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도시계획/설계
· ISBN : 9788976445902
· 쪽수 : 694쪽
· 출판일 : 2017-08-07
목차
머리말/3
제1장 도시성장의 의미와 일반적 추세 19
제1절 도시성장, 도시화의 과정과 의미 19
1. 도시성장의 의미/19
2. 도시화의 의미와 과정/22
3. 도시의 개념 정립에서 제기되는 문제들/24
제2절 도시화의 일반적 추세 27
1. 한국의 도시화 추세/27
2. 조선 후기 시기(1920년 이전)/28
3. 일제 강점기(1920~1945년)/29
4. 해방 이후와 혼돈기(1945~1960년)/31
5. 압축적 도시화 시기(1960~1990년)/31
6. 성숙된 도시화(1990년~현재)/35
제3절 도시화의 세계적 추세 38
제4절 도시화의 주요 요인 53
1. 경제적 요인/53
2. 규모의 경제와 집적의 효과/55
3. 도시성장의 정치적?사회적?문화적 요인들/59
제5절 최근의 도시화 추세 64
1. 선진사회의 최근 도시화 추세/66
2. 개발도상국들의 최근의 도시화 추세/70
3. 도시에 대한 인식의 변화/77
4. 글로벌 사회와 거대도시(mega-city)의 성장/81
제2장 글로벌 사회와 도시개발 85
제1절 들어가는 말 85
제2절 글로벌 도시개발을 요구하는 사회적 배경 88
1. 과학기술의 급격한 변화/88
2. 경제활동의 글로벌화/90
제3절 글로벌 사회와 도시 기능의 변화 91
1. 글로벌 사회의 의미 및 특성/91
2. 세계화와 동시에 지방화/93
3. 도시 기능의 변화/95
제4절 글로벌 도시개발: 이론적 모형 96
1. 초국적 도시화/97
2. 기업가적 도시운영/100
제5절 글로벌 도시개발을 위한 요건 102
1. 유연적 도시구조의 조성/103
2. 글로벌 네트워크와 연계성 확보/107
3. 글로벌 네트워크에서 도시 차별성 확보/108
4. 쾌적한 주거와 산업환경의 조성/110
제6절 글로벌 도시개발을 위한 제언 112
제7절 맺는 말 121
제3장 정보화 사회와 도시개발 123
제1절 들어가는 말 123
제2절 정보화 사회의 의미와 특성 125
1. 정보화 시대의 개념과 특성/125
2. 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공간 개념의 변화/128
제3절 정보화 사회를 유도한 요인들 129
1. 연구개발의 조직화(공장화)와 첨단 과학기술의 발달/130
2. 교통기술의 발달/131
3. 정보통신기술의 혁신적 발전/132
4. 경제활동의 글로벌화/134
5. 소득수준의 상승과 서비스 활동의 고급화?첨단화/135
제4절 정보화 시대에 도시개발을 위한 이론적 접근 136
1. 장기파동 이론(Long Wave Theory)/137
2. 제품생명주기 이론(Product Life Cycle Theory)/143
3. 유연생산 체제 이론/146
4. 혁신적 환경과 네트워크 접근(Innovative milieux and network approach)/150
제5절 정보화 사회의 도시개발 방향 153
1. 과학기술 변화와 도시개발의 연계/154
2. 사회구조 변화와 도시개발의 연계/156
3. 글로벌 네트워크와 도시개발의 연계/158
제6절 정보화 시대에 도시개발의 기본 요소 161
1. 도시 인적자원의 육성/161
2. 유연적 도시환경의 조성/165
3. 도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사이에 연계와 협조 관계 형성/168
4. 쾌적한 산업과 주거환경의 조성/173
제7절 정보화 사회에 도시정부의 역할 174
1. 도시정부 운영에서 기업가 정신의 도입/175
2. 공급 측면의 접근에서 수요 측면의 접근으로 도시정부의 정책 변화/177
3. 민간부문에 대한 조정?규제의 역할에서 협력?동반자 관계 역할로 변화/180
제8절 정보화 사회의 문제점 182
1. 정보?지식 중심의 새로운 계층화의 등장/183
2. 정보 인프라의 차이에 의한 지역 격차의 발생/184
3. 쾌적한 삶의 질과 토지 이용의 한계/185
4. 정보기술의 부적절한 이용과 사회적 비용/186
제4장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188
제1절 지속가능한 개발: 논의의 시작 189
제2절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개념 정립 193
제3절 지속가능성의 공간: 왜 도시인가? 199
제4절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정책원리의 탐색 202
제5절 생태적 도시 재구성을 위한 전략 208
1. 생태적 도시 재구성을 위한 8개 정책지침/211
2. 생태적 도시 재구성을 위한 주요 활동 분야와 실행 요소/214
3. 생태적 근린 관계의 형성/220
제6절 지방의제 21: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와 도시정부의 주도적 역할 222
1. 한국의 ‘지방의제 21’ 수립?추진 실태/226
2. 지방의제 21 실현의 문제점/228
제7절 압축도시(Compact City):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대안? 231
1. 압축도시: 공간과 지속가능성 개념/232
2. 압축도시의 정의/233
3. 고밀도 개발의 공간적 효과/234
4. 고밀도 개발의 심리적 효과/236
5. 고밀도 개발의 사회적 효과/237
6. 고밀도 개발의 교통에 대한 영향/239
7. 압축도시 vs. 풍선도시/241
8. 압축도시에 대한 잠정적 결론/245
제8절 맺는 말 246
제5장 도시개발 주요 이론 249
제1절 도시 생태학적 접근 249
제2절 균형 vs. 불균형 성장이론 254
1. 균형 성장이론/254
2. 불균형 성장이론/267
제3절 도시계획적 접근 278
1. 하워드의 전원도시(Garden City)/280
2. 르 코르뷔지에의 고밀도 도시/282
3. 제인 제이콥스의 도시촌(Urban Village) 운동/288
4. 다니엘 버넘의 도시미화운동/290
5. 제임스 라우스의 복합 도시개발/293
제4절 신도시주의운동(New Urbanism Movement) 296
제5절 맺는 말 300
제6장 도시경제 분석방법 304
제1절 변동할당분석(變動割當分析) 305
1. 변동할당분석은 지역 경제 변화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305
2. 가상 수치를 이용한 변동할당분석의 예/307
3. 변동할당분석의 장점과 한계/309
제2절 수출기반모형(Export Base Model) 310
1. 승수효과(Multiplier Effect)/312
2. 승수효과를 계산하는 방법/315
3. 수출기반모형의 장점과 제약점/318
제3절 투입-산출모형(Input-Output Model) 320
1. 산업연관표(Transaction Matrix)/323
2. 기술적 상수(Technical Coefficient) 도출/323
3. 투입-산출모형의 장?단점/327
제4절 계량분석모형(Econometric Model) 328
제5절 맺는 말 332
제7장 도시 공간구조와 이용 334
제1절 중심업무지구의 출현과 공간 이용 변화 334
1. 동심원 모형/337
2. 섹터 모형(Sector-Model)/339
3. 다핵 모형(Multi-Nuclei Model)/341
제2절 중심지 이론 343
1. 중심지 배열의 세 가지 원리/347
2. 뢰쉬 이론/351
제3절 도시 공간구조와 분포를 설명하는 기타 원리들 352
1. 중력 모형(Gravity Model)/352
2. 순위-규모 규칙/354
제4절 맺는 말 360
제8장 산업입지이론 362
제1절 산업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 363
제2절 산업입지이론들 368
1. 단순이론/368
2. 종합이론/375
제3절 글로벌 사회의 도래와 산업입지의 새로운 공간 재구성 387
제4절 기타 산업입지이론들 391
제5절 맺는 말 392
제9장 性(gender)과 도시공간 393
제1절 여성의 공간과 남성의 공간 394
제2절 성과 페미니즘 397
제3절 가부장 도시 400
1. 소유 공간으로서 도시에 대한 담론/402
2. 도시 구역화에 대한 담론/404
3. 도시 다양성에 대한 담론/407
제4절 여성 활동과 도시공간 409
1. 여성의 사회 진출과 직무 공간에서의 성 불평등/409
2. 도시의 공공 교통과 여성/411
3. 도시 근린 관계와 여성/414
4. 휴식 공간과 여성/415
5. 도시의 소비 공간과 여성/417
제5절 여성의 사회 진출과 도시공간 이용의 변화 420
1. 가사 관련 서비스의 상업화와 전문화/421
2. 여성 전용 서비스의 다양화와 전문화/422
3. 주거 형태의 변화/423
제6절 여성의 사회 진출과 한국 도시공간의 변화 424
제7절 여성 친화적 도시개발 433
1. 여성 친화적 개발의 논리: 도시 변화 추종자에서 주도자로 전환/434
2. 여성 친화적 도시개발을 위한 전략/439
제8절 맺는 말 444
제10장 문화와 도시개발 446
제1절 들어가는 말 446
제2절 문화도시 개념과 특성 448
1. 문화와 도시의 관계/449
2. 문화도시 정의/451
3. 문화도시의 주요 요소와 유형/452
4. 도시문화와 도시성장/454
제3절 문화도시 조성 배경 456
1. 문화도시 조성 배경과 역사/456
2. 글로벌 사회의 도래와 문화도시 개발/457
제4절 문화예술의 특성과 지역에 미치는 효과 461
1. 문화의 개념과 특성/461
2. 문화산업의 특성/463
3. 문화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효과/465
제5절 문화도시 사례 467
1. 문화도시 역사와 주요 사례/467
2. 문화도시 전략의 주요 배경과 특징/471
제6절 문화도시 계획과 모형 474
1. 문화와 도시개발/475
2. 문화도시 모형/478
제7절 창조도시에 대한 논의 483
1. 창조도시 역사와 개념/483
2. 창조성과 창조산업/486
제8절 한국 문화도시 현황 488
1. 한국의 문화도시 추진 배경/488
2. 문화도시 추진 실태/489
제9절 정책 시사점 501
1. 도시 문화자원 확인 및 배양/502
2. 내생적 개발/503
3. 다양성 추구/504
4. 종합적?거시적 접근/505
5. 문화적 추진 과정과 거버넌스 구축/507
6. 분권화된 협력 관계 형성/508
제10절 문화도시에 대한 비판 509
1. 모방 복제문제/511
2. 화장도시 비판/512
3. 불평등과 양극화 문제/513
4. 대규모 투자와 혜택의 독점화/515
5. 또 다른 문제: 박제된 도시(경주?)/516
제11절 맺는 말 518
제11장 스마트 도시개발 521
제1절 서론: 문제의 제기와 논의의 목적 521
제2절 스마트 도시 개념과 특성 524
1. 스마트 도시에 대한 개념 정립/525
2. 스마트 도시의 특성/532
3. 스마트 도시 개념의 문제점/534
4. 소 결/536
제3절 스마트 도시 시스템 구축 536
1. 스마트 체제의 작동 과정/540
2. 스마트 도시 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법론/541
제4절 스마트 도시의 주요 요건 548
제5절 스마트 도시와 빅 데이터 활용 556
1. 빅 데이터(Big Data) 개념/556
2. 스마트 도시의 빅 데이터 활용/558
3. 스마트 공공 서비스 특성과 빅 데이터 분석 체계/561
4. 스마트 도시개발 계획에 빅 데이터 활용 방안/562
제6절 스마트 도시 사례 564
1. 한국 사례: 인천시 스마트 도시관리 체계/565
2. 스페인 바르셀로나 스마트 도시 사례/566
3. 프랑스 그랑리옹 스마트 도시 사례/568
4. 덴마크 코펜하겐 스마트 도시 사례/570
제7절 스마트 개발과 도시 변화 573
제8절 스마트 도시개발의 문제점 582
제9절 정책 시사점 589
제10절 맺는 말 594
제12장 포스트모던과 도시개발 597
제1절 모더니티(modernity)에 대한 두 가지 해석 597
제2절 포스트모던에 대한 논쟁 599
1.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 이론/600
2. 푸코의 권력이론/603
3. 보드리야르의 시뮬레이션 이론/606
4. 제임슨의 포스트모던/608
5. 라클라우와 무페의 포스트마르크스주의(Post-Marxism) 이론/611
제3절 포스트모던 이론의 주요 논점들 614
1. ‘새로운 시대’의 도래/614
2. 초월적 의미의 해체/615
3. 총체성 거부와 다양성?차이의 수용/617
4. 문화활동의 역할과 영향의 강화/619
제4절 모던도시에서 포스트모던 도시로: 시카고에서 로스앤젤레스로 621
1. 시카고 학파/621
2. L.A. 학파/623
3. 로스앤젤레스: 포스트모던 도시/624
제5절 도시에 대한 탈현대적 시각: 포스트모던 도시의 특징 626
제6절 포스트모던 도시개발을 위한 접근 639
제7절 맺는 말 644
참고문헌 645
찾아보기 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