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OS/Networking > 리눅스
· ISBN : 9788976277596
· 쪽수 : 650쪽
· 출판일 : 2000-10-14
책 소개
목차
1장 리눅스란 무엇인가
1. 리눅스의 정의
1.1 리눅스의 탄생과 역사
1.2 리눅스의 통상적인 의미
1.3 리눅스의 사전적 의미(미국 FOLDOC 사전 참고)
1.4 FSF와 GUN
1.5 GPL과 Open Source
2. 리눅스의 장점
3. 리눅스의 설치
3.1 배포판과 리눅스 구하기
3.2 설치 방법들
4. login과 shutdown
4.1 로그인(login)
4.2 shutdown
4.3 halt
2장 리눅스의 기본
1. 리눅스의 명령들
2. 사용자 계정 암호 관리
3. 네트워크 설정하기
4. vi 에디터의 간단한 사용법
4.1 입력모드
4.2 명령모드
5. 리눅스에서의 프로그램 만들기
5.1 gcc란?
5.2 gcc 사용하기
5.3 make
5.4 make의 사용법
5.5 꼬리말 규칙, 패턴 규칙
5.6 GNU make 확장기능
5.7 매크로(Macro) 기능
5.8 주의 사항
3장 시스템 관리
1.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디렉토리 구조
1.1 루트 디렉토리 (/)
1.2 일반적인 명령어 디렉토리 (/bin)
1.3 시스템 설정 디렉토리 (/etc)
1.4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명령어 디렉토리(/sbin)
1.5 기본 라이브러리 디렉토리 (/lib)
1.6 디바이스들을 위한 디렉토리 (/dev)
1.7 임시 파일을 위한 디렉토리 (/tmp)
1.8 가변 파일을 위한 디렉토리 (/var)
1.9 응용 프로그램 디렉토리 (/usr)
1.10 사용자 디렉토리 (/home)
2.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
2.1 mount
2.2 Lilo와 리눅스 부트 디스크 만들기
2.3 기타 시스템 관련 프로그램
3. 응용 프로그램 설치
3.1 rpm 사용법
3.2 패키지(Package) 설치와 제거
3.3 패키지 구성 요소 확인
3.4 패키지 검증
3.5 RPM 유용한 팁
4. 명령어 결합하여 쓰기
5.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 변경 명령어
5.1 패스워드의 변경
5.2 쉘의 변경
5.3 사용자 정보의 변경
6. 시스템 중요 설정 파일
6.1 /etc/passwd. /etc/shadow
6.2 /etc/fstab
6.3 /etc/hosts
6.4 /etc/issue, /etc/issue.net
6.5 /etc/motd
6.6 /etc/rc.d/rc.local
6.7 /etc/resolv.conf
6.8 /var/log/wtmp
6.9 /etc/sysconfig/network
7. 리눅스에서의 사운드 카드 설정과 멀티미디어 활용하기
7.1 사운드 카드의 설치
7.2 음악듣기 - xmms 프로그램
7.3 동영상 보기 - mtv
7.4 볼륨 조절기 - wmmixer
7.5 동영상 보기 - xanim
4장 네트워크 관리
1.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 데몬 프로세스(daemon process)
1.1 inet.conf 파일
1.2 inet 데몬 프로세스의 동작
2. 네트워크 서비스 막기
3. 웹 서비스를 위한 http 데몬의 동작
3.1 httpd의 특성
3.2 웹 브라우저를 통한 접속의 권한
3.3 다른 포트 사용하기
4. 삼바(Samba)
4.1 삼바의 설정(/etc/smb.conf)
4.2 삼바의 웹 관리툴 swat
5장 커널(kernel) 다루기
1. 커널의 역할
1.1 리눅스 커널 컴파일
1.2 리눅스 커널 업그레이드
1.3 커널 구하는 방법
2. 커널 관리자
2.1 커널 버전 규칙
2.2 또 한 명의 커널 관리자
3. 커널 컴파일을 위해 준비해야 할 것들
3.1 필요한 프로그램들
3.2 디스크 공간
3.3 자신의 시스템에 대한 정보
4. 리눅스 커널의 동작
5. 커널 모듈에 대한 소개
5.1 모듈로 사용했을 때의 장점
5.2 모듈로 사용했을 때의 단점
6. 모듈
6.1 모듈의 분류
6.2 하드웨어 지원
6.3 네트워크 모듈 지원
6.4 파일 시스템
7. 모듈 사용하기
7.1 모듈 올리기
7.2 모듈 내리기
8. 자동으로 모듈 올리기 - modprobe, depmod
8.1 depmod
8.2 modprobe
9. 모듈 사용의 자동화 - 데몬, 스타트업
10. 커널 설정을 위한 프로그램의 구동
10.1 설정 방법
11. 커널 설정하기
11.1 Code maturity level options
11.2 Processor type and features
11.3 Loadable module support
11.4 General Play support
11.5 Plug and Play support
11.6 Block devices
11.7 Networking Options
11.8 SCSI support
11.9 Network device support
11.10 Amateur radio support
11.11 IrDA subsystem support
11.12 ISDN subsystem
11.13 Old CD-ROM drivers(not SCSI, not IDE)
11.14 Character device
11.15 Filesystems
11.16 Console drivers
11.17 Sound
11.18 Kernel hacking
12. 설정 저장하기
13. 커널 컴파일
13.1 make zlmage
13.2 make zdisk
13.3 make zlilo
13.4 make bzlmage
14. 모듈 컴파일 하기
15. 모듈 인스톨
16. 새로운 커널로 부팅하기
16.1 LILO 설정하기
16.2 loadlin.exe
6장 기본적인 펄(Perl) 사용하기
1. 펄의 역사
2. 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
3. 펄의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
3.1 인터넷에서 펄을 구하자
4. 아파치(Apache) 서버 다루기
4.1 아파치 서버 설치하기
4.2 펄 프로그램의 환경 설정 및 사용
5. CGI(Common Gateway Interface) 다루기
5.1 CGI 메소드
6. 첫 번째 펄 프로그램
6.1 Hello 프로그램
7. 펄의 기초 문법
7.1 펄의 데이터 타입
7.2 펄의 제어문과 연산자
7.3 펄의 정규 표현(Regular Expression) 그리고 패턴
7.4 문자열 매칭
7.5 문자열 치환
8. 펄을 사용한 FileFind와 Grep 프로그램
8.1 grep 프로그램
8.2 FileFind 프로그램
7장 펄을 사용한 고급 기능 만들기
1. 카운터 만들기
1.1 SSI(Server-Side Includes)
1.2 SSI 기능을 사용한 텍스트 카운터 만들기
2. 이미지 카운터 만들기
3. FLY의 사용법
4. FLY를 사용한 이미지 카운터 만들기
4.1 이미지 카운터 설계
5. 펄을 이용한 웹 방명록 만들기
5.1 웹 방명록
5.2 방명록 프로그램의 구조
5.3 웹 방명록 프로그램에 필요한 서브 루틴
5.4 Ultracat 방명록 초기 화면
5.5 Ultracat 방명록 쓰기 화면
5.6 방명록을 다 쓰고 나서
5.7 Ultracat 방명록 작성 후 화면
5.8 Ultracat 방명록 전체 소스 코드
6. 웹 게시판
6.1 게시판 프로그램의 구조
6.2 웹 게시판 프로그램에 필요한 서브 루틴
6.3 UltraBoard 전체 소스 코드
8장 펄을 사용한 웹 메일 기능 만들기
1. 펄 모듈과 라이브러리
1.1 cgi-lib.pl
1.2 CGI.pm
2. 웹 메일 뷰어
3. 웹 메일 뷰어 (Web-Mail Viewer)를 위한 POP3 모듈 설치
4. 모듈을 사용한 웹 메일 뷰어 CGI 프로그램
5. 웹 메일 뷰어 CGI 프로그램 소스
6. 웹 메일 작성기
6.1 웹 메일 작성기 (Web-Mail Writer)를 위한 POP3 모듈 설치
6.2 모듈을 사용한 웹 메일 작성기 CGI 프로그램
7. 웹 메일 작성기 CGI 프로그램의 소스
9장 펄과 데이터베이스의 연결
1. SQL 서버 6.5의 설치 및 환경 설정
1.1 SQL 서버 6.5의 설치
2. 웹 주소록 프로그램을 위한 DB의 생성 및 계정 설정
3. ODBC 환경 설정
4. NT에서 펄을 사용한 웹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4.1 DBL & DBD 모듈을 사용한 MS-SQL 서버 접근
5. 펄과 SQL 서버를 사용한 웹 주소록 작성
5.1 전체 주소록 보기
5.2 사용자 추가
5.3 사용자 조회
5.4 사용자 삭제
10장 PHP와 MySQL
1. MySQL의 소개
2. MySQL의 설치
2.1 rpm을 이용한 MySQL의 설치
2.2 소스를 이용하여 설치
3. 아파치 서버 소개
4. PHP4란?
5. 아파치(Apache) 서버의 설치
5.1 PHP4 라이브러리/ 모듈 설치
5.2 아파치 컴파일
5.3 아파치 실행시키기
6. 아파치 환경 설정
6.1 Apache User 추가
6.2 httpd.conf
부록: 부록 CD 설치 가이드
설치준비
설치 프로그램 부팅
언어 선택
키보드 선택
마우스 선택
설치 경로
파티션 포맷
LILO 설치
네트워크 설정
시간대 설정
계정 설정
인증 방법 설정
패키지 설정
설치에 관하여
패키지 설치
부트 디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