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75282584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10-03-15
책 소개
목차
제1장. 조사방법론의 개요·19
제1절. 조사방법론의 기초 19
제2절. 조사방법론의 학문적 중요성 22
제3절. 조사방법론의 과학적 성격 23
1. 분석과학 24
2. 경험과학 25
3. 과학적 접근법 26
제4절. 조사의 종류 30
1. 탐색적 조사 31
2. 확정적 조사 33
제5절. 조사자료의 종류 및 수집 36
1. 자료의 분류 36
2. 자료의 수집방법 39
3. 자료수집방법의 선택기준 41
제2장. 조사방법론의 틀·43
제1절. 논리적 사고체계 43
1. 삼단 논법 43
2. 논리적 추론 45
3. 유비적 추론 46
4. 연역적 추론 46
5. 귀납적 추론 48
제2절. 이론구축 패러다임 51
1. 이론구축의 필요성 51
2. 패러다임 52
3. 이론구축 패러다임의 구조 54
제3절. 이론모델의 상정 56
1. 시스템에 대한 이해 56
2. 시스템의 특성 58
3. 시스템 사고의 필요성 60
제4절. 개념화와 조작화 63
1. 개념과 변수 63
2.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 67
3. 명제와 가설 68
4. 이론과 모델 70
제5절. 조사설계 71
1. 조사설계의 의의 71
2. 조사설계의 주요 내용 71
3. 조사설계의 형태 74
제3장. 측정 및 검증·75
제1절. 도구화 75
1. 도구화의 개념 75
2. 자료수집방법 75
제2절. 측정 77
1. 척도의 기본 유형 78
2. 척도의 종류 81
3. 오차 97
제3절. 타당성과 신뢰성 99
1. 타당성 100
2. 신뢰성 106
3. 타당성과 신뢰성의 차이 109
제4절, 검증 110
1.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110
2. 이산확률분포와 연속확률분포 111
3. 추정 121
4. 가설검증 122
제2부 조사방법의 실제
제4장. 설문지법·131
제1절. 설문지법의 의의 131
1. 설문지법의 목적 131
2. 설문지법의 유형 132
3.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수집 143
제2절. 전수조사와 표본조사 158
1. 전수조사와 표본조사 158
2. 모집단과 표본집단 161
3. 모수와 통계량 163
4. 표본의 크기 165
제3절. 표본추출의 방법 167
1. 확률 표본추출 169
2. 비확률 표본추출 172
제4절. 오차 176
1. 오차의 개념 176
2. 오차의 발생원인 177
3. 오차 줄이는 방법 182
제5장. 실험·187
제1절. 실험의 의의 187
1. 실험의 개념 187
2. 실험의 전제조건 188
제2절. 외생변수 190
1. 외생변수의 유형 190
2. 외생변수의 통제 194
제3절. 실험의 종류 194
1. 현장실험 195
2. 실험실실험 195
제4절. 실험설계의 형태 196
1. 사전실험설계 197
2. 순수실험설계 199
3. 유사실험설계 203
4. 실험설계의 유형별 타당성 저해원인 204
제5절. 통계적 실험설계의 형태 206
1. 완전무작위 실험설계 207
2. 무작위 완전구역 실험설계 208
3. 라틴정방형 실험설계 209
4. 불완전구역 실험설계 210
5. 요인 실험설계 211
제6절. 실험의 평가 213
1. 장점 213
2. 단점 214
제6장. 시뮬레이션·215
제1절. 시뮬레이션의 의의 215
제2절. 시뮬레이션의 유형 216
1. 실험 시뮬레이션 216
2. 게임 시뮬레이션 217
3. 컴퓨터 시뮬레이션 218
4. 인간-컴퓨터 혼합 시뮬레이션 218
제3절. 시뮬레이션의 타당성 219
제4절. 시뮬레이션의 평가 219
1. 장점 219
2. 단점 221
제7장. 관찰?223
제1절. 관찰의 의의 223
제2절. 관찰자의 역할 224
1. 완전참여자 224
2. 관찰자로서의 참여자 224
3. 참여자로서의 관찰자 225
4. 완전한 관찰자 225
제3절. 관찰의 종류 225
1. 분류기준에 따른 구분 226
2. 참여정도에 따른 구분 230
제4절. 마케팅에서의 관찰관련 기법 232
1. 타운워칭 232
2. 섀도우 트래킹 233
3. 피어 섀도잉 233
4. 비디오 에쓰노그래피 233
5. 홈 비지팅 234
6. POP 234
7. 온라인 일기 234
8. fMRI 235
9. fDOT 235
10. 아이 트래킹 235
11. ZMET 236
제5절. 관찰의 진행 236
1. 관찰자로서의 입장 236
2. 관찰장소의 결정 237
3. 관찰대상의 선정 238
4. 관찰내용과 자료수집 238
5. 관찰내용의 기록 239
제6절. 관찰의 평가 240
1. 장점 240
2. 단점 241
3. 관찰자 유의사항 241
제8장. 면접·243
제1절. 면접의 의의 243
제2절. 면접의 종류 244
1. 면접내용의 구성형식에 따른 구분 244
2. 면접의 성격에 따른 구분 245
제3절. 면접의 절차 257
1. 준비단계 257
2. 실행단계 258
제4절. 면접의 평가 261
1. 장점 261
2. 단점 262
제9장. 내용분석·263
제1절. 내용분석의 의의 263
1. 내용분석의 배경 263
2. 내용분석의 개념 264
3. 내용분석의 목적 265
제2절. 내용분석의 유형 266
1. 경향에 따른 구분 266
2. 목적에 따른 구분 267
제3절. 내용분석의 절차 269
1. 문서의 표본추출 269
2. 카테고리의 설정 270
3. 분석단위 결정 271
4. 분석방법 결정 273
제4절. 내용분석의 문제점 276
1. 자료의 문제 276
2. 신뢰성의 문제 277
3. 타당성의 문제 278
제5절. 내용분석의 평가 278
1. 장점 278
2. 단점 279
제10장. 사례조사·281
제1절. 사례조사의 의의 281
1. 사례조사의 배경 281
2. 사례조사의 개념 282
제2절. 사례조사의 종류 284
제3절. 사례조사의 절차 285
제4절. 사례조사의 분석방법 286
제5절. 사례조사의 평가 286
1. 장점 286
2. 단점 287
제11장. 보고서 작성·289
제1절. 논문에 대한 이해 290
1. 논문의 요건 290
2. 논문의 유형 291
제2절. 논문작성의 단계 294
1. 주제선정 294
2. 연구계획 298
3. 연구실시 298
4. 결과분석 298
5. 논문작성 299
제3절. 보고서 작성 시 고려사항 300
1. 보고서 작성기준 300
2. 보고서의 대상 302
3. 보고서별 특징 302
4. 보고서의 목적 303
제4절. 논문 및 보고서의 구성 304
1. 서두 305
2. 논문 본문 307
3. 참고 자료 311
제3부 통계자료의 분석
제12장. SPSS의 기능의 이해·315
제1절. SPSS의 메뉴구성 315
1. 기본 메뉴구성 315
제2절. 자료 불러오기 320
1. 무응답 처리 320
2. 엑셀파일 불러오기 320
3. 텍스트파일 불러오기 320
제3절. 자료편집 325
1. 새로운 변수 만들기 325
2. 코딩 변경 327
제13장. 기초통계분석·331
제1절. 빈도분석 331
1. 빈도분석의 개념 및 목적 331
2. 빈도분석 절차 및 해석 331
3. 복수응답처리 334
제2절. 기술통계분석 340
1. 기술통계량의 이해 341
2. 기술통계분석의 절차 342
제3절. 교차분석 345
1. 교차분석의 개념 345
2. 교차분석방법의 종류 345
3. 교차분석의 절차 348
제14장. 평균의 차이분석·353
제1절. 평균차이분석의 개념 353
제2절. 일표본 t검증 354
1. 일표본 t검증의 개념 354
2. 검증단계 355
3. 분석의 절차 355
제3절. 대응표본 t검증 358
1. 대응표본 t검증의 개념 358
2. 분석의 절차 358
제4절. 독립표본 t검증 361
1. 독립표본 t검증의 개념 361
2. 분석의 절차 361
제15장. 분산분석·367
제1절. 분산분석의 개념 367
제2절. 일원분산분석 368
1. 개념 368
2. 분석단계 368
3. 분석방법 369
제3절. 이원분산분석 375
1. 개념 375
2. 분석단계 376
3. 분석의 절차 377
제16장. 상관관계 분석·397
제1절. 상관관계 분석의 이해 397
1. 상관관계 분석의 개념 397
2. 상관관계 분석의 종류 400
제2절.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401
1. 개념 401
2. 분석의 절차 401
제3절. 서열 상관관계분석 404
1. 개념 404
2. 분석의 절차 404
제4절. 편상관관계분석 407
1. 개념 407
2. 분석의 절차 407
제17장.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411
제1절. 타당성 분석 411
1. 타당성 분석방법 411
2. 타당성 향상방안 419
제2절. 신뢰성 분석 422
1. 신뢰성 분석방법 422
2. 신뢰성 향상방안 425
제18장. 요인분석·427
제1절. 요인분석의 이해 427
제2절. 요인분석의 단계 428
1. 요인분석의 적용가능성 점검 428
2. 요인추출방법의 결정 434
3. 추출요인의 수 결정 435
4. 요인축의 회전 437
5. 요인점수의 계산 438
제3절. 요인분석의 실행 사례 440
제19장. 회귀분석·447
제1절. 회귀분석의 이해 447
1. 회귀분석의 개념 447
2. 회귀분석의 종류 448
3. 회귀분석의 전제조건 448
제2절. 단순회귀분석 449
1. 단순회귀분석의 개념 449
2. 단순회귀분석의 절차 449
제3절. 다중회귀분석 453
1. 다중회귀분석의 개념 453
2. 다중회귀분석의 절차 454
3. Stepwise 회귀분석 457
참고문헌?461
찾아보기?467
책속에서
사회과학이란 인간의 사회생활과 관련된 시대상황을 반영하는 학문이다. 사회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양태를 달리하기 때문에 변화하는 사회상을 연구하기 위한 이론과 기법 또한 다양화하게 된다. 때문에 이론들의 생성과 진화과정은 설문, 실험, 관찰, 면접 등과 같은 기법들의 개발을 동반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기법들은 사회과학 조사방법론을 대표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사회과학의 주된 초점이 점차 대중 혹은 소비자로 이동하면서 사회과학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도 설문조사와 면접기법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기실 소비자를 직접적인 조사대상으로 하는 기업의 경우 지금까지 소비자들이 표출하는 행동보다는 심리적 측면을 어떻게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가장 큰 관심사였다. 그 배경은 직접적으로 표출되는 소비자 행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과다한 노력을 기울이기 보다는 소비자의 내재된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설문과 면접이 비용이나 시간적 측면에서 더욱 효율적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비자의 의식수준이 향상되고 개성화와 더불어 개인화가 심화되면서, 조사된 결과인 의식이 실제의 행동을 반영할 가능성이 점차 감소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때문에 오늘날에는 설문이나 면접 등의 방법만으로는 타당한 결과를 도출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즉, 측정의 효과성을 배가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사방법들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기존의 설문이나 면접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실험이나 관찰 등 다양한 조사방법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할 때만이 조사결과의 타당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과학적 조사방법론은 핵심이론에 대한 이해와, 상황에 적합한 측정방법유형 선택의 기준, 그리고 조사목적에 합당한 통계분석실무의 이해 등을 균형있게 필수학습요건으로 확보해야 한다고 본다. 고급의 수학적 개념과 전문적 통계분석기법을 특별히 강조하거나 특정 영역을 심화하는 다수의 사회과학분야 조사방법론 서적들과 본서를 차별화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서는 이러한 현실적 상황을 직시함으로써 기업 실무의 요구에 부응하면서도 대학에서 반드시 학습해야 하는 최소한의 이론적 범위만을 포괄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서 조사목적에 적합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다양한 조사방법들과 함께, 자료의 변환을 통해 실무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본적인 통계분석기법만을 소개하고 있다. 그 이유는 연구조사방법론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론과 이에 필요한 고급통계분석기법들은 다음 단계에서 공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학부 수준의 교육이 공허한 메아리로 치부되지 않기 위해서는 보다 현실에 입각한 내용으로 구성된 서적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 본서에서는 사회과학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네 가지 조사방법인 설문지, 실험, 관찰, 면접 등에 대해서 반드시 학습해야 할 내용만을 엄선하였다. 책의 앞부분에서는 조사방법론에서 반드시 알아야하는 기초적 개념들과 이론들을 자세히 소개하였으며 마지막 부분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각 통계분석기법들을 통해 어떻게 분석하고, 어떤 기준에 입각해 조사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지를 성실하게 설명하였다.
독자들에게는 본서가 조사방법의 전체적인 과정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론이 없는 실무는 맹목적이고, 실무가 없는 이론은 공허하다.”고 칸트는 주장하였다. 아무쪼록 본서에서 다루고 있는 이론과 실무의 연계성이 여러분의 실용적인 지식함양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본서의 출간 기회를 마련해 주시고 전폭적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두양사의 모든 직원 여러분께 감사하는 바이다.
_ 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