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46075702
· 쪽수 : 760쪽
· 출판일 : 2025-03-2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개관 및 역사
제1장 미디어 효과의 이해
1. 커뮤니케이션 과정│2. 커뮤니케이션 모델│3. 미디어 효과 측정│4. 기타 미디어 효과 조사방법론│5. 미디어 효과 이론 개관│6. 미디어 효과 연구의 중요성│7. 요약
제2장 미디어 효과에 대한 역사적 증거
1. 미디어 효과에 대한 역사적 우려│2. 매스 미디어로 인한 행동 및 의견 변화에 대한 역사적 증거│3. 요약
제3장 과학적인 미디어 효과 연구의 역사
1. 미디어 효과 연구의 초창기│2. 강력한 효과의 개념│3. 제한된 미디어 효과의 개념│4. 각기 다른 수준의 효과│5. 상호교류적 효과 또는 절충된 효과│6. 몇몇 미디어 효과 연구의 개척자들│6. 효과 연구의 미래│7. 요약
제2부 이론 및 개념
제4장 사회 인지 이론
1. 인간의 독특한 특성│2. 관찰 학습과 모델링│3. 모델링의 효과│4. 미디어 내용을 통한 학습과 모델링│5. 사회적 촉진 혹은 설득│6. 새로운 미디어에 사회 인지 이론 적용하기│7. 상징적 모델링을 통한 확산│8. 사회 인지 이론의 한계점│9. 요약
제5장 기폭
1. 접근성│2. 기폭의 활성화│3. 기폭 효과의 특징과 경계 조건│4. 기폭 모델│5. 폭력적 내용으로 인한 기폭 효과를 높이는 변인들│6. 기폭 연구의 주요 영역│7. 요약
제6장 의제 설정
1. 개념적 뿌리│2. 연구 전통│3. 2차 및 3차 의제 설정 그리고 그 이상│4. 의제 설정의 심리학│5.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의 의제 설정│6. 요약
제7장 프레이밍
1. 프레이밍 이론의 기초│2. 프레이밍과 유사 개념 구별하기│3. 프레임 형성과 프레임 설정│4. 프레이밍 연구│5. 프레이밍 연구의 미래│6. 요약
제8장 배양
1. 문화 지표 프로젝트│2. 개념과 비판│3. 배양의 이론적 기초│4. 배양 연구의 다른 영역들│5. 요약
제9장 이용과 충족
1. 매스 미디어의 사회적 기능│2. U&G 연구: 간추린 역사│3. U&G의 가정│4. U&G에 대한 비판│5. 이용과 효과를 설명하는 모델│6. 오락을 위한 미디어 이용│7. 21세기의 U&G 연구│8. 요약
제10장 설득
1. 연구 전통│2. 태도, 정서, 행동, 그리고 설득│3. 설득 모델 및 이론│4. 신념, 태도 및 행동을 연결하는 모델│5. 최근 연구│6. 요약
제3부 주요 연구 영역
제11장 미디어 폭력의 효과
1. 미디어 폭력 연구와 공공정책: 역사와 미래│2. 미디어 폭력 효과 연구에 사용된 주요 이론│3. 미디어 폭력 연구 방법│4. 미디어 폭력의 심리학적 영향│5. 미디어 폭력 즐기기│6. 미디어 폭력은 우려해야 할 정도인가?│7. 요약
제12장 성적인 미디어 내용의 효과
1. 성적 내용의 속성│2. 미디어의 성적 내용의 정도│3. 주류 미디어의 성적인 내용에 대한 노출의 효과│4. 소셜 미디어의 성적인 내용에 대한 노출의 효과│5. 매우 노골적으로 성적인 내용에 대한 노출의 효과│6. 성 폭력물에 대한 노출의 영향│7. 성적 스크립트 습득, 활성화, 적용 모델│8. 성적 미디어 내용이 미치는 효과의 매개 변인과 조절 변인│9. 포르노그래피 연구에 대한 우려 사항│10. 요약
제13장 두려움이나 불안감을 유발하는 미디어 내용의 효과
1. 공포에 대한 연구│2. 공포의 매력에 대한 설명│3. 공포 측정│4. 미디어 내용에 두려움 반응을 보이는 이유│5. 공포 반응과 즐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6. 어린이의 공포 반응│7. 두려움에 대처하는 전략│8. 요약
제14장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1. 민주주의에서의 매스 미디어의 기능│2. 20세기의 정치적 미디어 효과에 대한 이해│3.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의 정치 커뮤니케이션 효과│4. 정치적 정보원으로서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5. 요약
제15장 건강에 미치는 매스 미디어의 효과
1. 연구 결과│2. 온라인 건강 정보│3. 건강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효과│4. 요약
제16장 미디어 고정관념화의 효과
1. 미디어의 소수자 묘사: 되돌아보기│2. 사회적 정보 전달자로서의 미디어: 현재 모습│3. 소수자 수용자의 특성│4. 젠더 고정관념화│5. 미디어 고정관념의 영향│6. 요약
제17장 어린이 교육 미디어의 효과
1. 교육 텔레비전│2. 어린이 미디어를 통한 학습에 대한 핵심 질문│3. 요약
제18장 비디오 게임의 효과
1. 현대의 게이머 살펴보기│2. 폭력적인 비디오 게임의 효과│3. 비디오 게임 중독에 대한 지속적인 논쟁│4. 비디오 게임의 긍정적 효과│5. 요약
제19장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효과
1. 온라인에서 얼마나 많은 시간을 보내며 무엇을 하는가?│2. 소셜 미디어 이용의 효과│3. 컴퓨터-매개 커뮤니케이션의 진화│4. 온라인 사회적 자본│5. 사이버 괴롭힘│6. 인터넷 중독│7. 인터넷과 변화하는 직장│8. 요약
제20장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1. ‘벽돌폰’의 탄생│2. 사회적 조정에 미치는 효과│3. 관계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효과│4. 청소년 문화에 미치는 효과│5. 문자 보내기의 효과│6. 공적 공간에서의 사적 사용│7. 직장 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효과│8. 스마트폰 중독과 노모포비아│9. 요약
참고문헌│찾아보기│옮긴이의 말
책속에서
남북전쟁이 일어나기 전 수년 동안, 노예해방을 지지하는 신문의 영향은 신문(이 경우, 대안 신문)이 여론을 바꾸는 힘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프리덤스 저널(Freedom’s Journal)≫, ≪더 컬러드 아메리칸(The Colored American)≫, ≪노스 스타≫ 같은 흑인계 신문은 흑인들의 대의명분을 알렸고 노예제도를 공격했으며 북부 지역에 노예해방 정서가 고조되는 데 기여했다. 결국 이 같은 신문의 내용은 흑인들을 교육했고 동원했고 동기화했으며, 미국 북부 지역 사람들에게 인간 노예제도에 대해 훨씬 덜 관용적이고 흑인의 권리에 대해 더 동정적인 태도를 심어주었다. _ 제2장 미디어 효과에 대한 역사적 증거
좀 더 최근에는 ‘가짜 뉴스(fake news)’라는 표현이 2016년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와 힐러리 클린턴(Hillary Clinton) 간의 대통령 선거전 전후로 정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트럼프는 자신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실제 이야기를 흔히 가짜 뉴스라고 낙인찍었지만, 적극적으로 허위 조작 정보(disinformation)를 퍼뜨리는 캠페인들은 소셜 미디어를 문자 그대로의 가짜 뉴스(즉, 독자를 오도하려는 의도로 쓰인 노골적인 거짓 이야기)로 가득 채웠다. 가짜 뉴스에 대한 논의는 온라인, 대면 상황, 그리고 뉴스 미디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이었다. 정치 지도자, 저널리스트 및 활동가의 가짜 뉴스에 대한 트윗으로 기폭된 사람들은 이후에 기폭되지 않은 참여자들에 비해 뉴스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가 더 낮았고 실제 뉴스 기사를 식별하는 정확도도 더 떨어짐을 연구자들은 확인했다. _ 제5장 기폭
의제 설정은 언론이 “무엇을 생각해야 할지를 사람들에게 말해주는 데에는 상당 기간 성공적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무엇에 ‘대해서’ 생각해야 할지를 말해주는 데에는 놀랄 만큼 성공적”이라는 코헨의 인용문을 통해 흔히 설명된다. 최근 연구는 매스 미디어가 또한 사람들이 무엇을 생각해야 할지를 말해주는 데도 성공적임을 보여주는 ‘2단계 의제 설정 효과’를 확인했다. _ 제6장 의제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