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직론

조직론

윤재풍 (지은이)
대영문화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050원
33,9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직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직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4820
· 쪽수 : 650쪽
· 출판일 : 2014-04-15

목차

제 1 편 조직이론의 이해

제1장 서론 21
제1절 조직의 정의와 특징 21
1. 조직의 정의/21 2. 조직의 특징/22
제2절 은유를 통해 본 조직의 이미지 23
1. 은유(隱喩)와 사물의 이해/23
2. 조직의 이미지(像)/24
제3절 조직의 중요성과 현대 조직의 주요 경향 27
1. 조직의 중요성/27 2. 현대 조직의 주요 경향/28

제2장 조직이론의 개요 30
제1절 조직이론의 의의, 기능 및 유형 30
1. 조직이론의 정의와 기능/30 2. 조직이론의 유형/31
제2절 조직이론의 전개에 관한 학자들의 견해 33
1. 카스트와 왈도 등의 견해/33 2. 버렐과 모건의 견해/35

제3장 조직이론의 전개 39
제1절 과학적 관리론 39
1. 의의ㆍ목적ㆍ주요 내용/39
2. 평가/41
제2절 행정조직 원리론 42
1. 의의/42
2. 주요 이론 및 원리/43
3. 평가/47
제3절 관료제론 48
1. 관료제에 관한 개념 정의의 다양성/48
2. 현대 조직이론에서 관료제의 정의: 특정한 공식적 구조나 형태 및시스템으로서 조직/49
3. 베버의 관료제이론: 고전적 관료제이론/50
4. 베버의 관료제이론의 비판/53
5. 관료제의 순기능과 역기능/54
6. 관료제의 변화와 대안적 조직구조/60

제4절 인간관계론 63
1. 의의/63
2. 호손실험과 인간관계론의 성립/63
3. 인간관계론과 과학적 관리론의 비교/66
4. 평가/67
제5절 행태과학 69
1. 의의와 학문적 영역/69 2. 분석 대상과 방법론/70
3. 성립과 내용/71
제6절 관리과학 76
1. 의의와 특징/76 2. 관리과학의 발전/77
3. 관리과학의 적용 과정/78 4. 평가/79
제7절 체제접근방법론 80
1. 의의와 특징/80
2. 폐쇄 체제와 개방 체제/81
3. 체제 접근 방법의 분류와 조직 체제의 구성/84
4. 유용성과 문제점/87
제8절 해석적 이론 88
1. 해석적 이론의 의의/88
2. 해석적 이론의 여러 갈래/88
3. 해석적 조직이론/99

제 2 편 조직의 유형과 환경적 맥락

제4장 조직의 유형 109
제1절 조직 유형의 의의 109
제2절 조직 유형에 관한 이론들 110
1. 파슨스의 사회적 기능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이론/110
2. 베니스의 기능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이론/112
3. 블라우와 스콧의 주요 수익자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이론/113
4. 에치오니의 복종 관계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이론/115
제3절 영역별 조직의 유형 118
1. 의의/118
2. 제3영역 조직의 유형/119
제4절 정부행정조직의 유형 121
1. 중앙정부 부·성 행정조직/121
2. 부·성 행정조직의 분류/121

제5장 조직과 환경 124
제1절 조직의 환경적 맥락 124
1. 조직환경의 의의/124 2. 조직과 환경의 상호 관계/125
3. 조직환경의 유형/125 4. 조직환경의 성격/127
제2절 환경 변화에 대한 조직의 적응 130
1. 일반적 적응 과정: 대응 순환 과정/130
2. 환경의 적응적 흡수/131
3. 변화하는 환경의 성격에 적합한 대응/132
4. 네트워크 X와 네트워크 Y 전략/133
제3절 환경과 조직의 관계에 관한 이론들 134
1. 상황조건적합이론/134 2. 조직개체군생태학/139
3. 자원의존이론/143 4. 신제도주의이론/147
5. 조직경제학: 거래비용이론/153

제 3 편 목표와 의사결정

제6장 조직 목표 163
제1절 조직 목표의 의의와 기능 163
1. 의의/163 2. 기능/164
제2절 수단-목표의 연쇄와 목표의 수(數) 165
1. 수단-목표의 연쇄와 목표의 계층화/165
2. 목표의 수: 단일목표와 복수목표/166
제3절 조직 목표의 설정 방법과 유의할 점 167
1. 하향적 방법과 상향적 방법/167
2. 유의할 점/168
제4절 조직 목표의 유형 168
1. 공식(명분)과 실질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유형/168
2. 달성하고자 하는 대상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유형/169
3. 시간적 차원과 관련되는 유형/170
제5절 조직 목표의 결정과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72
1. 조직 내부적 요인/172
2. 조직환경적 요인/172
제6절 조직 목표의 변화 양태 174
1. 목표의 전환/174
2. 목표의 승계·다원화·확대/175

제7장 목표관리 176
제1절 목표관리의 의의와 특징 176
1. 의의/176 2. 특징/177
제2절 목표관리의 절차 178
1. 조직 전체의 공통 목표의 설정과 확인/179
2. 각 부서 목표 및 부하 목표의 설정/179
3. 목표 수행과 중간 결과의 평가/179
4. 최종 결과의 검토 및 평가/180
5. 환류/180
제3절 목표관리의 장점과 문제점 180
1. 장점/180 2. 문제점/181

제8장 의사결정 183
제1절 의사결정의 의의와 성격 183
1. 의의/183 2. 성격/184
제2절 의사결정의 스타일 184
1. 의의/184
2. 의사결정 스타일의 분류/185
제3절 의사결정의 유형 186
1. 개인적 의사결정과 집단적 의사결정/186
2. 전략적 의사결정과 전술적 의사결정/193
3. 정형적 의사결정과 비정형적 의사결정/195
제4절 의사결정모형 196
1. 합리모형과 제한된 합리성모형/196
2. 만족모형/198
3. 점증모형/199
4. 혼합관조모형/199
5. 최적모형: 합리성과 초합리성/200
6. 쓰레기통모형/200
제5절 의사결정 과정과 상황 203
1. 의사결정 과정/203
2. 의사결정 상황/206
제6절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207
1. 결정자/207 2. 결정 사안/208
3. 조직구조/208 4. 환경/209
제7절 집단의사 결정을 향상시키는 기법 210
1. 필요성/210
2. 주요 기법/210

제 4 편 구조의 디자인

제9장 조직구조 219
제1절 조직구조의 의의와 특성 219
1. 의의/219 2. 조직구조의 기능/220
3. 조직구조의 기본적 특성/221
제2절 조직구조의 결정 요인: 상황 변수 및 맥락 요인 224
1. 조직 규모/225 2. 기술/227
3. 환경/233 4. 권력과 정치/234
5. 정보화와 인적 자원/236 6. 전략적 선택/237
제3절 조직구조의 형태에 관한 이론: 민츠버그의 이론 239
1. 조직구조 형태의 의의/239
2. 조직구조의 다섯 가지 형태/241
제4절 조직구조의 여러 가지 형태 243
1. 계선조직과 막료조직/243
2. 관리계층구조: 최고·중간·하급관리층/244
3. 위원회/245
4. 기능?사업?지역을 기준으로 설치되는 조직/246
5. 애드호크라시/248
6. 팀제/249
7. 매트릭스조직/253
8. 네트워크조직/255
9. 가상조직/260

제 5 편 과정과 행태

제10장 조직과 인간 265
제1절 조직과 인간의 관계 및 인간관 265
1. 조직과 인간의 관계/265
2. 인간관: 인간을 보는 여러 가지 견해/266
제2절 조직 속의 인간관과 조직관리전략 268
1. 합리적·경제적 인간/268 2. 사회적 인간/270
3. 자아실현적 인간/271 4. 복잡한 인간/272

제11장 인간의 행태에 관한 기초 개념 275
제1절 지각 275
1. 지각의 의의/275 2.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76
3. 지각과 귀인이론/276 4. 지각을 방해하는 요인들/278
제2절 가치관 279
1. 가치관의 의의/279
2. 사람들이 부여하는 가치의 근거와 가치 체계/280
3. 가치관의 기능 및 특성/281
4. 가치관의 유형/282
제3절 욕구 284
1. 욕구의 의의/284 2. 욕구이론의 두 가지 계보/284
제4절 태도 288
1. 태도의 의의/288 2. 태도와 행동/289
3. 태도와 직무만족·직무몰입·조직몰입/289
4 태도의 형성과 변화/291
제5절 성격 293
1. 성격의 의의와 특성/293 2. 성격에 관한 주요 이론/294
3. 성격의 결정 요인/296 4. 조직 속 인간의 성격 유형/299

제12장 집단역학 302
제1절 집단의 의의와 특징 302
1. 의의/302 2. 특징/303
제2절 집단 형성의 이유와 발전 및 기능 303
1. 집단 형성의 이유와 집단의 발전/303
2. 집단의 기능/306
제3절 집단의 유형 307
1. 1차집단과 2차집단/308 2. 내집단과 외집단/308
3. 대집단과 소집단/309 4. 과업집단과 사회정서적 집단/309
5. 이익집단/310 6. 공식집단과 비공식집단/310
제4절 집단구조 312
1. 집단구조의 의의/312 2. 집단구조의 변수/313
제5절 집단과 과업 수행 행동 319
1. 사회적 촉진과 억제/319 2. 사회적 빈둥거림/321
제6절 집단적 의사결정에서 양극화와 집단사고 324
1. 집단양극화/324 2. 집단사고/325

제13장 동기부여 327
제1절 동기부여의 의의와 주요 이론적 관점 327
1. 동기부여의 의의/327
2. 동기부여에 관한 주요 이론적 관점/328
제2절 동기부여의 내용이론과 과정이론 330
1. 내용이론/331 2. 과정이론/338

제14장 리더십 357
제1절 리더십의 의의와 역할 357
1. 리더십의 의의와 특징/357 2. 리더십의 일반적 역할/360
제2절 리더십이론의 전개 362
1. 특성이론/362
2. 행태론적 이론/363
3. 상황조건적합이론/370
4. 카리스마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389

제15장 조직의 권력과 정치 398
제1절 조직의 권력 398
1. 권력의 의미와 특색/398 2. 권력의 유형/399
3. 조직의 권력 현상/401
제2절 권위 404
1. 권위의 의의와 기능/404 2. 권위의 유형/406
3. 권위의 수용: ‘무차별권’과 ‘수용권’/407
제3절 조직의 정치 409
1. 개념의 정의/409
2. 조직에서 정치적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들/411
3. 조직 내부의 정치적 전술/414
4. 조직의 정치적 행동윤리/417

제16장 갈등관리 419
제1절 갈등의 의의와 특징 419
1. 의의/419 2. 특징/420
제2절 갈등을 보는 시각 420
1. 일원적 조직의 시각/420
2. 다원적 조직의 시각/421
3. 급진적 조직의 시각/421
제3절 조직갈등의 원인과 진행 과정 422
1. 갈등의 원인/422
2. 갈등의 진행 과정/423
제4절 갈등의 유형 425
1. 개인적 갈등/426 2. 조직적 갈등/426
3. 역할 갈등/427 4. 의사결정 주체의 갈등/429
제5절 갈등의 기능과 해소 방법 430
1. 갈등의 순기능과 역기능/430
2. 갈등의 처리 및 해소 방법/432

제17장 의사소통 435
제1절 의사소통의 의의와 특징 435
1. 의의/435 2. 특징과 기능/436
제2절 의사소통의 과정 439
1. 의의/439 2. 의사 소통과정모형/439
제3절 의사소통 네트워크 442
1. 의의/442
2. 의사소통 네트워크의 유형과 조직의 행태/442
제4절 의사소통의 유형 446
1. 공식적 의사소통과 비공식적 의사소통/446
2. 일방적 의사소통과 쌍방적 의사소통/450
3.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451
제5절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향상 방안 453
1.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453
2. 의사소통의 개선과 향상 방안/456

제18장 조직문화 461
제1절 조직문화의 의의 461
1. 문화의 의미/461
2. 조직문화의 의미/462
제2절 조직문화론의 대두 배경과 경향 463
1. 조직문화론의 대두 배경/463
2. 조직문화론의 패러다임/464
제3절 조직문화의 특징과 기능 466
1. 특징/466 2. 기능/466
제4절 조직문화의 구성 요소와 계층 체계 468
1. 샤인의 조직문화의 계층체계론/468
2. 대프트와 가글리아르디의 조직문화계층론/470
제5절 강한 문화와 약한 문화 472
1. 의의와 결정 요인/472
2. 문화의 강도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472
제6절 조직문화의 유형 473
1. 캐머런과 퀸의 조직문화 유형/473
2. 카트라이트와 쿠퍼의 조직문화 유형/475
3. 딜과 케네디의 조직문화 유형/476
제7절 조직문화의 형성과 변화 478
1. 조직문화의 형성/478
2. 조직문화의 전승과 유지/480
3. 조직문화의 변혁/483

제19장 조직효과성 486
제1절 조직효과성의 의의 486
제2절 조직효과성에 관한 학자들의 연구와 정의 487
1. 스티어의 효과성의 기준 개념에 관한 언급 빈도의 연구/487
2. 캠벨의 조직효과성에 관한 지표 목록/487
3. 조직효과성에 관한 학자들의 정의/488
제3절 조직효과성 모형 489
1. 목표모형/490 2. 체제자원모형/493
3. 내부과정모형/495 4. 조직의 구성원 및 이해관계자 모형/496
5. 경쟁가치모형/498

제 6 편 변화와 발전

제20장 조직 변화의 의의와 과정 505
제1절 조직 변화의 의의와 대상 505
1. 조직 변화의 의의/505
2. 조직의 계획적 변화의 주요 대상/506
제2절 조직 변화의 과정 507
1. 조직의 변화 과정 모형/507
2. 조직 변화의 실행 과정/508
제3절 조직의 변화에 대한 저항 509
1. 조직의 변화를 추진하는 힘과 저항하는 힘/509
2. 조직 변화에 대한 저항의 근원 및 요인/510
3. 조직의 변화전략/512

제21장 조직의 성장과 쇠퇴 514
제1절 조직 성장 514
1. 조직 성장의 의의와 성장을 선호하는 이유/514
2. 조직 성장의 모형과 성장 단계/515
3. 조직성장단계모형의 함의와 문제점/519
제2절 조직 쇠퇴 520
1. 조직 쇠퇴의 의의/520 2. 조직 쇠퇴를 초래하는 요인/521
3. 조직 쇠퇴의 단계와 결과/524 4. 조직 쇠퇴의 관리/527

제22장 조직 발전 530
제1절 조직 발전의 의의와 특징 530
1. 의의/530 2. 특징/531
제2절 조직 발전의 흐름 533
1. 실험실훈련의 등장과 조직 발전(OD)의 전파/533
2. 조사연구 피드백 기법의 개발/534
3. 액션 리서치의 발전/534
4. 사회기술 체제의 발전/535
5. 제2세대들의 새로운 관심과 탐구/535
제3절 조직 발전의 과정 536
1. 문제의 인식/536
2. 진단과 피드백/536
3. 변화를 위한 행동 계획의 수립/537
4. 행동계획의 실행/537
5. 결과의 평가/537
제4절 조직 발전의 주요 기법 537
1. 감수성훈련/538 2. 팀 빌딩/541
3. 그리드훈련/543 4. 서베이 피드백/546
5. 과정자문/548 6. 액션 리서치/549

제23장 학습조직 552
제1절 학습의 의미와 주요 이론 552
1. 학습의 의미/552 2. 학습에 관한 주요 이론/552
제2절 조직에서의 학습 형태와 학습조직 557
1. 조직의 각 수준에서 이뤄지는 학습 형태/557
2. 학습조직의 의미/559
3. 학습조직의 대두 배경과 특징/560
제3절 학습의 유형 562
1. 자극·반응적 학습과 전략?변혁적 학습/562
2. 단일 순환적 학습과 이중 순환적 학습/563
3. 실천학습/565
제4절 학습조직의 구성 요소와 구축 565
1. 학습조직의 구성 요소/565 2. 학습조직의 구축/567

제 7 편 정부행정조직제도의 성립과 발전

제24장 중국·한국·일본의 6관 중심 정부행정조직제도 573
제1절 6관제도의 의의와 성립 573
제2절 중국의 6관 중심 정부행정조직제도의 발전 574
제3절 한국의 6관 중심 정부행정조직제도의 성립과 발전 575
1. 고려왕조/576 2. 조선왕조/577
제4절 일본의 6관 중심 정부행정조직의 도입과 변화 582
1. 고대 율령국가의 성립과 6관 중심 정부행정조직의 도입/582
2. 막부정권의 성립과 통치조직의 변화/582

제25장 서구의 5부·성 중심 정부행정조직제도 584
제1절 5부·성 중심 정부행정조직의 의의 584
1. 5부·성 정부행정조직의 개념/584
2. 5부·성 행정조직에 관한 슈타인의 사상/584
제2절 서구 주요 국가의 5부·성 중심 정부행정조직의 성립과 현재의 제도 586
1. 영국/586 2. 프랑스/587
3. 독일/588 4. 미국/589

제26장 일본과 중국에서 서구식 5부·성 중심 정부행정조직제도의성립과 변화 590
제1절 일본 591
1. 5부·성 중심 정부행정조직의 도입 및 성립/591
2. 현재의 행정부조직/592
제2절 중국 592
1. 5부·성 중심 정부행정조직의 도입 및 성립/592
2. 현재의 행정부조직/593

제27장 한국에서 5부ㆍ성 중심 정부행정조직제도의성립과 변화 596
제1절 조선왕조 말~대한제국 시기 596
1. 문호 개방/596
2. 근대적 행정조직제도의 부분적·점진적 도입/597
3. 기존 6관 중심제도의 폐지ㆍ해체와 5부·성 중심제도의 도입ㆍ성립:갑오개혁(1894)/597
4. 5부·성 중심 정부조직제도의 개정(1895)/599
5. 새로운 정부행정조직제도의 변화와 붕괴(1896~1910)/599
제2절 일제 강점통치 시기 602
1. 조선총독부 행정조직/602
2. 대한민국 임시정부/603
제3절 미군정 시기 603
제4절 대한민국 정부행정조직의 성립과 변화 605
1. 제1공화국/605 2. 제2공화국/606
3. 제3공화국/607 4. 제4공화국/608
5. 제5공화국/609 6. 제6공화국/610
7. 김영삼 정부/610 8. 김대중 정부/611
9. 노무현 정부/612 10. 이명박 정부/613
11. 박근혜 정부/613

참고 문헌/615
찾아보기/636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