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행정과 법

행정과 법

(법학 비전공자들을 위한 행정법, 제4판)

김항규 (지은이)
대영문화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1,450원
27,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9,000원 -10% 1450원 24,650원 >

책 이미지

행정과 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행정과 법 (법학 비전공자들을 위한 행정법, 제4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행정법
· ISBN : 9788976447029
· 쪽수 : 760쪽
· 출판일 : 2018-02-22

목차

제4판 머리말/3
제3판 머리말/5
제2판 머리말/7
초판 머리말/9

제1편 행정과 법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제1장 행정의 개념 27
제1절 실질적 의미의 입법행정사법 28
제2절 형식적 의미의 입법행정사법 29
제3절 행정은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가 30
제4절 행정 개념을 통해 본 행정의 특징 33
제2장 행정과 법과의 관계 35
제1절 법치행정의 원리와 법체계 35
Ⅰ. 법치행정의 원리/35
Ⅱ. 법체계/36
제2절 대륙법계 국가에서의 ‘법률에 의한 행정’의 원리 37
Ⅰ. 법률의 법규 창조력/38
Ⅱ. 법률유보 원칙/39
Ⅲ. 법률우위 원칙/43
Ⅳ. 행정구제 제도의 정비/44
Ⅴ. 형식적 법치주의와 실질적 법치주의/53
제3절 영미법계 국가에서의 ‘법의 지배’ 54
Ⅰ. ‘법의 지배’의 의의/54
Ⅱ. 보통법과 제정법 간의 상충/55
제3장 행정법 57
제1절 행정법의 의의 57
제2절 행정법의 법원 68
Ⅰ. 행정법의 성문 법원/68
Ⅱ. 행정법의 불문 법원/73
제3절 행정법의 일반 원칙 76
Ⅰ. 비례의 원칙(과잉 금지의 원칙)/77
Ⅱ. 신뢰 보호의 원칙/80
Ⅲ. 평등의 원칙/84
Ⅳ. 행정의 자기구속의 법리/84
Ⅴ. 부당결부 금지의 원칙/85
Ⅵ. 신의성실의 원칙/86
제4절 행정법 관계의 당사자 87
Ⅰ. 행정 주체/88
Ⅱ. 행정 주체와 행정기관/92
Ⅲ. 행정 객체/95
제5절 행정법 관계의 특질 95
Ⅰ. 행정 의사의 법률적합성/97
Ⅱ. 행정 의사의 공정력/97
Ⅲ. 행정 의사의 확정력(존속력)/97
Ⅳ. 자력 강제력(자력 집행력자력 제재력)/99
Ⅴ. 권리의무의 특수성/99
Ⅵ. 권리 구제 수단의 특수성/100
제6절 특별권력 관계 101
Ⅰ. 전통적 특별권력 관계의 의의/101
Ⅱ. 특별권력 관계의 특색/101
Ⅲ. 특별권력 관계의 인정 여부/102
Ⅳ. 특별권력 관계의 성립 요인과 소멸 요인/103

제2편 행정 주체와 국민 사이에 행해지는 행정의 행위 형식들과 법적 특징

제1장 행정입법 107
제1절 행정입법의 의의 109
제2절 행정입법의 종류 110
Ⅰ. 법규명령과 행정규칙/110
Ⅱ. 법규명령/111
Ⅲ. 법규명령의 제정 범위와 한계/115
Ⅳ. 법규명령의 성립 및 효력 요건/117
Ⅴ. 법규명령의 하자와 권리구제/118
Ⅵ. 법규명령에 대한 통제/119
제3절 행정규칙 124
Ⅰ. 행정규칙의 의의/124
Ⅱ. 행정규칙의 필요성/125
Ⅲ. 행정규칙의 종류/126
Ⅳ. 행정규칙의 성립 및 발효 요건/128
제4절 자치입법 129
제2장 행정행위 130
제1절 행정행위의 의의 130
Ⅰ. 행정행위의 개념/130
Ⅱ. 행정행위의 개념으로 본 행정행위의 특징/131
Ⅲ. 행정행위의 개념과 ‘처분’ 개념과의 구분/136
제2절 행정행위의 종류 139
Ⅰ. 법률행위적 행정행위와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139
Ⅱ. 법률행위적 행정행위/140
Ⅲ.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149
Ⅳ. 기속행위재량행위, 불확정 개념/153
Ⅴ. 대인적 행정행위, 대물적 행정행위, 혼합적 행정행위/162
제3절 행정행위의 특질 163
Ⅰ. 법률행위와 행정행위/163
Ⅱ. 행정행위의 법률적합성/164
Ⅲ. 행정행위의 공정력/165
Ⅳ. 존속력(불가쟁력불가변력)/166
Ⅴ. 자력 강제력(집행력제재력)/168
제4절 행정행위의 부관 169
Ⅰ. 행정행위의 부관의 의의/169
Ⅱ. 부관의 종류/170
Ⅲ. 부관의 한계/175
제5절 행정행위의 성립 및 효력 발생 요건 177
Ⅰ. 행정행위의 성립 요건/177
Ⅱ. 행정행위의 효력 발생 요건/179
제6절 행정행위의 하자(흠) 180
Ⅰ. 행정행위의 하자의 의의/180
Ⅱ. 행정행위의 하자의 유형/181
Ⅲ. 무효인 행정행위와 취소할 수 있는 행정행위의 구별 실익/183
Ⅳ. 무효와 취소의 구별기준/185
Ⅴ. 구체적인 무효 사유와 취소 사유/185
Ⅵ. 하자 있는 행정행위의 치유와 전환/188
제7절 행정행위의 취소 192
Ⅰ. 협의의 취소와 광의의 취소/192
Ⅱ. 직권취소와 쟁송취소의 구별/193
Ⅲ. 취소권자/196
Ⅳ. 취소 사유/197
Ⅴ. 취소의 효과/197
제8절 행정행위의 철회 198
Ⅰ. 의의 및 취소와의 구별/198
Ⅱ. 철회 사유/199
Ⅲ. 철회의 효과/200
제9절 행정행위의 실효 201
Ⅰ. 실효의 의의/201
Ⅱ. 실효의 사유/201
제3장 비권력적 행정작용 203
제1절 공법상 계약 204
Ⅰ. 공법상 계약의 의의/204
Ⅱ. 공법상 계약의 종류/205
제2절 공법상 합동행위 208
제3절 행정상 사실행위 209
Ⅰ. 행정상 사실행위의 의의/209
Ⅱ. 행정상 사실행위의 종류/210
Ⅲ. 사실행위의 법적 근거와 한계/211
Ⅳ. 행정지도/212
Ⅴ. 비공식적 행정작용/216
제4장 행정계획 223
제1절 개 설 223
Ⅰ. 행정계획의 의의/223
Ⅱ. 행정계획의 종류/224
제2절 행정계획의 법적 근거와 확정 절차 227
Ⅰ. 법적 근거 및 법적 성질/227
Ⅱ. 계획의 확정 절차/228
제3절 계획재량과 그 한계 230
Ⅰ. 계획재량의 의의/230
Ⅱ. 계획재량과 사법심사에서의 형량명령/231
제4절 행정계획과 권리 구제 232
Ⅰ. 행정쟁송/232
Ⅱ. 손해전보/233
제5장 그 밖의 행정의 주요 행위 형식 235
제1절 행정상의 확언확약 235
Ⅰ. 확언과 확약의 개념/235
Ⅱ. 확언확약의 법적 성질/236
Ⅲ. 확약의 요건/238
Ⅳ. 확약의 효과/239
제2절 사법 형식의 행정작용 240
Ⅰ. 개 설/240
Ⅱ. 사법 형식의 행정작용의 유형/241
제3절 행정의 자동화 작용 245
Ⅰ. 행정의 자동화 작용의 의의/245
Ⅱ. 행정자동 결정의 법적 성질/246
Ⅲ. 행정행위로서의 행정자동 결정에 대한 특별한 법적 규율/246
Ⅳ. 행정자동 결정의 하자와 권리 구제/247
제6장 행정 과정의 법적 규율 249
제1절 행정정보 공개제도 250
Ⅰ. 의의 및 순기능과 역기능/250
Ⅱ.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정보공개법)의 주요 내용/251
제2절 행정조사 259
Ⅰ. 행정조사의 의의/259
Ⅱ. 행정조사의 성격/260
Ⅲ. 행정조사의 법적 근거/261
Ⅳ. 행정조사의 한계/262
Ⅴ. 행정조사의 기본 원칙/264
Ⅵ. 행정조사와 권리 구제/264
제3절 개인정보 보호 266
Ⅰ. 의 의/266
Ⅱ.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267
제4절 행정절차 272
Ⅰ. 행정절차의 개념 및 필요성/272
Ⅱ. 행정절차의 일반적 내용/275
Ⅲ. 각국의 행정절차법/276
Ⅳ. 우리나라 행정절차법의 일반적 특징/278
Ⅴ. 행정절차법의 통칙적 규정/280
Ⅵ. 처분절차/283
Ⅶ. 신 고/288
Ⅷ. 행정상 입법예고 절차/289
Ⅸ. 행정예고/290
Ⅹ. 행정지도/290
ⅩⅠ. 국민참여의 확대/291
ⅩⅡ. 행정절차의 하자/291

제3편 행정작용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들

제1장 행정강제 297
제1절 행정상 강제집행의 의의 및 특색 299
Ⅰ. 행정상 강제집행의 의의/299
Ⅱ. 행정상 강제집행의 법적 성질/300
Ⅲ. 행정상 강제집행의 근거/301
제2절 대집행 302
Ⅰ. 대집행의 의의/302
Ⅱ. 대집행권자/302
Ⅲ. 대집행 대상 및 요건/303
Ⅳ. 대집행의 절차/304
Ⅴ. 대집행에 대한 불복/307
제3절 이행강제금(집행벌) 308
Ⅰ. 이행강제금의 의의/308
Ⅱ. 기타의 실효성 확보 수단과의 구별/309
Ⅲ. 법적 근거 및 불복 절차/310
제4절 직접강제 310
제5절 행정상 강제징수 311
Ⅰ. 의 의/311
Ⅱ. 절 차/312
Ⅲ. 강제징수에 대한 불복 수단/314
제6절 행정상 즉시강제 315
Ⅰ. 의의 및 다른 개념과의 구별/315
Ⅱ. 행정상 즉시강제의 근거/316
Ⅲ. 행정상 즉시강제의 수단/316
Ⅳ. 행정상 즉시강제의 한계/317
제2장 행정벌 320
제1절 행정벌의 의의 및 성질 320
Ⅰ. 행정벌의 의의/320
Ⅱ. 행정벌의 성질 및 근거/321
제2절 행정벌의 종류 323
제3장 새로운 의무 이행 확보 수단들 324
제1절 개 설 324
제2절 금전적인 부담 수단 325
Ⅰ. 가산세/325
Ⅱ. 가산금/326
Ⅲ. 과징금․부과금/326
Ⅳ. 범칙금/328
제3절 그 이외의 수단 328
Ⅰ. 공급 거부/328
Ⅱ. 공 표/328
Ⅲ. 관허사업의 제한 등 제재적 행정처분/329

제4편 행정작용으로 인한 권익 침해는 어떻게 구제받을 수 있는가

제1장 행정구제법의 체계 333
제2장 행정상 손해전보 335
제1절 행정상 손해배상(국가배상) 335
Ⅰ. 행정상 손해배상의 의의 및 손실보상과의 관계/335
Ⅱ. 행정상 손해배상 제도의 연혁/336
Ⅲ. 우리나라 헌법과 국가배상법에서의 국가배상청구권의 성격/336
Ⅳ.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338
Ⅴ. 영조물의 설치관리상의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351
제2절 행정상 손실보상 356
Ⅰ. 행정상 손실보상의 의의/356
Ⅱ. 행정상 손실보상 제도의 근거/357
Ⅲ. 존속보장설과 가치보장설/358
Ⅳ. 손실보상의 요건/359
Ⅴ. 손실보상의 대상/363
Ⅵ. 우리나라 실정법상의 손실보상의 주요 원칙/365
Ⅶ. 손실보상의 방법/369
Ⅷ. 손실보상의 절차/371
Ⅸ. 손실보상에 대한 불복 절차/372
Ⅹ. 새로운 행정상 손실보상 제도/374
제3장 행정심판 377
제1절 행정쟁송과 행정심판 377
Ⅰ. 행정쟁송의 개념/378
Ⅱ. 행정심판과 행정소송/379
제2절 행정심판의 의의 380
Ⅰ. 행정심판의 개념/380
Ⅱ. 행정심판과 유사한 다른 개념과의 구별/380
Ⅲ. 행정심판과 행정소송과의 구별/383
제3절 행정심판의 기능 386
Ⅰ. 행정의 자기통제 기능/386
Ⅱ. 행정청의 전문지식의 활용을 통한 사법 기능의 보충/386
Ⅲ. 행정 능률의 보장/386
Ⅳ. 법원의 부담 경감/387
Ⅴ. 국민의 권리 구제 수단/387
제4절 행정심판법상의 행정심판의 종류 387
Ⅰ. 취소심판/388
Ⅱ. 무효 등 확인심판/389
Ⅲ. 의무이행심판/390
제5절 행정심판의 당사자 391
Ⅰ. 행정심판의 청구인과 청구인 적격/392
Ⅱ. 피청구인/393
제6절 행정심판의 관계인 394
Ⅰ. 참가인/394
Ⅱ. 대리인/395
제7절 행정심판의 대상 396
Ⅰ. 행정청의 처분/397
Ⅱ. 부작위/398
Ⅲ. 예외적 사항/399
제8절 행정심판기관 400
Ⅰ. 행정심판위원회의 법적 지위와 유형/400
Ⅱ. 구 성/403
Ⅲ. 회의 및 운영/404
Ⅳ. 제척기피회피/405
Ⅴ. 권 한/405
제9절 행정심판의 청구 408
Ⅰ. 행정심판의 청구/408
Ⅱ. 행정심판청구의 제출 절차/410
Ⅲ. 행정심판청구의 변경취하/412
Ⅳ. 행정심판청구의 효과/413
제10절 행정심판의 심리 414
Ⅰ. 심리의 내용/415
Ⅱ. 심리의 범위/416
Ⅲ. 심리의 절차/417
Ⅳ. 심리의 병합과 분리/420
제11절 행정심판의 재결 420
Ⅰ. 재결의 절차형식/421
Ⅱ. 재결의 종류/421
Ⅲ. 재결의 효력/423
Ⅳ. 재결에 대한 불복/426
제4장 행정소송 428
제1절 행정소송의 의의 428
Ⅰ. 행정소송의 개념/428
Ⅱ. 행정소송의 기능/430
Ⅲ. 행정소송 제도의 유형/431
Ⅳ. 행정소송과 민사소송/432
제2절 행정소송의 유형 437
Ⅰ. 성질에 의한 분류/437
Ⅱ. 내용에 의한 분류/438
제3절 취소소송 440
Ⅰ. 취소소송의 의의/440
Ⅱ. 취소소송의 재판관할/441
Ⅲ. 관련 청구소송의 이송병합/442
Ⅳ. 취소소송의 당사자(원고피고참가인)/448
Ⅴ. 원고피고참가인/450
Ⅵ. 취소소송의 제기 요건/461
Ⅶ. 소의 변경/467
Ⅷ. 취소소송 제기의 효과/468
Ⅸ. 취소소송과 가구제/469
Ⅹ. 취소소송의 심리/470
ⅩⅠ. 취소소송의 판결/475
ⅩⅡ. 판결에 의하지 않는 취소소송의 종료 및 소송비용/484
제4절 무효 등 확인소송 486
Ⅰ. 개 설/486
Ⅱ. 법률관계부존재확인소송 등/488
Ⅲ. 무효 등 확인소송의 재판 관할/488
Ⅳ. 무효 등 확인소송의 당사자/488
Ⅴ. 무효 등 확인소송의 제기/491
Ⅵ. 무효 등 확인소송의 심리/492
Ⅶ. 무효 등 확인소송의 판결/493
제5절 부작위위법확인소송 494
Ⅰ. 개 설/494
Ⅱ. 부작위의 성립 요건/495
Ⅲ. 기타 주요 소송 요건/497
Ⅳ. 원고 적격 및 피고 적격/498
Ⅴ. 소의 변경/499
Ⅵ. 법원의 판결/500
Ⅶ. 소송의 종료/502
제6절 당사자소송 502
Ⅰ. 개 설/502
Ⅱ. 실질적 당사자소송/503
Ⅲ. 형식적 당사자소송/505
Ⅳ. 소송 요건 및 심리절차/507
Ⅴ. 소송의 종료/509
제7절 객관적 소송 511
Ⅰ. 개 설/511
Ⅱ. 민중소송/511
Ⅲ. 기관소송/512
Ⅳ. 민중소송 및 기관소송에의 적용 법규/515

참고문헌/516
찾아보기/518

저자소개

김항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 부여 출생으로 중앙대학교 행정학과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및 중앙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84년부터 2019년 8월까지 목원대학교 행정학과(현 공공인재학부) 교수로 재직하다 정년퇴직 후 현재는 목원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2009년부터 심리상담에 관심이 있어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상담전문과정과 고급과정을 수료하고, 침례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에서 상담 및 임상심리 석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상담학회 2급 상담전문가 자격증과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1급 상담전문가 자격증을 취득했으며, 2014년부터 2021년까지 목원대학교 내 순수 자원봉사기관인 ‘목원心心토크심리상담소’를 개설하여 학생들에게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했다. 행정학 관련 저서로는 《행정철학(4정판)》(대영문화사)과 《행정과 법(3정판)》(대영문화사)이 있고, 소통 관련 저서로 《心心풀이 단상》(2016, 문예춘추사)이 있다. 현재 대전 좋은이웃교회(관저동 소재) 은퇴장로로 재직하면서 교회 주보 ‘좋은 이웃 이야기’에 매주 글을 써오고 있고, 세종특별자치시에 거주하면서 범지기 마을 10단지 주민들에게 무료심리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6440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