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76333254
· 쪽수 : 329쪽
· 출판일 : 2006-10-3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머리말
1장 한국 경제 시스템의 재검토
1987년, 한국 경제구조 변화의 시작
정체성의 혼란과 비전의 부재
방법론:경제 시스템, 거시경제 그리고 제도
경제 시스템의 관점에서 본 한국 경제의 특징
2장 1987년 이후 한국 경제 시스템의 변화
경제 시스템과 경제성장
거시경제적 성장 메커니즘의 시대별 변천
설비투자, 소비, 수출의 변화
3장 회환위기의 도전과 응전
외환위기의 발생 원인
외환위기와 정책 실패
외환위기의 도전과 응전
결론
4장 제도개혁의 득과 실
제도개혁의 주체와 방향성
금융 부문 개혁
기업지배구조 개혁
결론
5장 한국 경제의 성장잠재력 평가
경제성장률과 성장잠재력 저하
한국 경제성장의 공급과 수요 측면 분석
한국 경제의 성장잠재력 평가
결론
6장 한국 경제 희망의 싹은 있는가
한국 경제의 선택과 경제발전
한국 경제의 선택
한국 경제 희망의 싹은 있는가
실용적 대안 모색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1987년은 한국 사회에서 정치적 민주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한 해이다. 제9차 개헌과 평화적 정권 교체에 이어 사회 전반에 걸쳐 민주적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이 광범위하게 추진되었다. 정치·사회적 영역의 민주화는 우선 경제적 의사결정의 주체를 다원화 시켰다. 권위주의적 성장체제하에서는 '정부'와 '기업'이 주된 경제 주체로서 경제적 자원 배분의 중심축에 있었으나, 민주화를 계기로 '근로자', '소비자', '시민사회'가 경제적 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이해관계자로 등장했다. - 본문 20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