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76445193
· 쪽수 : 614쪽
· 출판일 : 2014-12-31
목차
제1장 범죄 수사의 기초 이론 13
제1절 서설 13
제2절 범죄 수사와 경찰 16
1. 범죄란 무엇인가? 16
2. 범죄 수사 절차의 중요성 18
3. 범죄 수사활동에 대한 평가 19
제3절 범죄 수사의 개념과 이념 23
1. 범죄 수사의 개념 23
2. 범죄 수사의 기본 이념 26
3 범죄 수사 관련 법령 28
4. 형사소송법상 범죄 수사의 원칙 30
5. 범죄 수사의 조건 35
제4절 범죄 수사의 목적과 대상 36
1. 범죄 수사의 목적 36
2. 범죄 수사의 대상 38
제5절 범죄 수사의 성질 및 수사 개시의 단서 42
1. 범죄 수사의 성질 42
2. 범죄 수사 개시의 단서 44
제6절 범죄 수사의 가능성과 수사선 50
1. 범죄 수사의 가능성 50
2. 범죄 수사상의 수사선 51
제7절 범죄 수사의 ‘3S 원칙’과 수사 실행상의 원칙들 53
1. 범죄 수사의 ‘3S 원칙’ 53
2. 수사 실행의 5원칙 55
3. 수사 실패의 원인 60
제8절 범죄 수사기관의 권한과 상호 관계 61
1. 수사기관의 종류 61
2. 수사기관의 권한 64
3. 수사기관 상호간의 관계 66
4. 수사권 독립 논쟁 67
제9절 유능한 현장 수사관의 자질 72
제2장 증거와 과학 수사 75
제1절 증거재판주의 75
제2절 증거의 의의와 종류 80
1. 증거의 의의와 목적 80
2. 증거의 종류 82
3. 증거 이동 이론 87
제3절 다양한 법과학 영역과 과학 수사 88
1. 법과학의 개념과 법과학자들의 역할 89
2. 법의학의 개념과 역사 116
3. 과학수사학 122
제4절 범죄의 징표와 증거 유형 129
1. 범죄 징표의 의의 129
2. 생물학적 증거와 신원 확인 130
3. 범죄심리의 징표를 통한 범죄자 추적 168
4. 물리적 증거와 범죄자 추적 171
5. 사회적 지문을 통한 범죄자 추적 178
6. 물건과 자연 현상 181
제5절 법과학과 범죄수사학의 발자취 186
1. 유럽에서 범죄 수사의 발전 186
2. 피르호: 법의병리학 191
3. 오르필라: 법독물학 193
4. 그로스: 법과학 195
5. 베르티용: 인체측정학 196
6. 부체티크: 지문 분류 199
7. 갤턴: 지문 분류 200
8. 헨리: 지문 감식 201
9. 도일: 추리소설 분야 202
10. 란트슈타이너: 법의혈청학 203
11. 고다르: 법탄도학 204
12. 하인들: 범죄수사학 205
13. 로카르: 범죄수사학 206
14. 라이스: 범죄수사학자 207
15. 소더만: 범죄수사학 208
16. 볼머: 경찰학 209
17. 커크: 범죄수사학 211
18. 제퍼리스: 유전자 감식 211
19. 한국의 범죄수사학 발전: ??무원록(無寃錄)??과 법의학 212
제3장 초동수사와 현장관찰 221
제1절 초동수사 221
1. 초동수사의 개설 221
2. 초동수사의 실행 227
제2절 범죄 현장 보존과 통제활동 247
1. 개설 247
2. 범죄 현장의 중요성 248
3. 현장 보존활동 원칙과 통제 249
제3절 현장관찰 256
1. 개설 256
2. 현장관찰 시의 유의 사항과 준비 사항 258
3. 현장관찰의 일반적 순서 263
4. 현장관찰의 착안점과 관찰 요령 266
5. 현장 자료의 판단 및 수사 방침의 설정 277
제4장 현장 수색과 증거 수집활동 279
제1절 현장 수색 279
1. 현장 수색의 일반 원칙과 단계 279
2. 범죄 현장 수색 기법과 사례 282
제2절 증거 수집과 보존활동 295
1. 증거 수집상의 원칙과 순서 295
2. 개별 사건에서 증거 처리 방법 301
제3절 수사상의 기본 단서와 수사 실행 345
1. 수사상의 기본 단서 개요 345
2. 수사상의 구체적인 단서 유형 348
제4절 범죄 현장의 재구성 374
1. 서설 374
2. 범죄 현장 재구성의 정의와 단계 374
3. 범죄 현장 재구성의 방법 375
4. 범죄 현장 재구성에서 고려될 패턴 증거 376
제5장 범죄 유형별 수사(살인사건) 378
제1절 서설 378
제2절 의심스러운 사망과 살인사건 380
1. 의심스러운 사망 380
2. 사망의 유형 381
제3절 초동 수사와 범행 현장 397
1. 살인사건 수사와 범죄 현장 397
2. 살인사건 수사 시 일반 절차와 활동 내용 399
3. 살인사건 수사의 단계별 중요 사항 401
4. 초동 수사 활동 405
5. 피해자의 신원 확인 420
6. 범행 패턴과 동기의 파악 431
7. 살인사건 수사에서 몇 가지 함정 444
제4절 수사의 초점으로서 시체 그리고 부검 446
1. 서설 446
2. 법의학적 부검 447
3. 심리학적 부검 458
4. 사망 시점 확인하기 460
5. 시체 발굴 482
제5절 사망의 원인과 살해 방법들 484
1. 흉기에 의한 타살 상처 484
2. 질식(窒息) 491
3. 총기류에 의한 사망 501
4. 화재사 503
5. 익사 504
6. 중독사 504
7. 전기 쇼크사망 506
8. 사고사로 위장하기 506
9. 유아 살인 509
제6장 수사 실패 사례 510
제1절 재판 진행 중 진범인이 체포된 사건들 511
1. 김시훈 사건 511
2. 현직 경찰관을 억울하게 범인으로 몰았던 K순경 사건 512
제2절 화성연쇄살인사건 515
1. 사건의 개요 515
2. 사건의 분석 520
3. 쟁점 및 수사상 교훈 521
제3절 치과의사 모녀 살인사건 532
1. 사건의 개요 532
2. 수사상의 교훈 541
제4절 O. J. 심슨 사건 542
1. 사건의 개요 542
2. 사건의 분석 543
3. 쟁점 및 수사상 교훈 545
제5절 대구 개구리 소년 실종사건 546
1. 사건의 개요 546
2. 사건의 분석 548
3. 쟁점 및 수사상 교훈 551
제6절 포천 여중생 살인사건 552
1. 사건의 개요 552
2. 사건의 분석 553
3. 쟁점 및 수사상 교훈 555
제7절 허원근 일병 사망사건 556
1. 사건의 개요 556
2. 국방부와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간 상반된 주장 558
3. 진상 규명 및 재판 과정 564
제8절 일명 낙지 살인사건 566
1. 사건의 개요 566
2. 재판 과정 569
3. 사건의 쟁점과 분석 572
제9절 만삭 의사 부인 살인사건 577
1. 사건의 개요 577
2. 재판 과정 581
3. 사건의 쟁점과 분석 590
참고 문헌 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