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75818790
· 쪽수 : 375쪽
· 출판일 : 2023-11-28
책 소개
목차
서문
1부 현대성과 마을학
1장 AI시대와 마을공동체
Ⅰ. 인공지능사회와 마을공동체의 의미
Ⅱ. 섶마리 마을의 특징과 자료수집
Ⅲ. 섶마리 마을의 공동체성 형성과 실천
Ⅵ. 마을 연대공동체성의 의의
2장 IoT기반 농촌 마을공동체
Ⅰ. 농촌공동체 변화와 IoT기반 마을공동체
Ⅱ. 봉평마을과 방하마을
Ⅲ. 농촌 마을공동체의 실제와 성과
Ⅳ. 플랫폼 기반 마을공동체의 의의
3장 학습기반 마을공동체
Ⅰ. 농촌공동체의 변화와 학습 마을공동체
Ⅱ. 노인친화형 학습 마을공동체
Ⅲ. 노년교육과 학습 마을공동체
Ⅳ. 학습마을 공동체를 지향하며
4장 마을학과 마을 학교
Ⅰ. 마을학의 등장과 특징
Ⅱ. 마을 학교의 실천과 유형
Ⅲ. 마을학 현장적용과 한계
Ⅳ. 마을이 학교다
2부 마을학 전개 : 적정기술 중심으로
1장 적정기술과 베트남 적용
Ⅰ. 대학교육의 현황과 적정기술
Ⅱ. 적정기술 프로그램의 실제와 적용
Ⅲ. 적정기술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의
Ⅳ. 적정기술의 교육적 의의
2장 적정기술과 라오스 적용
Ⅰ. 지속가능사회와 적정기술
Ⅱ. 라오스 사회와 적정기술의 현지 적용
Ⅲ. 적정기술의 적용과 성과
Ⅳ. 지속가능사회 실현으로서 적정기술
3장 적정기술과 대학교육
Ⅰ. 적정기술과 대학-지역사회 연계교육
Ⅱ.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설계와 운영
Ⅲ.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실제와 성과
Ⅳ. 지역전문가 육성을 위하여
4장 공감교육과 마을 시민
Ⅰ. 교실 수업에서 바라본 대학교육
Ⅱ. 공감 시민의 등장과 의의
Ⅲ. 공감 역량과 마을 시민
Ⅳ. 공감 시민 육성을 위하여
3부 글로벌 빌리지 구축 모색
1장 한국형 글로벌 빌리지와 세계시민성
Ⅰ. 글로벌 빌리지 구축과 세계시민 교육
Ⅱ. 청도 섶마리 마을과 세계시민 교육
Ⅲ. 세계시민 교육의 실제와 성과
Ⅳ. 공존형 글로벌 빌리지 구축을 위하여
2장 이주노동자의 농촌사회 유입과 적응
Ⅰ. 이주노동자 유입과 이주노동자 제도 정비
Ⅱ. 이주노동자 유입지역과 지역적 특성
Ⅲ. 이주노동자의 농촌 유입과 적응 양태
Ⅳ. 이주자 유입과 한국 농촌의 과제
3장 문화마을 공동체의 의의와 실제
Ⅰ. 중국 촌락공동체의 변화와 문화마을의 의의
Ⅱ. 문화마을의 현황과 특징
Ⅲ. 민속무 공연과 문화마을 공동체
Ⅳ. 문화마을 만들기의 핵심요인
후기: 마을인문학 정립을 위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마을학의 핵심은 마을 단위 공동체성을 회복하여 마을성을 일상 삶의 영역으로 담아낼 수 있느냐에 모아진다. 마을학은 동네마다 서려 있는 다양한 지역문화의 의미를 찾아야 하며, 그렇게 찾아진 의미를 현대적 차원으로 의미를 복원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잃어버린 주민 간의 연대성을 회복하여 주민 간 친밀공동체성을 맺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런 점에서 마을학은 마을에 담겨있는 관습과 민속, 그리고 전통과 문화를 발굴하여 그 의미를 현대화할 수 있어야 하고, 동시에 주민 간 인문 정신으로 무장했던 공동체성을 되찾는 데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 마을학은 마을구성원인 주민들의 생각, 욕구, 현재의 관심사, 그리고 주민 스스로가 미래의 삶을 기획·설계하는데 새로운 가능성과 전망까지 열어줄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