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76419125
· 쪽수 : 628쪽
· 출판일 : 2016-10-15
책 소개
목차
서론 한국사 연구의 과제와 현황
1 한국사 연구의 의의와 과제
2 일본에서의 한국사학사
1) 근대역사학 성립기의 한국사 연구 2) 식민지 지배기의 한국사 연구 3) 1945년 이후 한국사 연구의 재출발
4) 1980년대 이후 한국사 연구
3 일본인의 한국 인식
4 역사인식·한국사 교육의 문제
5 이 책의 목적과 구성
제1장 선사시대의 한반도
1 구석기시대
1) 전·중기 구석기시대 2) 후기 구석기시대
2 신석기시대
1) 토기편년 2) 생업과 도구류 3) 취락·패총과 매장유구 4) 지역 간 교류
3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
1) 시대구분과 명칭 2) 편년상의 문제 3) 사회와 문화의 이해
제2장 국가형성과 삼국
1 총설
2-a 고조선·한사군·삼한(문헌사학)
1) 고조선 2) 한사군 3) 삼한
2-b 낙랑·삼한(고고학)
1) 낙랑 2) 삼한
3-a 고구려(문헌사학)
1) 개설 2) 문헌사료 3) 금석사료 4) 정치·문화 5) 대외관계
3-b 고구려(고고학)
1) 묘제 연구 2) 산성·왕성
4-a 백제(문헌사학)
1) 건국기의 여러 문제 2) 백제의 국가체제 3) 새로운 자료의 출현
4-b 백제(고고학)
1) 한성시기 2) 웅진·사비 시기 3) 영산강 유역
5-a 신라(문헌사학)
1) 초기 기사의 평가 2) 금석문의 발견 3) 목간 연구의 진전
5-b 신라(고고학)
1) 토기 2) 묘제 3) 경주 이외의 지역과의 관계
6-a 가야(문헌사학)
1) 개설 2) 대외관계 3) 권력구조
6-b 가야(고고학)
1) 토기 2) 마구 3) 묘제 4) 주변 지역과의 교섭
제3장 통일신라와 발해
1 통일신라
1) 왕경의 발굴과 복원 2) 왕경의 목간 3) 골품제 4) 촌락문서 5) 동아시아 속의 신라
2 발해
1) 발해사 전반 2) 대외관계 3) 지방지배체제 4) 종교·정치·제도 5) 사료 연구 6) 고고학
제4장 고려
1 정치사·대외관계사
1) 고려왕조의 성립과 발전 2) 고려 전기의 대외관계 3) 무신정권과 대몽골관계 4) 고려 말기의 정치변동과 국제환경
2 경제사·사회사·문화사
1) 토지제도와 농업 2) 수취체제와 기타 경제사 관련 분야 3) 군현제와 지역·촌락사회론 4) 신분제도와 가족·친족 연구
5) 문화사-불교·유교·미술·인쇄문화 등
제5장 조선
1-a 정치사(전기)
1) 전기의 정치제도와 정치기구 2) 전기의 정치권력과 정치과정
1-b 정치사(후기)
1) 후기의 정치제도와 정치기구 2) 정치세력과 정치과정3) 19세기 - 세도정치와 민중운동을 중심으로
2-a 대외관계사(전기)
1) 명과의 관계 2) 일본과의 관계 3) 류큐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4) 여진인과의 관계 5) 임진왜란
2-b 대외관계사(후기)
1) 청과의 관계 2) 일본과의 관계
3 경제사
1) 경제사학의 과제 2) 농업과 토지소유 3) 재정제도와 경제시스템
4 사회사
1) 신분제를 중심으로 2) 양반·사족과 향촌사회사 연구 3) 다양한 신분·사회집단 4) 가족·친족의 변모와 사회의 여러 양상
5 조선왕조의 사상과 문화
1) 조선시대의 유학사 2) 조선 전기 성리학(주자학)의 수용과 그 심화 3) 조선 후기의 성리학(주자학) 4) 기타 사상 5) 문화사
제6장 개항기·대한제국기
1-a 정치·외교사(청일전쟁 이전)
1) 국제적 계기를 중심으로 2) 대원군정권·민씨정권 연구 3) 대외정책 연구
1-b 정치·외교사(청일전쟁~한국병합)
1) 대한제국의 재평가 2) 청일전쟁~러일전쟁기의 정치와 외교 3) 러일전쟁~한국병합
2 사상사·운동사
1) 개화파와 개화사상 2) 위정척사사상과 의병 3) 동학과 갑오농민전쟁, 민중운동
3-a 사회경제사(1) 농업사·토지제도사·재정사
1) 농업 2) 광무양전·지계사업 3) 재정
3-b 사회경제사(2) 상업·공업·무역
1) 무역과 상품생산·유통 2) 상인·기업가의 활동 3) 화폐·금융제도와 기반시설
4 문화사·교육사
1) 문화사 연구의 동향 2) 교육사
제7장 식민지기
1 정치사
1) 연구의 새로운 동향 2) 식민지 통치정책 3) 식민지 지배기구와 재조일본인 4) 지배체제와 조선사회 5) 법제사
2 민족운동·사회운동사
1) 전반적 동향 2) 통사 및 기타 3) 정치운동 4) 사회운동 5) 운동의 기반사상·이론 6) 새로운 움직임
3 경제사
1) 내재적 발전론의 전략론 2) 민족경제론을 중심으로 3) 자본주의적 근대화 4) 소농사회론 5) 식민지 공업화론
6) 식민지기 농업사 연구 7) 경제성장사로의 접근
4 문화사·사회사·교육사
1) 문화사·사회사 연구의 동향 2) 교육사
5 재외한인사
1) 관심의 고조와 연구의 활성화 2) 재일조선인의 형성과 그 활동 3) 전시동원과 ‘종군위안부’ 4) 재만한인
5) 재러시아한인 6) 기타 지역의 한인
제8장 현대사
1 정치사
1) 개설서 2) 해방에서 분단으로 3) 한국전쟁과 1950년대 4) 개발독재에서 민주화로 5) 북한
2 대외관계사
1) 일본과의 관계 2) 미국·중국·러시아와의 관계
3 경제사
1) 한국 경제 연구 조류 2) 북한 경제 연구 현황
4 사회사·문화사
1) 시대별 개관 2) 주제별 개관
5 재외한인사
1) 재일조선인 2) 기타 지역의 재외한인
참고문헌
찾아보기
찾아보기 일본인 연구자 인명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