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75994562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12-11-16
책 소개
목차
제1장 직업교육의 개념과 영역
1.직업교육의 개념
2.직업교육의 영역
제2장 직업교육의 비교사
1.중등교육 및 직업교육 제도 발전의 비교사 개관
2.독일의 복선형 중등교육제도를 지지하는 직업교육제도의 형성과정
3.직업도야 사상의 문제
4.일본의 직업교육사
제3장 직업교육의 이념 및 사상
1.직업교육 이념론의 과제
2.중학교 직업교과 교육의 시대
3.고교 확장기의 직업교육론
4.고교 직업교육의 정체 및 직업교육의 고등교육화 시기
제4장 직업교육의 분석, 평가 및 국제비교
1.직업교육의 비교
2.비교직업교육학
3.1차원 비교에서 3차원 비교로의 발달
4.3차원 시스템 비교
5.두가지 역사 발전축
6.직업교육 분석과 비교의 순서와 항목
제5장 고교 직업교육의 목표와 교육과정
1.일본의 직업교육
2.고교 직업교육의 목표와 내용
3.학교 내 실습과 기업 실습
4.고교 전문학과와 직업교육의 현황
5.1999년 학습지도요령의 개정
6.직업교육에서의 전문완성 지향과 전문기초 지향
제6장 고등학교에서의 산업현장실습과 직업교육
1.직업교육에서의 산업현장실습 및 취업체험
2.학습지도요령에서의 현장실습의 전개
3.직업교육 보완으로서의 현장실습
4.‘일본식 듀얼시스템’에서의 현장실습
5.장기 공백기로부터 직업관 형성을 위한 취업체험으로
제7장 고교 직업교육과 직업 및 취업의 관계 구조
1.일본식 취업 메카니즘
2.이행 과정의 시작
3.이행의 과정
4.이행의 결과
제8장 고등교육에서의 직업교육
1.고졸자의 진학 동향
2.고등전문학교
3.직업능력개발 시설
4.각종학교와 전수학교
5.독일의 직업교육과 전문대학
6.미국의 직업교육과 커뮤니티 컬리지
7.구미와 일본 이외의 고등직업교육
제9장 기업에서의 커리어 형성과 교육
1.기업 내 커리어 형성과 교육학의 관계
2.일본 OJT의 성립, 전개 및 의의
3.OJT와 숙련 형성 과정의 교육적 전개
제10장 직업기술교육직의 교원 및 지도원론
1.고교 직업교육 교사직
2.직업기술교육직에서의 고용 및 직무 프로필 및 자격
3.직업기술 교원 양성
4.교육실천과 전문성 현실: 양성 이후의 입직가정과 노동의 현실
5.직업기술교육직의 개혁 전망
제11장 일본 고교 직업교육과 커리어 교육의 과제
1.일본 직업교육론의 특징과 전제
2.기존 일본식 이행 모형
3.일본식 메카니즘의 요동
4.과제와 결론
책속에서
직업교육의 이념 및 사상의 경우, 넓게는 직업교육의 여러측면(교육과정, 제도 등)과 실천에 관한 논의와 사고를 포함하지만, 여기서는 직업교육의 목적론, 또는 가치론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그 사회적, 교육적 의의에 관한 이론과 사고를 의미한다.
[ 저자서문 ]
일본은 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근대화를 이루었는데 밑바탕에는 선진화된 직업교육이 있었다. 일본은 19세기 중반부터 서구의 직업교육을 재빠르게 받아드렸고, 자신들의 직업교육에 접목시켜 발전시켜 왔다. 이처럼 일본의 직업교육은 근대화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교육을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