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식품영양학/조리
· ISBN : 9788975987311
· 출판일 : 2009-03-0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제1장 차의 개요
1. 차의 정의 18
1) 물질적 측면 18
2) 정신적 측면 19
3) 예술적 측면 22
2. 차의 기원 24
1) 신농설(神農說) 25
2) 편작설(扁鵲說) 27
3) 기파설(耆婆說) 28
4) 달마설(達磨說) 28
5) 이아설(爾雅說) 29
6) 왕포설(王褒說) 30
7) 고대문헌에 나타난 차사(茶史)의 흐름 31
3. 차의 명칭과 호칭 34
1) 용어의 기원 34
2) 세계의 차의 용어 35
4. 차의 원산지와 분포 42
1) 차나무의 원산지 42
2) 차나무의 분포지 44
5. 차나무의 학명과 품종 46
1) 차나무의 학명 46
2) 차나무의 품종 47
3) 차나무의 유전 형질과 변이 49
6. 차나무의 식물학적 특성과 의미 49
1) 차나무의 식물학적 특성 49
2) 차의 의미 52
7. 차나무의 재배환경 61
1) 차나무의 재배환경 61
2) 번식법 64
3) 중국 4대 차생산지(4대 차구) 65
제2장 차의 종류와 제다방법
1. 발효의 정의 73
1) 일반적인 발효의 정의 73
2) 차의 발효 74
2. 차의 종류와 제다방법 76
1) 녹차(綠茶 : Green Tea) 76
2) 백차(白茶 : White Tea) 79
3) 오룡차(Oolong Tea) 82
4) 홍차(Black Tea) 90
5) 황차(Yellow Tea) 94
6) 흑차(Dark Green Tea) 96
7) 화차(花茶 : Flower Tea) 101
제3장 차의 성분과 효능
1. 차의 성분과 효능 106
1) 폴리페놀(Polyphenol) 108
2) 카페인(Caffeine) 115
3) 총질소 및 유리아미노산 122
4) 비타민류 126
5) 무기질류 133
6) 기타 성분 138
7) 탄수화물과 다당류 139
8) 유기산 139
9) 사포닌(saponin) 140
10) 색소 140
11) 맛 145
12) 향기 147
2. 차의 변화와 변질과 저장 151
1) 차의 변화와 변질 151
2) 차의 저장과 포장 153
제4장 차의 기능성
1. 피로회복 효과 158
2. 성인병의 예방효과 159
1) 항산화성 작용과 노화억제 효과 159
2) 항암예방 효과 160
3) 혈압 상승억제와 콜레스테롤 상승억제 효과 160
4) 혈당상승 억제 효과 161
5) 비만예방 효과 162
3. 항염작용 효과 162
4. 해독작용 162
1) 알코올과 담배 해독·해소작용 163
2) 환경호르몬의 체외 배설 촉진 164
5. 소취 및 충치 예방 효과 164
6. 방사능 방어효과 165
7. 변비 예방효과 165
8. 감기 예방효과 및 기타 165
9. 체질의 신성화 예방 166
제5장 차의 전파
1. 실크로드와 차 무역 173
1) 실크로드의 역할 173
2) 중국의 차 174
3) 차마무역과 차마고도 175
4) 차의 전파와 차 마시는 풍습 177
5) 차 무역의 확대 177
6) 차문화권의 형성 178
7) 차의 명칭 178
8) 차의 세계화 178
9) 홍차의 탄생과 대중화 179
10) 차의 진화 179
2. 세계 각국으로 차의 전파 180
1) 중국 내의 전파 181
2) 일본으로 전파 181
3) 러시아로 전파 188
4) 인도네시아로 전파 192
5) 인도로 전파 192
6) 스리랑카로 전파 193
7) 티베트로 전파 194
8) 베트남으로 전파 195
9) 유럽으로 전파 195
10) 아랍권 국가로 전파 197
11) 아프리카로의 전파 199
12) 미국으로 전파 200
13) 기타 지역으로 전파 201
제6장 세계 주요 차 생산국
1. 중국 205
2. 인도 208
3. 스리랑카 210
4. 케냐 211
5. 인도네시아 212
제7장 한국의 차 문화
1. 삼국시대 전후의 차 문화 220
1) 가야 220
2) 고구려 221
3) 백제 222
4) 신라 223
2. 고려의 차문화 225
1) 왕실과 귀족들의 차 문화 225
2) 일반 백성의 차 문화 228
3) 고려의 차 도구 228
3. 조선의 차 문화 230
1) 왕실의 차 문화 232
2) 선비들의 차 문화 233
3) 조선의 다구 237
4. 일제 강점기와 근대 차 문화 238
5. 현대의 차 문화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