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집/인테리어 > 집짓기
· ISBN : 9788975271632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00-09-27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 똥이 다시 밥으로 순환되는 생태적 뒷간을 위하여/ 이병철
추천사 2 - 자기 똥을 3년 동안 먹지 않으면 사람은 살 수 없다/ 김영원
머리말 ; 자연과 함께 사는 우리 뒷간
1. 한국의 뒷간 문화
- 왜 '뒷간'이라 불렀는가
- '뒷간'을 통해 본 한국인의 똥 철학
- 똥을 버린 자는 곤장 50대?
- 똥의 생태적 활용과 똥 건강학
- 변기와 인체 건강
- 뒷간과 관련된 풍부한 우리말
2. 한국의 전통 뒷간
- 서민들이 애용했던 부춧돌 잿간
- 양반들의 정갈한 2층 누각형 잿간
- 비탈을 이용한 사찰의 해우소
- 똥항아리를 묻은 농촌의 수거식 뒷간
- 똥돼지의 살림집 통시
- 미세기를 이용한 바닷가의 측간
3. 수세식 화장실과 생태 뒷간
- 수세식 화장실의 탄생 역사
- 복합오염의 주범 수세식 화장실
- 음식과 똥의 분리는 생태적 재앙
4. 뒷간의 생태적 원리
- 똥과 오줌에 대한 생태적 이해
- 분뇨의 퇴비화를 위한 기본 이해
- 왜 재나 왕겨, 톱밥 등을 뿌려주는가?
5. 생태적 뒷간의 사례
- 수거식 뒷간
- 해우소식 뒷간
- 잿간
- 통시(똥돼지간)
- 자연발효 위생화장실
6. 생태적 뒷간 만들기
- 1단계 - 주변 환경에 맞는 생태적 뒷간의 기본 구상
- 2단계 - 생태적 뒷간을 지을 때의 기본 설계
- 3단계 - 유형에 맞는 생태적 뒷간 짓기
- 4단계 - 뒷간 내부의 현대적 개량화
- 보론 - 수세식 양변기의 생태적 전환,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7. 새로운 뒷간 문화를 위하여
- 뒷간에 대한 올바른 철학을 갖자
- 전통 뒷간의 생태성을 계승, 발전시키자
- 수세식을 환경친화적으로 개량화시키자
- 한국 화장실 문화의 새로운 변화를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