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88975815034
· 쪽수 : 463쪽
· 출판일 : 2015-02-28
책 소개
목차
옮긴이 머리말
엮은이 머리말
제1부 개념적이슈
제1장 내용분석에 이론 사용하기: 제니퍼 맹거넬로/마틴 피쉬바인
제2장 내용분석과 미디어 효과 연구 연결하기: 데일 쿤켈제1장 내용분석에 이론 사용하기
제2부 연구 설계 문제
제3장 주요 내용 변인의 정의와 측정: W. 제임스 포터
제4장 표집과 내용분석: 이슈 개관 : 에이미 B. 조던/제니퍼 맹거넬로
제5장 내용분석의 신뢰도 : 킴벌리 A. 뉴엔돌프
제6장 내용분석의 연구 윤리: 낸시 시그노리엘리
제3부 사례연구
제7장 10대와 새로운 미디어 환경: 도전과 기회: 스리비드야 라마수브라마니안/수잰 M. 마틴
제8장 10대가 보는 인터넷 상의 노골적인 성적 내용: 로라 F. 살라자르/파멜라 J. 플라이샤워/ 제이 M. 번하트/랠프 J. 디클레멘테
제9장 텔레비전의 성 표현 코딩과 해석: 린 솔솔리/L. 모니크 워드/데버라 L. 톨먼
제10장 미디어 내용과 미디어 효과 연결하기: RAND 텔레비전 및 청소년 성 연구
레베카 L. 콜린스/마크 N. 엘리엇/앤젤라 뮤
제11장 프라임-타임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건강 메시지 : 장기적 내용분석
쉴러 L. 머피/홀리 A. 윌킨/마이클 J. 코디/그레이스 C. 황
제12장 수신자-지향 메시지 분석: 주류 광고 분석의 교훈: 에리카 웨인트로브 오스틴
제13장 폭력적 비디오 게임: 내용 패턴 평가의 과제 : 캐써린 M. 피퍼/얼레인 챈/
스테이시 L. 스미쓰
제4부 전반적인 고려사항
제14장 학계 이외의 내용분석 연구 독자 : D. 찰스 휘트니/엘런 워텔라/데일 쿤켈
제15장 내용분석 과학의 진전 : 에이미 B. 조던/데일 쿤겔/제니퍼 맹거넬로/ 마틴 피쉬바인
책속에서
커뮤니케이션처럼 공중보건도 의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인류학, 심리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학자로 구성되어 있는 다학제적 분야다. 게다가, 공중보건과 커뮤니케이션 이외의 학술 분야 출신의 연구자도 이제 미디어의 건강 관련 메시지를 조사하기 위해 내용분석을 정기적으로 사용한다. 그 점을 염두에 두고 있을 뿐 아니라 모든 측면의 건강 관련 행동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서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인식도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애넨버그 학회에서 시작된 대화를 여러분이 지금 보고 있는 이 책을 발간하는 것으로 발전시키기로 했다. 이 책의 목적은 내용분석 연구를 위한 모범적인 관행과 전술에 대한 가장 최근의 논의를 제공해 그러한 관행과 전술이 건강 관련 행동을 조사하는 데 적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구자가 내용분석 연구 계획 및 수행과 관련된 결정을 어떻게 내리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자에게 내용분석 방법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가르쳐 주는 훌륭한 책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은 특별히 공중보건 토픽 연구에 관심이 있는 내용 연구자가 직면한 도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연구 과정에서 내려야 하는 결정을 잘 보여주는 실제 사례연구들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