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창업/취업/은퇴 > 취업정보
· ISBN : 9788975814693
· 쪽수 : 265쪽
· 출판일 : 2013-07-10
책 소개
목차
Chapter 1 나의 취업역량(Employability)을 점검하자.
취업역량 모델
「한국사회」어떻게 변할 것인가?
「21세기 한국」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기업조직이 추구하는 성공기준
국내 일자리의 급감 현상
세상이 바뀌었다. 그런데 나는?
사회 가치관의 변화
성공취업은 핵심역량 개발로
Chapter 2 시간관을 바꾸어 취업역량을 높이자
시간관 1
시간관 2
시간관 3
시간관 4
시간관 5
Chapter 3 질문의 힘 The Power of Questioning
질문의 파워 The Power of Questioning
질문의 파워
미래 창조를 위한 상상력과 현실력
10년 후 내 자신을 생각해본다
빙산모델
Chapter 4 개인변화의 심리적 역동
인생에서 성공
사고(思考)테스트 : 개인변화
자기 변화의 심리적 역동
윌리엄 브리지스 William Bridges【변화모델】
변화의 심리적 역동 I
변화의 심리적 역동 Ⅱ
변화의 심리적 역동 Ⅲ
변화의 심리적 역동 IV
개인변화의 원칙
변화 모델의 3 유형
변화에 대한 반응 구도
변화에 대한 공식
변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개인 변화의 포인트: 긍정적 자기 개발
개인 변화 프로젝트
팀 변화 프로젝트
Chapter 5 시간 리스트럭처링
시간과 개인변화
글로벌 시대의 무기: 시간
인생은 모래시계
시간 창조
시간 창조의 비밀 : 하루 중 하는 일에 대한 분석
자투리 시간 활용법
미래와 꿈
명언Ⅰ
명언Ⅱ
Chapter 6 미래를 구성하는 시간분석
미래야 말로 창조의 대상
미래의 특성
미래와 관련된 심층 질문들
혁신을 추진하는 마차
미래 예측 역량
시간 창조 : 벨로시티 Velocity Ⅰ
시간 창조 : 벨로시티 Velocity Ⅱ
시간 창조 : SPA전략
비전 개발 시 고려사항
개인 비전 개발 프로세스
비젼 실현을 위한 목표수립의 스마트(SMART)법칙
비전, 미션 그리고 타임매니지먼트
우선순위Prioritizing 설정하기
마냐냐와 만만디
나는 왜 해야 할 일을 뒤로 미루는가?
시간 통제력의 증대방안
시간 관리 효율성 체크리스트
비전, 생의 의미 추구 그리고 시간 관리의 피드백 및 정리
Chapter 7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스킬 개발
한국적 커뮤니케이션
한국 문화와 커뮤니케이션
격조 높은 커뮤니케이션 역량 개발
불치병도 치료하는 커뮤니케이션
도쿄 학습원 대학
JAL 아카데미 숙녀코스
Chapter 8 글로벌 인재의 조건
EU에서 찾는 인재상
새로운 목표 설정 : 젊은 청년들에게 주는 메시지
글로벌 인재의 감성역량
인생은 변화의 연속 : 헬렌켈러로부터 지혜를 학습하다
Chapter 9 미래창조 : 잡 서치와 취활(就活)스킬
잡 서치Job Search와 인터뷰 스킬Interview Skill
인터뷰 ; 그 의미
인터뷰 ; 중요성과 접근성
인터뷰 유형들
D-Day 전략1(면접 당일)
D-Day 전략2
D-Day 전략 3
D-Day 전략 4
D-Day 전략 5
D-Day 전략 6
D-Day 전략 7
면접 종료 후 후속 추적 Follow up 전술
Chapter 10 기업이 원하는 인재 - 취업 환경 변화
기업별 이상적 인재상
기업 인재상의 시사점
인재를 평가하는 관점의 변화
개인 특성 평가
인력 채용 절차
채용 절차
채용절차 정리
기업정보 획득 방법
Chapter 11 인재 선발 : 핵심역량과 다양한 스킬
인재선발과 육성기준 : 핵심역량 1
인재선발 빙산모델 : 핵심역량 2
인재의 소프트 스킬 핵심역량 모델 3
역량중심 행동인터뷰 CBBI
심리검사법와 어세스먼트 센터
어세스먼트센터(Assessment Center)
어세스먼트 센터 방법의 장점
어세스먼트 센터 방법의 고객화
어세서먼트 센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취업 이후 : 그 다음 단계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지언어학의 어프로치는 말의 배후에 존재하는 신체성에 뿌리를 둔 인지능력과 운용능력으로 이루어져 있는 메커니즘을 해명하고자 함으로써, 경험과학으로서의 언어학의 새로운 연구를 진척시키고 있다. 인지언어학은 말을 닫친 규칙체계에 의해 톱다운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음운, 형태, 어휘에서 구문에 이르기까지의 언어단위를 게슈탈트적 구성체construction로 규정하고, 언어 현상을 구체적인 언어사용 문맥의 정착도, 관습화 과정을 반영한 경험을 근거로 하여 규정하고자 한다. 또 인지언어학의 어프로치는 언어 현상이 언어주체의 환경과의 상호작용과 신체적 경험으로부터 유발된다는 경험기반주의 언어관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