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Daily Life and Old Documents, Korea

Daily Life and Old Documents, Korea

노인환, 심영환, 이은진, 이재옥, 이현주, 이혜정, 정수환, 허원영 (지은이), 유진숙, 이자경 (옮긴이)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9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Daily Life and Old Documents, Korea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Daily Life and Old Documents, Korea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58667122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3-06-10

책 소개

그동안의 조선 시대 연구는 정치, 사회와 같은 상부구조를 대상으로 한 거대 담론이 주로 소개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시대를 고민하며 삶을 견뎌낸 사람들의 살아 있는 이야기에 대한 궁금증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때, 고문서에 암호로 남아 있는 너무도 많은 사람의 사연을 읽어내는 데 주목했다.
※ 이 책은 2022년 발간한 『고문서에 담긴 조선의 일상』(심영환 외,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를 번역한 것입니다. ※

A treasure house of documentary heritage from the Joseon dynasty to private sources
Treasures found at Jangseogak Archives!
Expert-selected fifty-one items from Jangseogak Archives
Narratives giving a deep understanding of old documents
A moment of life and records turning into history
A new insight into the everyday life of Joseon Korea and the people


This book is a compilation of 51 articles originally published in the online newsletter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which has been running since 2009. The Jangseogak Archives of the AKS houses more than 120,000 royal books from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170,000 private documents collected from across the country. From these materials, 51 remarkable works have been carefully selected to narrate the story of their lives and voices. The protagonists of the stories in this book are very diverse. From kings in palaces to slaves in the countryside, they all strived to make the best of their circumstances. The stories are both surprising and unexpected, capturing the struggles of governing a nation as well as the poignant moments of selling themselves. The stories of these people, captured in the documents, provide an unparalleled opportunity to look into the daily lives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out history.

지은이 소개
All eight authors of this book are researchers at the Jangseogak Archive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eo Wonyoung. He has studied the fields of social and economic history from the late Joseon era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xamining family registers and land ownership systems by analyzing ancient private documents as primary sources.
Jung Suhwan. He has explored old documents and records to trace the daily life of people in villages and rural areas and analyzed major trends ranging from the society of the Joseon era to the New Village Movement (Saemaeul undong) and current rural development in Korea.
Lee Eunjin. She has studied palace document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Recently, she has been focusing on diaries written in the private sector.
Lee Hyejung. She has collected and studied old private documents, especially those that illuminate the history and lifestyle at the time of their production. Lee’s focus is on family collections and book lists.
Lee Hyunju. She has studied the Korean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literature that reflects the language and daily life of the people in general and women in particular of the Joseon era.
Lee Jaeok. He has collected and studied the roster of successful candidates of state examinations. He focuses on embodying the interpersonal networks of successful examination candidates from a digital humanities perspective.
Noh Inhwan. He has collected and studied ancient documents scattered around the private sector. His work focuses on documents issued by kings, government offices, and various institutions of the Joseon Dynasty.
Shim Younghwan. He has studied historical linguistics and governance systems through ancient literature. More recently, he has been deeply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cient languages of Korea and its neighbors

번역자 소개
You Jinsook. She majored in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in Sino-Korean. Her main fields of translation include primary sources of premodern histories and secondary sources.
Lee Jakyung. She specializes in translating Korean Classic literature into English. She completed her PhD course from the Department of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목차

I. Life of the Joseon Literati in Seoul
II. Sincerity Contained in Writings
III. The Prestige of Illustrious Families
IV. Brutal Reality of War and Poverty
V. Documents Bestowed by the King
VI. Life of Government Officials in the Joseon Dynasty
VII. Treasures Found in the Jangseogak Archives
VIII. Discovery of Old Documents

저자소개

심영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한림대학교부설 태동고전연구소(芝谷書堂)(3년) 수료 국사편찬위원회 국내초서과정(2년) 수료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관리학 전공 졸업(문학박사) 동경대학교 한국조선문화연구실 외국인 연구원(6개월) 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연구실 책임연구원 논문 「高麗時代 獎諭敎書 樣式」(2007), 「南宋 淳熙5년(1178) 呂祖謙 勅授告身」(2010), 「朝鮮初 吉再의 追贈과 <追贈牒>의 復元」(2011), 「몽골시대 高麗人 李達漢의 팍바문자 宣命」(2013), 「蒙學三書 몽골어의 한글 轉寫 연구」(2014), 「고대 동아시아 임명문서의 성격-8~10세기 동아시아 임명문서를 통한 통치 시스템의 비교분석」(2015), 「淸學四書 만주어의 한글 轉寫 연구」(2016), 「고려사의 北方語 성씨 石抹에 대하여」(2018), 「藏書閣 소장 滿漢合璧文書의 滿洲語 轉寫」(2019), 「《滿洲源流考》〈附金史舊國語解考〉의 北方語」(2019) 외 다수 저·역서 『朝鮮時代 古文書 草書體 硏究』(소와당, 2008), 『高麗時代 中書門下敎牒』(소와당, 2010), 『變化와 定着-麗末鮮初의 朝謝文書』(3인 공저, 민속원, 2012), 『임원경제지: 유예지』(공역, 풍석문화재단, 2017), 『유불도 삼교 청대 문헌 연구』(3인 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임원경제지: 이운지』(공역, 풍석문화재단, 2019) 외 다수
펼치기
노인환 (감수)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고문서학으로 문학 박사를 받았습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구원이며, 서울 시립 대학교와 충북 대학교에서 고문서와 한국사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감수한 책으로는 《한국사 핵심 8장면 따서 조립하기》, 《특종! 70명으로 읽는 한국사》, 《교과서 한국 인물》, 《키워드 한국사 탐사》 시리즈, 《눈높이 한국사》 시리즈, 《히스토리카 만화 백과》 시리즈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허원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1년부터 지금까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고문서를 다루고 있으며, 현재 장서각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연구분야는 조선후기로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근대이행기를 중심으로 고문서를 통한 사회경제사 연구가 중심이다. <(통계로 보는) 조선후기 국가경제:18~19세기 재정자료의 기초적 분석>(2013), <17세기 충청도 선비의 생활기록:조극선의 인재일록과 야곡일록>(2018) 등의 공저와 「19세기 濟州島의 戶口와 賦稅運營」(2006), 「고문헌학과 민족고전학, 고문헌을 다루는 남과 북의 학문적 입장」(2020),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 사업의 전개와 성과」(2021)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은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후기 궁방(宮房) 문서를 연구하며, 최근에는 주로 민간에서 작성한 일기 자료에 관심을 두고 관련 연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펼치기
이재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과거(科擧) 방목(榜目)을 수집하고 연구하며, 디지털 인문학 관점으로 과거 합격자들의 인적 관계망 구현을 중점으로 고찰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이현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시대의 한글문헌들을 연구하며, 한글문헌에 나타나는 조선시대 사람들의 언어와 일상 특히 여성들의 삶이 반영된 문헌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이혜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민간에 소장된 고서를 수집하고 연구하며, 특히 가문 소장 장서 및 서적 목록을 중심으로 당시의 역사와 생활상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펼치기
유진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자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