 또는 “대안” 교수법
3. 언어학과 심리학 학파들이 외국어교수 방법에 미친 영향: 역사 개관
4. 교수방법과 학습성과
5. 요약과 전망
Part 3. 외국어학습과 다른 유형의 언어학습 과정 비교
Chapter 08 제1언어습득 및 제2언어습득 이론으로서의 보편문법: 이론적 관점들
1. L1-L2 동일가설의 이론적 토대: 제1언어습득 이론으로서의 보편문법
2. 제2언어학습 이론으로서의 보편문법
2.1 동일가설에 대한 반론
2.2 L2학습에서의 매개변항 확정
2.3 L2학습에서의 유표성(Markedness)
2.4 연구상의 문제
3. L1습득과 L2습득 간의 차이들
4. 요약과 전망
Chapter 09 제1언어습득 ? 제2언어습득 ? 외국어학습: 실험관찰을 통한 비교
1. 제1언어습득과 제2언어습득 비교 ? 연구논문들
1.1 자연스런 학습순서가 존재하는가? ? 형태소 연구들
1.2 통사 현상 습득에 일반적인 발달단계가 있는가?
2. “지도가 차이를 가져다 주는가?”
2.1 언어수업과 학습성과
2.2 언어수업과 자연스런 학습이 동일한 경로인가?
3. 설명가설
3.1 서로 경쟁하는 인지 체계
3.2 다차원적 언어습득 모델
4. 교수법적인 관점: 외국어 수업에서의 진행단계
5. 요약과 전망
Part 4. 학습자의 개인적인 변수들과 그것이 L2학습에 미치는 영향
Chapter 10 L2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나이
1. 중요한 몇 가지 구분들
1.1 나이
1.2 나이와 외국어학습 발달의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2. 실험관찰을 통해 밝혀낸 사실들: 개관
2.1 어린이들/청소년들이 더 빨리 배우는가?
2.2 통사
2.3 발음
2.4 의사소통 능력
2.5 연구논문 비교 ? 비판적 관점에서
3. 설명가설들
3.1 신경 발달
3.2 인지 발달
3.3 입력
3.4 사회·심리적 요인들
3.5 설명가설 비교
4 요약과 전망
Chapter 11 학습자의 인지적·정서적 차이
1. 지능
2. 언어학습 적성
3. 인지 스타일
4. 동기(motivation)
5. 자세
6. 인성적 요인들
7. 개인 차이와 언어교수
8. 요약과 전망
Part5. 외국어교육에서의 외국어학습: 기술(記述), 해석, 이론
Chapter 12 학습자언어 분석
1. 오류분석
2. 외국어학습에 미치는 모국어의 영향에 대하여
2.1 대조분석
2.2 모국어, 번역 그리고 전이의 역할에 대한 재고
3. 중간언어(Interlanguage) 가설
3.1 학습전략
3.2 의사소통 전략
3.3 학습자 전략
4. 요약과 전망
Chapter 13 외국어수업에서의 상호작용
1. 상호작용 분석: 교수법적 행위 연속체로서의 외국어수업
2. 담화분석: 개별 담화유형으로서의 외국어수업
3. 외국어수업에서의 교사언어에 대한 연구조사들
3.1 외국어수업에서의 교사언어라는 어투
3.2 교사 질문
3.3 교사의 피드백 행위(외국어수업에서의 교정)
4. 교수법적 권고
4.1 외국어수업에서의 역할들
4.2 외국어수업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형태
4.3 교사의 피드백 행위
5. 요약과 전망
Chapter 14 수업에서 이뤄지는 외국어학습: 가설/이론
1. 수업 담화에서 이뤄지는 외국어학습: 가설들
1.1 입력 가설(input hypothesis)
1.2 의미협의 가설(“negotiation of meaning hypothesis”)
1.3 출력 가설(output hypothesis)
1.4 상호작용 가설
1.5 도움받아 수행된 출력 가설
1.6 주제 조절 가설
1.7 “엿듣기” 가설
1.8 수용 대 자가교정 가설
2. 외국어학습에서 문법지식의 역할에 관하여: 이론들
2.1 모니터 이론
2.2 모니터 이론에 대한 대안: 명시적 및 암시적 언어지식
3. 요약과 전망
Part 6 언어교수학에서 언어교수로: 외국어교수법적 결정들
Chapter 15 교육과정의 결정들
1. 문법적, 기능적 그리고 언어학습 중심 교육과정
1.1 형태 혹은 문법 중심 교육과정
1.2 개념 또는 기능 중심 교육과정
1.3 학습 또는 과업 중심(“task-based”) 교육과정
1.4 비교 요약
2. 외부 교육과정에서 내부 교육과정으로: 학습의 시각
2.1 교수목표 확정
2.2 언어학습 과정 및 교수전략들
2.3 교수계획에서의 진도 설정에 대하여: 시간적 요소
2.4 적합한 교수자료 선정에 대하여
2.5 외국어 교수·학습을 위한 새로운 매체들
3. 요약과 전망
Chapter 16 요약과 전망
1. 되돌아 보기
2. 나가며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