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75818530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22-04-05
책 소개
목차
서론
연구성과
연구방법
1장 조선시대 토착 농촌의 가치
1. 마을의 가치와 개발 그리고 계
무형과 유형의 가치를 담는 마을개발
마을 주민의 결속과 협동, 족계
2. 마을 공유자산 개발과 동계
국당리 동계의 상부상조
방어리 사계와 동계 개발
갓뒤마을의 말림갓 개발과 동계
2장 농촌개발 운동의 신화, 새마을 운동
1. 농촌개발 운동의 궤적과 성취
2. 마을 가꾸기와 새마을 운동
토착 마을과 집성촌
마을 가꾸기 운동과 마을 협동
새마을 운동과 마을개발
새마을 운동 신화의 발견
3. 농촌개발 모델로서 새마을 운동
국제개발로서 새마을 운동 평가
새마을 농촌개발 프로그램 성격과 과제
3장 농촌개발 현장과 새마을 농촌개발
1. 동남아시아, 베트남의 새 농촌 운동
중점 협력국과 농촌개발
토착 농촌과 협동 가치
베트남 농촌개발, 새 농촌 운동
2.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의 새마을 농촌개발
중점 협력국과 개발원조
에티오피아 공적원조와 농촌개발
농촌개발과 새마을 시범마을
시범마을과 토착지식
3. 남미, 페루와 에콰도르의 마을개발
남미의 농촌개발
페루의 농촌개발정책과 새마을
에콰도르 농촌개발정책과 새마을
4장 탈-개발 이론과 개발, 그리고 농촌개발
1.‘개발’의 본질과 이론
2. 탈-개발의 도전 요소와 개발 논쟁
탈-개발의 가치와 개발 요소
탈-개발 개념의 한계와 반론
개발 대안으로서 개발
3. 탈-개발과 상생 그리고 새마을 농촌개발
토착지식과 상생의 가치
대안으로서 새마을 농촌개발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 한국의 농촌개발은 조선시대 이전 토착지식에 바탕하고 있으며, 국제개발로서 새마을 농촌개발 프로그램도 새마을 운동이 그러했듯이 수원국의 역사적 경험이 녹아 있는 토착지식에 대해 주목할 때가 되었다. 새마을 농촌개발 현장에서의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는 국제개발에 있어 인문학의 시각을 갖춘 연구의 관점에서 수원국 농촌의 토착지식과 눈높이를 맞추는 방식이 하나의 대안일 수 있다. 탈-개발이론에 입각한 접근은 새마을 농촌개발 프로그램이 대안으로서 ‘개발’ 개념을 발굴하는 전환점이 된다. 이러한 도전은 한국의 국제개발학이 문사철을 포괄하고 개발 현장의 한국인과의 접촉 내용을 한국학과 접목하면서 인류의 안녕에 대한 기원으로 이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