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75815379
· 쪽수 : 206쪽
· 출판일 : 2016-09-15
책 소개
목차
chapter 1 이노베이션과 디자인싱킹
1.1. 이노베이션이란 무엇인가?
1.2. 왜 이노베이션이 필요한가?
1.3. 디자인싱킹이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1.4. 어디서 디자인싱킹을 배울 수 있는가?
1.5. 디자인싱킹에 대한 통상적 오해
chapter 2 디자인싱킹으로 사회를 리디자인해 보자
2.1. 디자인과 디자인싱킹에 대한 소사(小史)
2.2. 디자인과 디자인싱킹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2.3. 디자인싱킹의 공통적 특징
2.4. 디자인싱킹은 마인드세트(mind-set)이다
2.5. 디자인싱킹 실천을 위한 환경
chapter 3 디자인싱킹 그 특징은 무엇인가
3.1. Stanford d.school의 디자인싱킹 모델
3.2. 문제 발굴은 고객의 니즈 파악에서
3.3. 공감
3.4. 공감을 위한 관찰
3.5. 문제 정의는 어떻게 하는가?
chapter 4 공감하기(empathize) : 제1단계
4.1. 공감이란 무엇인가
4.2. 왜 공감이 중요한가?
4.3. 공감은 어떻게 하는가?
chapter 5 문제정의(Problem Definition) : 제2단계
5.1. 해석해 본다
5.2. 문제 정의에 대해서
5.3. 문제 정의의 목표
5.4. 문제 정의로부터 창조(아이디어 발상)로의 이행
chapter 6 아이디어 발상 : 제3단계
6.1. 아이디어 발상이란 무엇인가?
6.2. 왜 아이디어 발상이 중요한가?
6.3. 아이디어 발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6.4. 어떻게 아이디어를 발상하는가?
6.5. 아이디어 발상에서 프로토타핑으로 이행
chapter 7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 : 제4단계
7.1. 프로토타이핑이란 무엇인가
7.2. 프로토타이핑은 왜 중요한가?
7.3. 프로토타입의 형태
7.4. 어떻게 프로토타입을 만드는가?
7.5. 프로토타입에서 테스트로의 이행
chapter 8 테스트(Test) : 제5단계
8.1. 테스트란 무엇인가?
8.2. 테스트는 왜 하는가?
8.3. 테스트 과정
8.4. 테스트를 통한 피드백 받기(Gather Feedback)
chapter 9 디자인싱킹 프로세스의 여러 모형
9.1. 디자인 과정을 따르는 Stanford-IDEO 모델
9.2. IDEO의 디자인싱킹 모델
9.3. 포츠담 대학 HPI D-School의 디자인싱킹 프로세스 모델
9.4. 프로그(FROG)의 디자인싱킹 프로세스 모델
9.5. 스마트 디자인 그룹의 디자인싱킹 프로세스 모델
9.6. 컨틴움(CONTINUUM)의 디자인싱킹 프로세스 모델
9.7. 퓨즈 프로젝트(PUSE PROJECT)의 디자인싱킹 프로세스 모델
9.8. IBM의 Agile 디자인싱킹 프로세스 모델
9.9. 디자인싱킹의 5단계 프로세스
chapter 10 인간 중심 디자인을 위한 연구 툴
10.1. 인간 중심 디자인의 3가지 관점
10.2. 인간 중심 디자인 프로세스
10.3. 질적 연구 방법(Qualitative Research Method)
10.4. 디자인 과제 정의하기
10.5. 인터뷰 실시
10.6. 공감적 디자인(Empathic design)
10.7. 패턴 인식하기(Identify patterns)
10.8. 새로운 솔루션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10.9. 전달하기(Deliver)
부록
1. 디자인싱킹 툴(Tool)
2. 교육 과정 개선을 위한 HMW 질문 사례
3. 가상 집중 강좌(Virtual Crash course)를 통한 디자인싱킹 실습
4. 디자인싱킹을 기반한 공학 설계 절차
참고 자료
책속에서
디자인싱킹이 도대체 이처럼 요원의 불길처럼 확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가장 큰 이유는 아마도 미래를 짊어지고 갈 젊은이들에게 생각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들로 하여금 빠른 시간에 국제화를 촉진시켜, 이노베이션을 이룩하는 사회의 주역이 되도록 하는 기회를 창출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실제 이 목표는 10여 년 전 싱가포르 정부 및 대학이 공동으로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 육성을 위해 세계 각국을 벤치마킹하고, 마침내 캐나다 토론토대학 비즈니스 스쿨과 협업하여 디자인싱킹을 전파할 강사양성을 한 이유이다.
디자인싱킹은 우리가 생각하는 힘들고 어렵고 천재만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노베이션에 접근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즉 레오나르도 다빈치, 토마스 에디슨 그리고 스티브 잡스 같은 이노베이터는 수백 년에 한 사람이나 태어 날 정도의 확률이다. 그런데 디자인 싱킹에서 제시하는 “고객 중심”의 “인간중심 접근법”을 적용하면 이 같은 거인이 아닌 보통 사람들도 이노베이션에 접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