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행정의 이해

현대행정의 이해

(전정 3판)

신승춘 (지은이)
대영문화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2,4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대행정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행정의 이해 (전정 3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5049
· 쪽수 : 490쪽
· 출판일 : 2015-02-25

목차

제1장 행정의 이해 17
제1절 행정의 본질 19
1. 행정의 의미/19
2. 정치와 행정의 관계/21
3. 행정과 경영의 관계/25
제2절 현대 행정의 특징과 과제 28
1. 현대 행정의 특징/28
2. 새로운 사회환경과 행정의 과제/32
제3절 행정의 기본 이념 41
1. 의의/41
2. 행정의 이념/41
3. 행정 이념 간의 우선순위/47
제4절 행정환경과 행정문화 49
1. 행정환경의 의의/49
2. 글로벌 거시환경/50
3. 행정의 일반환경/52
4. 한국의 행정환경/55
5. 행정문화의 의의/58
6. 선진국의 행정문화/60
7. 한국 행정문화의 특징/61

제2장 행정학의 이해 65
제1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67
1. 행정학은 사회과학의 한 ‘분과 학문’이다/67
2. 행정학은 ‘응용과학’이다/68
3. 행정학은 ‘과학’과 ‘기술’의 영역을 동시에 포함한다/68
4. 행정학은 ‘전문직업적’인 학문이다/69
5. 행정학은 ‘종합학문적’인 성격을 지닌다/69
제2절 행정학의 성립과 발달 70
1. 유럽 행정학의 성립과 전개/70
2. 미국 행정학의 성립 및 발달 배경/74
3. 한국에서 행정학의 전개 과정/76
제3절 주요 행정이론의 변천 80
1. 과학적 관리론/80
2. 인간관계론/81
3. 비교행정론/82
4. 발전행정론/83
5. 신행정론/84
제4절 행정학의 주요 접근 방법 85
1. 접근 방법이란 무엇인가?/85
2. 전통적 접근 방법/86
3. 상호작용성에 근거한 접근 방법/90
4. 변화와 혁신을 위한 접근 방법/92
5. 비판행정학적 접근 방법/98

제3장 정책 과정 101
제1절 정책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 103
1. 정책 연구의 필요성/103
2. 정책의 의의/106
3. 정책의 구성 요소/107
4. 정책의 유형/108
5. 정책환경과 정책 체계/110
제2절 정책 과정 113
1. 정책 과정의 의의/113
2. 정책 과정의 참여자 /114
3. 정책의제 설정/115
4. 정책 결정/118
5. 정책 집행/125
6. 정책 평가/131
7. 정책 종결/134
제3절 정책결정모형 135
1. 합리모형/136
2. 만족모형/137
3. 점증모형/139
4. 혼합관조모형/141
5. 최적모형/142
6. 기타/143
제4절 현대 사회에서 정책의 위치 144

제4장 행정조직 147
제1절 조직의 기초 개념 149
1. 조직의 의의/149
2. 조직 목표/154
제2절 조직이론의 변천 157
1. 조직이론의 의의/157
2. 고전적 조직이론(과학적 관리론)/158
3. 신고전 이론(인간관계론)/160
4. 현대이론/161
제3절 행정조직의 구조 165
1. 조직구조의 의의/165
2. 조직의 구조/166
3. 기타 다양한 조직 형태/173
4. 조직 분석/178
5. 집권화와 분권화/180
제4절 조직과 인간 181
1. 의의/181
2. 인간관/181
3. 동기부여/183
4. 리더십/188
5. 갈등관리/191

제5장 인사행정 197
제1절 인사행정의 개념과 발달 과정 199
1. 인사행정의 개념/199
2. 인사행정의 발달/202
제2절 인사행정 제도와 기관 208
1. 직업공무원제의 개념/208
2. 직업공무원제의 장?단점/209
3. 직업공무원제와 실적주의의 관계/210
4. 유연근무 제도/210
5. 중앙인사기관과 인사혁신처/212
제3절 공직의 분류 215
1. 직위분류제/215
2. 직위분류제의 장?단점/217
3. 계급제/219
4. 한국의 공직구조/221
5. 고위공무원단 제도/222
제4절 채용과 교육훈련 225
1. 모집과 시험/225
2. 임용의 의의/227
3. 개방형 임용/229
4. 교육훈련/231
제5절 근무성적 평정과 승진 및 보수 234
1. 근무성적 평정의 의의/234
2. 승진/237
3. 보수 및 연금 체계/240

제6장 재무행정 245
제1절 재무행정과 예산 247
1. 재무행정의 개념과 범위/247
2. 예산/249
3. 예산의 원칙/252
제2절 정부 재정의 구조 258
1. 정부예산의 분류/258
2. 정부예산의 법률 체계/266
제3절 예산 제도의 변천(개혁) 과정 270
1. 품목별 예산제도/271
2. 성과주의 예산제도/273
3. 계획 예산제도/275
4. 목표관리 예산제도/278
5. 영기준 예산제도/280
제4절 예산 과정 285
1. 예산 과정의 일반론/285
2. 예산 편성/286
3. 예산 심의 의결/289
4. 예산 집행/292
5. 예산 결산/296

제7장 지방자치 299
제1절 지방자치의 개념과 의의 301
1. 지방행정론의 연구 대상과 개념/301
2. 지방자치의 구성 요소/302
3. 주민자치와 단체자치/302
4.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역사/304
5. 로컬 거버넌스/308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조직 체계와 계층구조 311
1.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유형/311
2. 지방자치단체의 구역과 계층구조/312
3. 자치권의 의의와 개념/314
4. 공공사무에 대한 개요/316
5. 지방자치단체사무의 유형별 분류/318
제3절 지방자치 재정 320
1. 지방재정의 개념과 특성/320
2. 지방재정 수입의 종류/321
3.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324
제4절 지방자치단체 기관 구성의 의의 324
1. 기관 구성의 의의와 형태/324
2. 자치단체의 기관 구성/326
제5절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의 집행기관 327
1. 지방의회의 의의와 지위/327
2. 지방의회의 권한/327
3. 지방의회의 조직과 운영 및 기능/329
4. 지방의회 의원의 권리와 의무 및 금지 사항/330
5. 집행기관의 개념과 지위/331
6. 지방자치단체장/332
7.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기관/334
제6절 교육자치와 자치경찰 336
1. 교육자치/336
2. 자치경찰/337
제7절 지방공기업과 제3섹터 339
1. 공기업의 개념과 설립 이유/339
2. 지방공기업의 운영 기준/340
3. 지방공기업의 분류/340
4. 제3섹터의 개념/342
5. 우리나라 제3섹터의 현황/342
6. 제3섹터의 문제점/342
7. 제3섹터의 활성화 대책/343

제8장 행정정보화와 전자정부 345
제1절 지식정보화사회의 대두 347
1. 지식정보화사회의 의의/347
2. 지식행정 패러다임의 등장/348
3. 지식정보사회의 행정환경 변화/350
제2절 행정정보 체계와 행정정보화 356
1. 행정정보의 개념과 특징/356
2. 행정정보 체계의 개념과 특성/357
제3절 행정정보화와 전자정부 360
1. 우리나라의 행정정보화 과정/360
2. 전자정부의 구현/363
3. 지식기반 사회의 지식관리 행정/367
제4절 정보화정책 370
1. 정보공개 제도/370
2. 개인정보 보호/372
3. 지적재산권 보호/375

제9장 공무원 노사관계 379
제1절 공무원 노사관계의 의의 및 특징 381
1. 노사관계의 일반적 개념/381
2. 공무원 노사관계의 특수성/382
3. 민간과 공무원의 노사관계 제도 비교/384
제2절 공무원 노사관계 제도의 발전 390
1. 국제적 경향/390
2. 각국의 공무원 노사관계 제도 발전/391
제3절 우리나라의 공무원 노사관계 제도 400
1. 공무원 노사관계 제도의 발달/400
2. 공무원 노사관계 제도의 주요 특징과 쟁점/404
제4절 노사분쟁의 관리 409
1. 분쟁 해소 방식의 유형/409
2. 분쟁 해소 방식에 대한 평가/412
3. 우리나라 공무원 노사분쟁 조정제도/413

제10장 행정개혁과 행정책임 417
제1절 행정개혁의 의의 419
1. 행정개혁의 개념/419
2. 유사 개념과 비교/420
제2절 행정개혁의 과정 421
1. 필요성의 인식 단계/421
2. 입안 단계/422
3. 시행 단계/423
4. 평가 및 환류 단계/423
제3절 행정개혁의 저항, 장애, 그리고 극복 방안 424
1. 행정개혁의 저항/424
2. 행정개혁의 장애/426
3. 저항 극복 방안/429
제4절 한국 행정개혁의 전개 과정 432
1. 이승만 정부의 행정개혁/432
2. 박정희 정부의 행정개혁/434
3. 전두환 정부의 행정개혁/436
4. 노태우 정부의 행정개혁/438
5. 김영삼 정부의 행정개혁/440
6. 김대중 정부의 행정개혁/442
7. 노무현 정부의 행정개혁/444
8. 이명박 정부의 행정개혁/446
9. 박근혜 정부의 행정개혁/448
제5절 행정책임 450
1. 의의/450
2. 유형/451
3. 기준/452
4. 행정책임을 보장하는 방법: 행정통제/453
5. 통제 과정/457
6. 시정 조치/458
제6절 행정개혁과 행정책임의 관계 459

참고 문헌/461
찾아보기/480

저자소개

신승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