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76334404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11-12-05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특집기획
문제는 ‘재정’이다 - 주요 선진국 재정상황 점검
01 글로벌 재정위기 향방이 왜 중요한가? | 신창목
02 유럽 재정위기, 파국으로 치달을 것인가? | 김득갑
03 미국 재정적자 감축계획, 순조롭게 진행될까? | 곽수종.김화년
04 일본의 재정적자, 정말 괜찮은가? | 구본관
05 선진국 재정위기,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 구본관
1 세계경제
PREVIEW
01 미.중 통상분쟁과 보호주의 심화 | 권혁재.최명해
02 동아시아에서 재점화되는 FTA 논의 | 박번순.권혁재
03 확대되는 신흥국 기업의 세력 | 정무섭.김경훈
04 반(反)월가 시위, 금융자본에 대한 규제강화 | 권순우
05 주요국 대선과 경제정책 이슈 | 박준
06 불안요인 확대로 복잡해지는 중동정세 | 방태섭
07 부진지속이 예상되는 세계경제 | 구본관
08 회복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는 미국경제 | 곽수종
09 저성장기조가 심화되는 EU경제 | 이종규
10 성장동력이 취약한 일본경제 | 구본관
11 성장세 둔화가 예상되는 중국경제 | 엄정명
12 도약을 준비하는 신흥국경제 | 정무섭.김경훈.이대식.박번순
13 중동사태 해결로 하락하는 국제유가 | 김화년
2 국내경제
PREVIEW
01 약화되는 한국경제의 3대 성장동력 | 신창목
02 굳게 닫힌 지갑, 민간소비 부진 지속 | 이은미
03 불확실성 확대로 위축되는 투자심리 | 이찬영
04 글로벌 경기둔화로 노란불이 켜진 수출항 | 이태환
05 물가, 불안한 진정세 | 정진영
06 일자리 창출력 둔화로 고민하는 구직자들 | 손민중
07 시장금리, 안정기조 지속 | 전효찬
08 변동성이 큰 가운데 하락하는 원/달러 환율 | 정대선
09 가계부채, 부실화 우려 증가 | 이은미
10 낮아진 한국의 위기 재발 가능성 | 정영식
3 산업
PREVIEW
01 차세대 제품경쟁이 본격화되는 정보통신산업 | 권기덕
02 TV시장 정체로 저성장이 예상되는 가전산업 | 이치호
03 업계 구조조정이 예상되는 반도체산업 | 정동영
04 성장정체 국면에 진입한 디스플레이산업 | 박성배
05 신흥시장 쟁탈전이 격화되는 자동차산업 | 복득규
06 기술력 경쟁이 본격화할 조선산업 | 배영일
07 수출에 적신호가 켜진 석유화학산업 | 고유상
08 성장둔화 속 업태혁신이 가속화되는 유통산업 | 김진혁
09 글로벌 특허전쟁의 확산 | 박찬수
4 기업경영
PREVIEW
01 기업의 ‘스마트’한 위기대응 노력 확산 | 김종년
02 신흥국 공략의 고도화 | 이동훈
03 신사업 적기 추진을 위한 역량 확보 | 윤영수
04 글로벌 기업시민활동 가속화 | 채승병
05 여성임원의 양성 및 등용 확대 | 강우란.진현
06 조직활력 및 유연성 확보를 위한 젊은 조직 만들기 | 김재원
07 위기를 도약의 계기로 삼는 조직일체감 형성 | 엄동욱
08 저성장시대에 대비한 휴먼터치형 사기진작 | 김태정
5 공공정책
PREVIEW
01 다채로워지는 공생발전정책, 제약되는 추진탄력 | 김선빈
02 재정건전성 강화를 위한 세제개편 논의의 부각 | 도건우
03 회복이 지연되는 부동산시장 | 박재룡
04 변화하는 복지제도, 한국형 복지모델 찾기 | 김정근
05 헬스케어산업의 글로벌화와 공공의료시스템의 정비 | 이승철
06 가속페달을 밟을 중소기업 글로벌화 지원 | 이갑수
07 상시적 대학구조개혁과 교육복지 요구 확대 | 류지성
08 고령화시대, 정년 60세 논의 본격화 | 태원유
09 선거정국과 복수노조로 인한 노사관계 불안 | 이정일
10 중앙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의 지방시대 개막 | 박용규
11 저탄소경제를 향한 녹색규제 본격화 | 강희찬
12 FTA와 기상이변 위험을 극복하는 농축산업 | 박환일
13 권력재편기의 한반도, ‘안정 속의 불안정’ | 임수호
6 사회.문화
PREVIEW
01 진폭을 확대하는 복합적 사회갈등 | 김선빈
02 워크스마트 3.0시대 진입 | 이병하
03 개인정보 보호문제의 부각 | 홍선영.김병완
04 재외동포의 사회참여와 모국에 대한 영향력 확대 | 최홍
05 K팝 열풍과 신(新)한류관광의 진화 | 주영민
06 종합편성채널 개국과 디지털방송 전환 | 안신현.서민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