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디어 효과의 기초

미디어 효과의 기초 (양장)

(이론과 연구, 제3판)

제닝스 브라이언트, 브루스 핀클리어 (지은이), 배현석 (옮긴이)
한울(한울아카데미)
6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4,000원 -0% 0원
640원
63,360원 >
64,000원 -0% 0원
0원
64,000원 >
57,600원 -10% 0원
640원
56,960원 >
57,600원 -10% 0원
3,200원
54,400원 >
57,600원 -10% 0원
0원
57,600원 >
11st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디어 효과의 기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디어 효과의 기초 (양장) (이론과 연구, 제3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46075702
· 쪽수 : 760쪽
· 출판일 : 2025-03-20

책 소개

중요한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쌓고 주요 연구 분야를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이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능력을 개발하고 더 나은 미디어 제작자, 소비자, 시민이 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목차

서문

제1부 개관 및 역사
제1장 미디어 효과의 이해
1. 커뮤니케이션 과정│2. 커뮤니케이션 모델│3. 미디어 효과 측정│4. 기타 미디어 효과 조사방법론│5. 미디어 효과 이론 개관│6. 미디어 효과 연구의 중요성│7. 요약

제2장 미디어 효과에 대한 역사적 증거
1. 미디어 효과에 대한 역사적 우려│2. 매스 미디어로 인한 행동 및 의견 변화에 대한 역사적 증거│3. 요약

제3장 과학적인 미디어 효과 연구의 역사
1. 미디어 효과 연구의 초창기│2. 강력한 효과의 개념│3. 제한된 미디어 효과의 개념│4. 각기 다른 수준의 효과│5. 상호교류적 효과 또는 절충된 효과│6. 몇몇 미디어 효과 연구의 개척자들│6. 효과 연구의 미래│7. 요약

제2부 이론 및 개념
제4장 사회 인지 이론
1. 인간의 독특한 특성│2. 관찰 학습과 모델링│3. 모델링의 효과│4. 미디어 내용을 통한 학습과 모델링│5. 사회적 촉진 혹은 설득│6. 새로운 미디어에 사회 인지 이론 적용하기│7. 상징적 모델링을 통한 확산│8. 사회 인지 이론의 한계점│9. 요약

제5장 기폭
1. 접근성│2. 기폭의 활성화│3. 기폭 효과의 특징과 경계 조건│4. 기폭 모델│5. 폭력적 내용으로 인한 기폭 효과를 높이는 변인들│6. 기폭 연구의 주요 영역│7. 요약

제6장 의제 설정
1. 개념적 뿌리│2. 연구 전통│3. 2차 및 3차 의제 설정 그리고 그 이상│4. 의제 설정의 심리학│5.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의 의제 설정│6. 요약

제7장 프레이밍
1. 프레이밍 이론의 기초│2. 프레이밍과 유사 개념 구별하기│3. 프레임 형성과 프레임 설정│4. 프레이밍 연구│5. 프레이밍 연구의 미래│6. 요약

제8장 배양
1. 문화 지표 프로젝트│2. 개념과 비판│3. 배양의 이론적 기초│4. 배양 연구의 다른 영역들│5. 요약

제9장 이용과 충족
1. 매스 미디어의 사회적 기능│2. U&G 연구: 간추린 역사│3. U&G의 가정│4. U&G에 대한 비판│5. 이용과 효과를 설명하는 모델│6. 오락을 위한 미디어 이용│7. 21세기의 U&G 연구│8. 요약

제10장 설득
1. 연구 전통│2. 태도, 정서, 행동, 그리고 설득│3. 설득 모델 및 이론│4. 신념, 태도 및 행동을 연결하는 모델│5. 최근 연구│6. 요약

제3부 주요 연구 영역
제11장 미디어 폭력의 효과
1. 미디어 폭력 연구와 공공정책: 역사와 미래│2. 미디어 폭력 효과 연구에 사용된 주요 이론│3. 미디어 폭력 연구 방법│4. 미디어 폭력의 심리학적 영향│5. 미디어 폭력 즐기기│6. 미디어 폭력은 우려해야 할 정도인가?│7. 요약

제12장 성적인 미디어 내용의 효과
1. 성적 내용의 속성│2. 미디어의 성적 내용의 정도│3. 주류 미디어의 성적인 내용에 대한 노출의 효과│4. 소셜 미디어의 성적인 내용에 대한 노출의 효과│5. 매우 노골적으로 성적인 내용에 대한 노출의 효과│6. 성 폭력물에 대한 노출의 영향│7. 성적 스크립트 습득, 활성화, 적용 모델│8. 성적 미디어 내용이 미치는 효과의 매개 변인과 조절 변인│9. 포르노그래피 연구에 대한 우려 사항│10. 요약

제13장 두려움이나 불안감을 유발하는 미디어 내용의 효과
1. 공포에 대한 연구│2. 공포의 매력에 대한 설명│3. 공포 측정│4. 미디어 내용에 두려움 반응을 보이는 이유│5. 공포 반응과 즐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6. 어린이의 공포 반응│7. 두려움에 대처하는 전략│8. 요약

제14장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1. 민주주의에서의 매스 미디어의 기능│2. 20세기의 정치적 미디어 효과에 대한 이해│3.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의 정치 커뮤니케이션 효과│4. 정치적 정보원으로서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5. 요약

제15장 건강에 미치는 매스 미디어의 효과
1. 연구 결과│2. 온라인 건강 정보│3. 건강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효과│4. 요약

제16장 미디어 고정관념화의 효과
1. 미디어의 소수자 묘사: 되돌아보기│2. 사회적 정보 전달자로서의 미디어: 현재 모습│3. 소수자 수용자의 특성│4. 젠더 고정관념화│5. 미디어 고정관념의 영향│6. 요약

제17장 어린이 교육 미디어의 효과
1. 교육 텔레비전│2. 어린이 미디어를 통한 학습에 대한 핵심 질문│3. 요약

제18장 비디오 게임의 효과
1. 현대의 게이머 살펴보기│2. 폭력적인 비디오 게임의 효과│3. 비디오 게임 중독에 대한 지속적인 논쟁│4. 비디오 게임의 긍정적 효과│5. 요약

제19장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효과
1. 온라인에서 얼마나 많은 시간을 보내며 무엇을 하는가?│2. 소셜 미디어 이용의 효과│3. 컴퓨터-매개 커뮤니케이션의 진화│4. 온라인 사회적 자본│5. 사이버 괴롭힘│6. 인터넷 중독│7. 인터넷과 변화하는 직장│8. 요약

제20장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1. ‘벽돌폰’의 탄생│2. 사회적 조정에 미치는 효과│3. 관계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효과│4. 청소년 문화에 미치는 효과│5. 문자 보내기의 효과│6. 공적 공간에서의 사적 사용│7. 직장 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효과│8. 스마트폰 중독과 노모포비아│9. 요약

참고문헌│찾아보기│옮긴이의 말

저자소개

제닝스 브라이언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앨라배마 대학교(UA) 명예 석좌 교수를 지냈다. 2010년 은퇴하기 전에는 CIS 석좌 연구 교수, 레이건 방송 기부 석좌 교수(Reagan Endowed Chair of Broadcasting), UA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과학대학 대학원 연구 및 조사 부학장을 역임했다. 2008년에는 대학의 버넘 공로 교수상(Burnum Distinguished Faculty Award)을, 2000년에는 블랙몬­무디 우수 교수상(Blackmon­Moody Outstanding Professor Award)을 수상했으며 2002~2003년에는 국제 커뮤니케이션 협회(ICA: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회장을 역임했다. 2006년에는 방송교육협회(Broadcast Education Association)로부터 저명 학자상(Distinguished Scholar Award)을 수상했고, 국제 커뮤니케이션 협회 펠로우(Fellow)로 선출되었으며, 그를 기리는 연구 개척자 헌정 에세이(Research Pioneer Tribute Essay)가 《방송 및 전자 미디어 저널(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에 게재되었다(“Jennings Bryant-The ‘Complete’ Scholar”). 2011년에는 ICA로부터 스티븐 채피 생애 생산성상(Steven Chaffee Career Productivity Award)을 수상했다. 브라이언트는 2018년 앨라배마 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과학 대학(College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ciences) 명예의 전당(Hall of Fame)에 헌액되었다. 그는 12권으로 구성된 『국제 커뮤니케이션 백과사전(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ommunication)』의 자문 편집자였다. 브라이언트는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20여 권의 학술 서적 또는 교재를 저술하거나 편집했다. 또한 160여 편의 학술지 논문과 250여 편의 학회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브루스 핀클리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몬테발로 대학교의 부교수 겸 매스 커뮤니케이션 코디네이터이다. 핀클리어는 방송 뉴스 제작, 미디어와 문화, 미디어 이론 및 효과와 관련된 다양한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2021년에는 몬테발로 대학교 전국 동창회 교육에 대한 탁월한 헌신상(National Alumni Association Outstanding Commitment to Teaching Award)을 수상했다. 2022년에는 학위 취득 후 첫 15년 이내에 성공을 거둔 15명의 동문에게 수여하는 UMNNA의 ‘15 Within 15 Award’ 수상자에 선정되었다. 핀클리어의 연구는 어린이 미디어, 특히 픽사 영화 속 성 묘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미디어 효과의 기초(Fundamentals of Media Effects)』 2판과 3판 외에도 『국제 미디어 효과 백과사전(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dia Effects)』, 『커뮤니케이션 이론 및 밀레니얼 대중문화: 에세이와 응용(Communication Theory and Millennial Popular Culture: Essays and Applications)』, 『전자 미디어의 인종과 젠더: 콘텐츠, 맥락, 문화(Race and Gender in Electronic Media: Content, Context, Culture)』에 기여했다.
펼치기
배현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4년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1986년 연세대학교 동 대학원(신문방송학 전공)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방송위원회(현 방송통신위원회) 연구원을 거쳐, 1998년 미시건 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Dept. of Telecommunication)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8년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객원교수를 지낸 후, 1999년부터 지금까지 동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미디어의 효과, 특히 교육적 오락물(Entertainment-Education)과 보건 커뮤니케이션이며,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편집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역서: 『저항과 설득』(2013), 『커뮤니케이션 정책의 기초: 전자 미디어 규제의 원칙과 과정』(2012), 『미디어 메시지 분석: 양적 내용분석방법(개정판)』(2011, 공역), 『방송시장의 경제적 규제: 진화하는 기술과 정책적 과제』(2011), 『국제 커뮤니케이션(개정판)』(2009), 『교육적 오락물과 사회 변화: 역사, 연구 및 실제』(2008), 『미디어 효과의 기초』(2005)
펼치기

책속에서

남북전쟁이 일어나기 전 수년 동안, 노예해방을 지지하는 신문의 영향은 신문(이 경우, 대안 신문)이 여론을 바꾸는 힘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프리덤스 저널(Freedom’s Journal)≫, ≪더 컬러드 아메리칸(The Colored American)≫, ≪노스 스타≫ 같은 흑인계 신문은 흑인들의 대의명분을 알렸고 노예제도를 공격했으며 북부 지역에 노예해방 정서가 고조되는 데 기여했다. 결국 이 같은 신문의 내용은 흑인들을 교육했고 동원했고 동기화했으며, 미국 북부 지역 사람들에게 인간 노예제도에 대해 훨씬 덜 관용적이고 흑인의 권리에 대해 더 동정적인 태도를 심어주었다. _ 제2장 미디어 효과에 대한 역사적 증거


좀 더 최근에는 ‘가짜 뉴스(fake news)’라는 표현이 2016년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와 힐러리 클린턴(Hillary Clinton) 간의 대통령 선거전 전후로 정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트럼프는 자신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실제 이야기를 흔히 가짜 뉴스라고 낙인찍었지만, 적극적으로 허위 조작 정보(disinformation)를 퍼뜨리는 캠페인들은 소셜 미디어를 문자 그대로의 가짜 뉴스(즉, 독자를 오도하려는 의도로 쓰인 노골적인 거짓 이야기)로 가득 채웠다. 가짜 뉴스에 대한 논의는 온라인, 대면 상황, 그리고 뉴스 미디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이었다. 정치 지도자, 저널리스트 및 활동가의 가짜 뉴스에 대한 트윗으로 기폭된 사람들은 이후에 기폭되지 않은 참여자들에 비해 뉴스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가 더 낮았고 실제 뉴스 기사를 식별하는 정확도도 더 떨어짐을 연구자들은 확인했다. _ 제5장 기폭


의제 설정은 언론이 “무엇을 생각해야 할지를 사람들에게 말해주는 데에는 상당 기간 성공적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무엇에 ‘대해서’ 생각해야 할지를 말해주는 데에는 놀랄 만큼 성공적”이라는 코헨의 인용문을 통해 흔히 설명된다. 최근 연구는 매스 미디어가 또한 사람들이 무엇을 생각해야 할지를 말해주는 데도 성공적임을 보여주는 ‘2단계 의제 설정 효과’를 확인했다. _ 제6장 의제 설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