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76415714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06-01-25
책 소개
목차
- 책머리에
1부 최부 표해록의 연구와 번역의 회고
1장 최부 표해록 연구술평
1. 초기의 <표해록> 연구
2. <표해록> 의 4종 한글 번역
3. <표해록> 연구의 확산
4. <표해록> 특집과 답사기
5. 최근의 <표해록> 연구
2장 최부 표해록 번역술평
1. 미국 메스킬의 영역본(컬럼비아 대학 박사학위논문, 1958년)
2. 북한 김찬순 역본(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1964년)
3. 이재호 역본(<국역 연행록선집> 수록, 민족문화추진회, 1976년)
4. 최기홍 역본(삼화인쇄주식회사, 1979년)과 최주용 역본(극동정판사, 1984년)
5. 중국 갈진가 점주본(중국사회과학문헌출판사, 1992년)
6. 서인범.주성지 역주본(한길사, 2004년)
2부 최부 표해록의 서지학적 연구
3장 최부 표해록 판본고
1. 판본 6종의 명칭과 수장처
2. 동양문고본의 활자명과 간행 시기
3. 양명문고본.금택문고본의 간행 경과
4. 규장각본.장서각본.화산문고본의 간행 의미?
4장 최부 표해록 교감기
1. 판본 6종의 대교
2. 대교 결과에 대한 분석
3. 중국문헌에 의한 교감
5장 일역 통속표해록과 언해본 표해록
1. <당토행정기> 에서 <통속표해록> 으로
2. <표록> 의 언해 및 필사 시기
3. <통속표해록> 과 <표록> 의 오류
4. <통속표해록> 과 <표록> 의 비교
3부 최부 표해록의 역사학적 연구
6장 명대 조선 표류민의 송환절차와 정보전달
1. 표류민에 대한 조사와 송환
2. 표류민에 관한 공문의 분석
3. 표류민에 관한 정보의 유통
7장 15세기 조선인이 본 명 '홍치중흥'의 조짐
1. 15세기 명 '홍치중흥'에 대한 시각
2. 조선조정이 포착한 '홍치신정'의 사례
3. 조사과정에서 최부가 느낀 '신정' 기미
4. 송환과정에서 최부가 들은 '신정' 정보
8장 15세기 중국인의 조선인식
1. 조선의 문화에 대한 이해
2. 조선의 역사에 대한 인식
3. 조선의 인물에 대한 관심
4부 최부 표해록의 연구기행
1. 한국인은 왜 최부를 모르는가?
2. 세 가지 적과 싸운 13일간의 표류
3. 왜구로 오인되어 고초를 겪은 일행 43명
4. 말로만 듣던 강남을 제대로 견문한 조선인
5. 대운하의 개착 과정을 탐문하고 기록을 남긴 최부
6. 수차 제작법을 기록해 온 리용후생의 정신
7. 북경에서 본 황제권력의 단면
8. 산해관 안팎에서 만난 반가운 조선사신
9. 요동 땅에 아스라이 남아 있는 고구려의 잔영
10. 충과 효를 둘러싼 최부의 갈등
- 부록 : 표해록 중국 지명과 중국 문헌자료
- 표해록 연구문헌 목록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