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역사
· ISBN : 9788974835378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2-10-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 고조선은 어떤 나라였을까?
2. 신비의 고대 왕국 탐라
3. 고구려, 백제, 신라는 과연 한 뿌리였나?
4. 동아시아 고대사 최대 비밀, 수, 당이 고구려를 집요하게 공격했던 이유는?
5. 풍운아 연개소문은 영웅인가, 반역자인가
6. 신라는 어떻게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살아남았을까?
7. 발해는 화산 폭발로 멸망했나?
8. 의문투성이 《삼국사기》, 어떻게 봐야 할까?
9. 고려 멸망의 원인은 무엇인가?
10. 한국사의 불청객, 왜구
11. 조선의 조공과 사대주의는 비난받을 일이었을까?
12. 유교는 조선을 나약하게 만들었나?
13. 조선이 길을 내주었다면 임진왜란이 안 일어났을까?
14. 항왜, 조선에 항복한 왜군
15. 광해군은 억울하게 쫓겨난 성군인가?
16. 병자호란은 패배의 연속이었나?
17. 조선은 과연 노비들의 지옥이었나?
18. 당파 싸움 때문에 나라가 망한다?
19. 쇄국은 무조건 나쁜 것인가?
20. 중공군 인해전술의 비밀
21. 최악의 부패 정부, 이승만 정권
22. 한국인의 암 발생률이 높아지는 원인
23.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그 속셈은 무엇인가?
참고자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삼국사기》나《삼국유사》같은 역사서들을 보면, 신라의 기원은 만리장성을 쌓다가 중국에서 도망쳐 온 탈출자들과 고조선의 유민들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에 반해 고구려와 백제는 동부여, 혹은 북부여의 왕의 서자였던 주몽에서 갈라져 나왔다고 일관성 있게 서술하고 있다.
말하자면《삼국사기》는 김부식 자신이 넣고 싶은 내용만 넣고, 넣고 싶지 않은 내용들은 모두 빼 버린, 취사선택을 통해 편찬된 책이다.
유교에서 비롯된 중앙집권적인 관료 제도는 조선을 500년 동안 존속하게 했으며, 임진왜란이라는 미증유의 큰 전란을 훌륭하게 극복한 원동력이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로 본다면 유교를 숭상했다고 조선의 군사력이 나약해졌다는 인식은 단단히 잘못되었다는 것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