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재무/금융
· ISBN : 9788975996429
· 쪽수 : 373쪽
· 출판일 : 2017-09-15
책 소개
목차
1장 외환시장의 효율성 논쟁 17
1. 머리말 18
2. 외환시장효율성 검증문제 18
2-1. 효율시장의 이론적 배경 18
2-2. 확실성세계하의 외환시장 효율성 검증 25
2-3. 불확실성세계하의 외환시장 효율성검증 27
3. 선물환위험할증에 관한 이론 36
3-1. 선물환 위험할증 존재에 관한 이론 36
3-2. 선물환위험할증 보상에 관한 이론 37
2장 외환 선물시장 헤징이론 43
1. 머리말 44
2. 전통적 헤징이론 48
2-1. 이론의 전제 48
2-2. 준거이론 49
2-3. 모형 49
2-4. 이론의 한계 51
3. 기대수익극대화 헤징이론 51
3-1. 이론의 전제 51
3-2. 준거이론 52
3-3. 모형 53
3-4. 이론의 한계 54
4. 포트폴리오 헤징이론 55
4-1. 이론의 전제 55
4-2. 모형 56
4-3. 이론의 한계 61
5. 수익-위험 헤징이론 62
5-1. 이론의 전제 62
5-2. 모형 64
5. 효용극대화 헤징이론 73
5-1. 기수적 효용극대화 헤징이론 73
5-2. 서수적 효용극대화 헤징이론 75
5-4. 이론의 한계 76
7. 맺는말 77
3장 환위험의 정의와 분류 89
1. 환위험의 개념 90
2. 환위험을 보는 눈 91
2-1. 회계적 관점 91
2-2. 경영전략적 관점 92
3. 환위험의 유형 93
3-1. 제 1의 견해 94
3-2. 제 2의 견해 94
3-3. 일반적 견해 94
3-4. 환위험유형에 대한 제언 102
4. 학자들이 분류한 환위험의 유형 103
4-1. 환위험의 유형 103
4장 한국기업의 환위험관리: 1980년대 111
1. 머리말 112
2. 환노출액에 대한 인식 논쟁 115
3. 한국 기업의 환위험관리 실태 조사 117
3-1. 표본설계 117
3-2. 조사방법 및 내용 118
3-3. 한국기업의 환위험에 대한 인식측정 119
3-4. 한국기업의 환위험관리 프로그램의 실태 126
3-5. 한국기업의 환율예측부문의 실태 128
3-6. 한국기업의 환위험정보관리의 실태 130
3-7. 한국기업의 환위험관리전략의 실태 132
3-8. 한국 기업의 환위험관리목표의 조사 134
3-9. 종합: 한국 기업의 환위험관리 실태에 대한 기업유형별 수준 판정 135
5장 한국기업의 환위험관리: 1990년대 139
1. 머리말 140
2. 기업 환위험관리 실태 연구 142
2-1. Carter와 Rodriguez의 연구 142
2-2. Mathur의 연구 142
2-3. Collier와 Davis의 연구 143
2-4. Belk와 Glaum의 연구 143
2-5. Batten과 Mellor의 연구 144
2-6. 조대우의 연구 145
2-7. 민상기의 연구 146
3. 실태조사 표본 설계 147
3-1. 표본 규성 147
3-2. 분석틀과 분석방법 148
4. 분석결과 및 해석 149
4-1. 한국 기업의 환위험 인식 문제 149
4-2. 한국 기업의 환위험관리 목표 154
4-3. 한국 기업의 환위험관리 프로그램 155
4-4. 한국 기업의 환위험 관리전략 156
4-5. 종합: 1990년대 환위험관리 실태 분석 159
6장 한국 제조기업의 환위험관리: 2000년대 163
1. 머리말 164
2. 환위험의 정의 논쟁 165
2-1. 전통적 환위험의 유형 165
2-2. 새로운 환위험의 분류와 명명 165
3. 환위험 실태조사 기존연구 167
4. 환위험 실태조사 대상 169
5. 실태조사 분석 171
5-1. 환위험 인식수준 171
5-2. 한국 기업의 환위험 관리 프로그램 수준 174
5-3. 한국 기업의 환율예측 부문의 수준 175
5-4. 한국 기업의 환위험관리방법의 수준 178
5-5. 한국 기업의 환위험관리 목표수준 180
6. 종합: 한국기업의 환위험관리 실무 지침(3차 조사) 183
7장 대덕밸리 벤처기업의 환위험관리 191
1. 머리말 192
2. 표본 특성 분석 193
3. 대덕밸리 벤처기업의 환위험 인식 수준 195
3-1. 환위험의 인식시점 195
3-2. 환위험의 인식 상황 197
3-3. 환위험에 대한 인식부재 이유 198
4. 대덕밸리 벤처기업의 환위험관리 목표 199
4-1. 환위험관리의 목표와 수준 199
4-2. 환위험의 관리 대상 200
4-3. 환위험관리 목표의 수 200
4-4. 환위험관리 목표의 지위 수준 201
5. 대덕밸리 벤처기업의 환율예측부문 수준 202
5-1. 환율예측 대상 통화 202
5-2. 선호하는 환율예측치의 형태 203
5-3. 환율예측치 선택의 일차 책임자 203
6. 대덕밸리 벤처기업의 환위험관리 프로그램 204
7. 대덕밸리 벤처기업의 환위험정보관리 206
7-1. 가장 선호하는 환율변동 예측기간 206
7-2. 환율예측시 선호 지표 207
7-3. 환율예측 관련정보 획득원천 208
7-4. 예측환율의 보고자 209
8. 대덕밸리 벤처기업의 환위험관리전략 210
8-1. 환위험관리에 대한 CEO의 태도와 사내 의사결정과정 210
8-2. 선호하는 환위험관리수단 210
9. 분석결과의 전략적 해석 212
8장 중국기업의 환위험관리 223
1. 머리말 224
2. 중국 기업의 표본 특성 224
3. 중국기업의 환위험 인식수준 225
3-1. 환위험 인식 시점 225
3-2. 환위험의 인식상황 226
3-3. 환위험 인식 부재 이유 227
4. 환율예측의 수준 228
4-1. 환율예측 통화 228
4-2. 선호하는 환율예측치 228
4-3. 환율예측 주기 229
4-4. 환율예측치 선택시 일차 책임자 229
5. 환위험관리에 대한 목표 230
6. 환위험관리 방법 230
7. 환위험관리 수단 231
8. 환위험관리 프로그램 232
9. 외환손실 발생원인과 환위험관리 수행시 장애요인 233
9-1. 외환손실 발생원인 233
9-2. 환위험관리 수행시 장애요인 234
10. 업종별 중국기업 집단간 차이 분석과 결과 해석 235
11. 지역별 중국기업 집단간 차이 분석과 결과 해석 237
12. 결과 종합 및 전략적 시사점 238
9장 한국기업의 환위험관리 사례 241
1. 머리말 242
2. 한국기업의 환위험관리 성공사례: 1995년도 S전자 사례 246
3. 한국기업의 환위험관리 실패사례: 2008년도 KIKO 사례 250
4. 맺음말 253
찾아보기 286
저자소개
책속에서
필자는 그동안 개념적 정의에 머물렀던 환위험을 제각기 실무적?전략적 정의로 새로운 이름을 명명하고자 한다. 이미 전통적 환위험으로 관리대상이 되고 있고, 환위험관리실무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현재실현환위험(A-1형)은 거래적 환위험 transaction risk, 현재미실현환위험(A-2형)은 환산환위험 translation risk, 미래미확정환위험(D형)은 (협의의) 경제적환위험 economic risk으로 원래대로 사용한다. 그러나 새로이 발현된 두가지 환위험은 새로운 이름을 부여하기로 했다. B형과 C형 환위험이 그것이다. 즉 현재미확정환위험(B형)은 무역환위험 foreign trade risk, counter offer risk으로, 미래확정환위험(C형)은 프로젝트 위험 project risk, revolving L/C risk로 명명하고자 한다. 새로이 제시한 환위험은 전통적인 환위험 두가지, 거래적 환위험과 환산환위험을 포괄하면서도, 그동안 존재하면서도 환위험으로 명명되지 않아 관리대상에서 소홀했었던 무역환위험(B형)과 프로젝트 환위험(C형)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론적 틀과 근거를 마련했다는 측면에서 환율변동으로 인한 환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던 한국 기업들에게 환위험관리에 대한 확신을 갖게 하였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