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4141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2-08-30
책 소개
목차
제1장 사회적 자본과 국정관리
제1절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이론적 접근 11
1.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의의/11
2. 사회적 자본에 관한 학자들의 견해/13
3. 요약/16
제2절 국정관리와 사회적 자본 18
1.정부와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18
2.국정관리에서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20
제3절 우리나라에서 국가 발전과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22
1. 우리나라의 사회적 자본 수준/22
2.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 자본의 확충 방안과 그 효과/23
3. 정부와 시민사회단체와의 바람직한 파트너십 형성을위한 제언/27
제2장 NGO의 개념과 범주
제1절 NGO와 유사 용어의 정의 30
1. 국가별 개념의 차이/30
2. 이 책에서 NGO의 범위/39
제2절 NGO의 성장 배경과 특성 41
1. NGO의 2대 성장 배경/41
2. NGO의 일곱 가지 특성/43
3. NGO의 4대 기능/46
제3장 한국의 시민사회 형성 과정과 NGO
제1절 정부와 시민사회의 형성 49
1. 1945년 이전/49
2. 1945년~1980년/51
3. 1980년~1986년/51
4. 1987년~문민정부/52
5. 김대중 정부(1998~2003)/53
6. 노무현 정부(2003~2008)/54
7. 이명박 정부(2008~2013)/56
제2절 시민단체의 연혁과 NGO의 급성장 59
1. 주요 시민단체의 연혁/59
2. 한국에서 NGO의 급성장에 대한 여덟 가지 요인/64
제4장 NGO의 변화와 주요 활동
제1절 21세기 NGO의 변화 70
1. 시민사회 내부의 변화/70
2. 새로운 다중매체(SNS) 시대에서의 변화/71
제2절 1990년대 이후 시민운동단체의 주요 활동 73
1. 2000년 총선시민연대의 ‘낙천?낙선운동’/73
2. ASEM 2000 민간포럼/76
3. SOFA 개정운동/77
4. 2003년의 파병 반대, 여성과 환경운동의 분출/79
5. 한반도 대운하 반대운동/84
6. 평택 미군기지 이전 반대운동/87
7. 한?미 FTA협정 반대운동/88
8. 태안기름 유출사고/91
9. 광우병 파동/93
제3절 시민사회단체 간 이념 갈등의 확장 96
1. 신사회운동과 구사회운동의 분출/97
2. 진보단체와 보수단체의 갈등 분출/97
제5장 우리나라 NGO의 현황과 문제점
제1절 활동 현황 분석 99
1. 활동 유형별 분류/99
2. 활동 방식에 의한 분류/100
3. 재정 현황별 분류/100
4. 법적 자격에 의한 분류/105
5. NGO 상근 직원과 회원/106
제2절 우리나라 NGO들의 정책 영향력 108
1. 배경/108
2. NGO의 영향력에 대한 이론적 논의/109
3. 우리나라 NGO의 정책 영향력 행사에 관한 논쟁점/111
제3절 NGO의 공익활동 지원사업에 대한 평가와 과제 114
1. 정부의 공익활동 지원사업의 목적 및 평가/114
2. 정부의 공익활동 지원사업의 문제점 및 과제/115
제6장 정부-NGO의 파트너십
제1절 정부의 정책 과정 참여 119
1. 정책 과정에의 참여 의의/119
2. 정부와 NGO와의 관계 변화/122
3. 정책 과정에서 정부와 NGO/124
제2절 정부와 NGO 간의 파트너십 126
1. 등장 배경 및 개념/126
2. 파트너십형 사회구조로의 전환/128
3. 파트너십의 의의/129
4. 파트너십의 유형/131
제3절 NGO에 대한 중간 지원조직: 영국과 일본 사례 137
1. 영국/137
2. 일본/139
3. 영국과 일본 사례에서의 시사점/142
4. 우리나라에의 적용/144
제7장 NGO의 내부 거버넌스, 재정과 기부
제1절 조직 및 인력관리 147
1. 조직관리/147
2. NGO의 인적자원 관리/149
3. NGO의 의사결정 구조/151
제2절 NGO의 재정자율성과 의존성 153
1. 현황/153
2. 재정 자립을 둘러싼 두 가지 견해/154
제3절 기부 163
1. 개념/163
2. 기부의 의의/163
3. 기부의 유형/164
제8장 국제화 시대 NGO의 역할
제1절 글로벌 시민사회의 도래 167
1. 지구시민으로서의 개념/167
2. 우리나라에서 글로벌 시민사회의 키워드/169
제2절 글로별 시민사회에서 NGO의 역할과 방향 173
1. 한국 NGO의 방향/173
2. 국제적 연대의 강화/173
3. 지구시민으로의 전환/174
제3절 글로벌 NGO 사례 178
1. 월드비전/178
2. 그린피스(Green peace)/181
제9장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
제1절 정부.시장.시민사회 간의 신뢰와 협동의 새로운 지평 184
1. 등장 배경/184
2. 개념/185
제2절 사회적 기업 186
1. 등장 배경/186
2.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특성/187
3.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191
4. 사회적 기업의 역할/192
5. 사회적 기업의 유형/192
6. 우리나라 정부의 사회적 기업에 관한 지원 형태/193
7. 사회적 기업에 대한 비판/196
제3절 커뮤니티 비즈니스 197
1. 등장 배경/197
2. 개념과 정의/198
3.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시와의 유사점과차이점/199
4.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유형과 정부의 역할/200
제10장 일본 시민사회의 변화
제1절 일본 시민사회의 형성과 변화 203
1. 전후 태동 시기(1945년 이후)/203
2. 시민사회의 발전/204
3. 전통적 주민조직의 변화/205
제2절 정부 주도형에서 새로운 파트너십으로 207
1. 행정 주도형의 자원봉사 구축/207
2. 1990년 이후 정부와 시민사회단체와의 새로운 파트너십/208
3. 2009년 집권한 일본 민주당의 시민사회단체와의 파트너십/210
제3절 일본 시민사회의 유형별 특징 212
1. 전통적 주민조직/212
2. 일본 NPO와 특징과 개념/215
3. 전통적 주민조직과 NPO의 구분/218
제4절 정부와 시민사회 간의 공익법인 제도 도입 219
1. 사단법인ㆍ재단법인의 진화/219
2. 공익법인 개혁의 배경/221
3. 신공익법인제도의 도입과 변화/223
4. 공익사단법인ㆍ공익재단법인/225
참고 문헌/229
찾아보기/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