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64990179
· 쪽수 : 704쪽
· 출판일 : 2014-04-14
책 소개
목차
■역자서문 5
■이 책을 쓴 이유 9
■감사의 말 15
제1장 사회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사회심리학에 대한 정의 32
미친 짓을 하는 사람이 반드시 미친 것은 아니다 37
제2장 동조
동조란 무엇인가? 50
동조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변인들 56
소속과 정보 획득 62
사회적 영향에 대한 반응 72
순종의 한 형태로서의 복종 82
동조자로서 비관여 방관자 91
실험 윤리에 관한 추가 103
제3장 매스커뮤니케이션, 선전 및 설득
설득의 시도 109
매체전염 113
대중매체를 통한 호소의 효과 117
교육이냐 또는 선전이냐? 123
설득의 두 가지 주요 통로 126
의사소통의 원천 130
의사소통의 본질 142
청중의 특성 169
의견 대 태도 177
TV 시청의 효과 179
제4장 사회인지
우리는 세계를 어떻게 이해하는가? 188
사회적 판단에 대한 맥락이 미치는 효과 194
판단의 어림법(체험적 발견법, Heuristics) 211
범주화와 사회적 고정관념 222
구성적 예언과 재구성적 기억 229
자서전적 기억 233
인간의 인지는 얼마나 보수적인가? 240
태도와 신념은 어떻게 행동을 유도하는가? 244
사회적 설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세 가지 편향들 254
제5장 자기 정당화
부조화 감소와 합리적 행동 292
의사결정의 결과로 나타나는 부조화 295
의사결정의 결과에 대한 몇 가지 역사적 사례 299
취소 불가능성의 중요성 306
불충분한 정당화의 심리학 313
노력의 정당화 335
잔인성의 정당화 339
불가피성의 심리 347
자존감의 중요성 354
불편함인가 아니면 자기 지각인가? 357
부조화의 생리적 효과와 동기적 효과 361
부조화 이론의 실제 적용 363
종교 지도자의 권력에 대한 조망 368
부조화의 감소와 문화 372
“사람”은 인지적 조화만 가지고는 살 수 없다 373
제6장 인간의 공격성
공격성의 정의 378
공격성은 본능인가? 379
공격성은 유용한 것인가? 386
공격성의 원인 396
폭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429
제7장 편견
편견이란 무엇인가? 448
편견의 원인 481
편견 줄이기 499
상호의존성: 가능한 해결방법 511
제8장 호감, 사랑, 대인 감수성
칭찬과 친절(호의)의 효과 531
개인적 자질들 539
유사성과 매력 557
호감과 자존감 558
거절과 사회적 배제가 미치는 영향 562
평판의 득과 실 566
사랑과 친밀감 576
친밀감, 진정성, 의사소통 587
효과적 소통의 특징 594
제9장 사회심리학의 과학적 접근
과학적 방법이란 무엇인가? 604
추측에서 실험으로 607
무선 배정의 중요성 614
사회심리학에서 실험적 접근이 받는 도전 619
윤리적 문제 626
연구결과가 악용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할 것인가? 634
■용어설명 638
■미주 647
■찾아보기 695
리뷰
책속에서
나치 독일 아돌프 히틀러의 최고 보좌관 중 한 사람이었던 헤르만 괴링은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사형을 언도받기 직전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국민은 항상 지도자의 명령을 수행하도록 만들 수 있다.... 당신이 해야 할 일은 국민에게 우리가 공격을 받는다고 말하거나, 평화주의자에게는 애국심이 부족하다고 맹렬히 비난하고, 조국이 위험에 직면했다고 말해 주는 것이다. 이 같은 방법은 어느 나라에서나 통한다. - 설득의 시도 중
뉴저지 주에서 4명의 10대들이 자살서약서를 작성하고 자살을 행동으로 옮겼다. 이러한 집단자살 사건이 발생한지 일주일 이내에 미국 중서부에서도 2명의 10대가 비슷하게 죽은 것으로 밝혀졌다. 방송국들은 십대자살에 대해 비통함을 강조하는 보도를 여과 없이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비극적 사건을 방송하는 것 자체가 모방 자살을 부추긴다는 것이 가능할까? - 매체전염 중
세계적 지도자들은 자기중심으로 국제관계가 진행된다고 보았다. 예컨대 제2차 세계대전 중에 히틀러는 영국이 독일의 도시들을 폭격하지 않은 것이 영국에 비행기가 모자랐기 때문이 아니라(실제 이유) 영국이 독일의 자제에 대해 보답하려고 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 자기중심적 사고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