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 행정의 이해

현대 행정의 이해

(개정 4판)

신승춘 (지은이)
대영문화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1,400원
26,600원 >
28,000원 -0% 0원
0원
2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8,000원 -10% 1400원 23,800원 >

책 이미지

현대 행정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 행정의 이해 (개정 4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7272
· 쪽수 : 498쪽
· 출판일 : 2019-02-01

목차

개정 4판 머리말/3
초판 머리말/5

Chapter 01 행정의 이해

제1절 행정의 본질 19
1. 행정의 의미 19
2. 정치와 행정의 관계 22
3. 행정과 경영의 관계 25
제2절 현대 행정의 특징과 과제 29
1. 현대 행정의 특징 29
2. 새로운 사회환경과 행정의 과제 33
제3절 행정의 기본 이념 42
1. 의 의 42
2. 행정의 이념 43
3. 행정 이념 간의 우선순위 49
제4절 행정환경과 행정문화 51
1. 행정환경의 의의 51
2. 글로벌 거시환경 52
3. 행정의 일반환경 54
4. 한국의 행정환경 57
5. 행정문화의 의의 60
6. 선진국의 행정문화 62
7. 한국 행정문화의 특징 64

Chapter 02 행정학의 이해

제1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71
1. 행정학은 사회과학의 한 ‘분과 학문’이다 71
2. 행정학은 ‘응용과학’이다 72
3. 행정학은 ‘과학’과 ‘기술’의 영역을 동시에 포함한다 72
4. 행정학은 ‘전문직업적’인 학문이다 73
5. 행정학은 ‘종합학문적’인 성격을 지닌다 73
제2절 행정학의 성립과 발달 74
1. 유럽 행정학의 성립과 전개 74
2. 미국 행정학의 성립 및 발달 배경 79
3. 한국에서 행정학의 전개 과정 81
제3절 주요 행정이론의 변천 84
1. 과학적 관리론 84
2. 인간관계론 85
3. 비교행정론 86
4. 발전행정론 88
5. 신행정론 89
제4절 행정학의 주요 접근 방법 90
1. 접근 방법이란 무엇인가? 90
2. 전통적 접근 방법 91
3. 상호작용성에 근거한 접근 방법 95
4. 변화와 혁신을 위한 접근 방법 97
5. 비판행정학적 접근 방법 103

Chapter 03 정책 과정

제1절 정책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 109
1. 정책 연구의 필요성 109
2. 정책의 의의 112
3. 정책의 구성 요소 114
4. 정책의 유형 115
5. 정책환경과 정책 체계 117
제2절 정책 과정 120
1. 정책 과정의 의의 120
2. 정책 과정의 참여자 121
3. 정책의제 설정 122
4. 정책 결정 126
5. 정책 집행 132
6. 정책 평가 139
7. 정책 종결 144
제3절 정책결정모형 145
1. 합리모형 145
2. 만족모형 147
3. 점증모형 148
4. 혼합관조모형 151
5. 최적모형 152
6. 기 타 153
제4절 현대 사회에서 정책의 위치 154

Chapter 04 행정조직

제1절 조직의 기초 개념 159
1. 조직의 의의 159
2. 조직 목표 164
제2절 조직이론의 변천 167
1. 조직이론의 의의 167
2. 고전적 조직이론(과학적 관리론) 169
3. 신고전이론(인간관계론) 170
4. 현대이론 172
제3절 행정조직의 구조 176
1. 조직구조의 의의 176
2. 조직의 구조 176
3. 기타 다양한 조직 형태 184
4. 조직 분석 188
5. 집권화와 분권화 190
제4절 조직과 인간 191
1. 의 의 191
2. 인간관 191
3. 동기부여 193
4. 리더십 198
5. 갈등관리 201

Chapter 05 인사행정

제1절 인사행정의 개념과 발달 과정 209
1. 인사행정의 개념 209
2. 인사행정의 발달 212
제2절 인사행정 제도와 기관 218
1. 직업공무원제 218
2. 직업공무원제의 장?단점 219
3. 직업공무원제와 실적주의의 관계 219
4. 유연근무제 220
5. 중앙인사기관 222
제3절 공직의 분류 225
1. 직위분류제 225
2. 계급제 227
3. 공무원의 종류 229
4. 고위공무원단 제도 230
제4절 채용과 교육훈련 232
1. 모집과 시험 232
2. 임용의 의의와 주요 절차 234
3. 개방형 임용 236
4. 교육훈련 237
제5절 근무성적 평정과 승진 및 보수 239
1. 근무성적 평정의 의의 239
2. 승 진 242
3. 보수 및 연금 체계 244

Chapter 06 재무행정

제1절 재무행정과 예산 251
1. 재무행정의 개념과 범위 252
2. 예 산 253
3. 예산의 원칙 257
제2절 정부 재정의 구조 260
1. 정부예산의 분류 260
2. 정부예산의 법률 체계 269
제3절 예산 제도의 변천 과정 273
1. 품목별 예산제도 273
2. 성과주의 예산제도 276
3. 계획 예산제도 278
4. 목표관리 예산제도 280
5. 영기준 예산제도 283
6. 감축관리와 일몰법 286
제4절 예산 과정 288
1. 예산 과정의 일반론 288
2. 예산 편성 289
3. 예산 심의 의결 292
4. 예산 집행 295
5. 예산 결산 299

Chapter 07 지방자치와 로컬 거버넌스

제1절 지방자치의 의의와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체계 305
1. 지방행정론의 연구 대상과 개념 305
2. 지방자치의 구성 요소와 자치유형 306
3.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역사 308
4.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체계 310
5. 자치권의 의의와 개념 313
6. 공공사무의 개요와 단체사무의 유형 315
제2절 지방자치 재정과 지방자치단체 기관 구성 319
1. 지방자치 재정 319
2. 지방자치단체 기관 구성의 형태 323
3. 자치단체의 기관 구성 325
제3절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의 집행기관 326
1. 지방의회의 의의와 지위 326
2. 지방의회의 권한 326
3. 지방의회의 조직과 운영 및 기능 328
4. 지방의회 의원의 권리와 의무 및 금지 사항 329
5. 집행기관의 개념과 지위 330
6. 지방자치단체장 331
7.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기관 333
제4절 교육자치와 자치경찰 335
1. 교육자치 335
2. 자치경찰 336
제5절 지방공기업과 로컬 거버넌스 340
1. 지방공기업과 제3섹터 340
2. 제3섹터의 개념과 현황 342
3. 로컬 거버넌스 343

Chapter 08 행정정보화와 전자정부

제1절 지식정보화사회의 대두 349
1. 지식정보화사회의 의의 349
2. 지식행정 패러다임의 등장 351
3. 지식정보사회의 행정환경 변화 352
제2절 행정정보와 행정정보 체계 359
1. 행정정보의 개념과 특징 359
2. 행정정보 체계의 개념과 특성 360
제3절 행정정보화와 전자정부 363
1. 우리나라의 행정정보화 과정 364
2. 전자정부의 구현 367
3. 지식기반 사회의 지식관리 행정 372
제4절 정보화정책 375
1. 정보공개 제도 375
2. 개인정보 보호 377
3. 지적재산권 보호 380
제5절 미래 새로운 전자정부 382

Chapter 09 공무원 노사관계

제1절 공무원 노사관계의 의의 및 특징 387
1. 노사관계의 일반적 개념 387
2. 공무원 노사관계의 특수성 388
3. 민간과 공무원의 노사관계 제도 비교 391
제2절 공무원 노사관계 제도의 발전 397
1. 국제적 경향 397
2. 각국의 공무원 노사관계 제도 발전 398
제3절 우리나라의 공무원 노사관계 제도 408
1. 공무원 노사관계 제도의 발달 408
2. 공무원 노사관계 제도의 주요 특징과 쟁점 413
제4절 노사분쟁의 관리 419
1. 분쟁 해소 방식의 유형 419
2. 분쟁 해소 방식에 대한 평가 422
3. 우리나라 공무원 노사분쟁 조정제도 423

Chapter 10 행정개혁과 행정책임

제1절 행정개혁의 의의 429
1. 행정개혁의 개념 429
2. 유사 개념과 비교 430
제2절 행정개혁의 과정 431
1. 필요성의 인식 단계 431
2. 입안 단계 432
3. 시행 단계 433
4. 평가 및 환류 단계 433
제3절 행정개혁의 장애와 극복 방안 434
1. 행정개혁의 장애 434
2. 장애 극복 방안 438
제4절 한국 정부의 행정개혁 전개 과정 441
1. 이승만 정부의 행정개혁 441
2. 박정희 정부의 행정개혁 442
3. 전두환 정부의 행정개혁 445
4. 노태우 정부의 행정개혁 447
5. 김영삼 정부의 행정개혁 449
6. 김대중 정부의 행정개혁 451
7. 노무현 정부의 행정개혁 453
8. 이명박 정부의 행정개혁 455
9. 박근혜 정부의 행정개혁 456
10. 문재인 정부의 행정개혁 457
제5절 행정책임 459
1. 의 의 459
2. 유 형 459
3. 기 준 461
4. 행정책임을 보장하는 방법: 행정통제 462
5. 통제 과정 466
6. 시정 조치 467

참고문헌/469
찾아보기/488

저자소개

신승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644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