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7128
· 쪽수 : 331쪽
· 출판일 : 2018-08-10
목차
제4판 머리말
제3판 머리말
개정판 머리말
초판 머리말
1장 제도ㆍ문화ㆍ사회적 자본
제1절 제도ㆍ문화ㆍ사회적 자본의 상관성
1. 제도ㆍ문화ㆍ사회적 자본의 상관성
2.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의의
3. 사회적 자본에 관한 학자들의 견해
4. 요약
제2절 국정관리와 사회적 자본
1. 정부와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2. 국정관리에서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
제3절 사회적 자본의 측정과 우리나라의 수준
1. 사회적 자본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2.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 자본의 확충 방안과 그 효과
3. 정부와 시민사회단체와의 바람직한 파트너십 형성을 위한 제언
2장 시만사회와 NGO의 개념과 범주
제1절 시민사회 개념과 범주
제2절 NGO와 유사 용어의 정의
1. 국가별 개념의 차이
2. 이 책에서 NGO의 범위
제3절 NGO의 성장 배경과 특성
1. NGO의 2대 성장 뱅경
2. NGO의 일곱 가지 특성
3. NGO의 4대 기능
3장 한국의 시민사회 형성 과정과 NGO
제1절 정부와 시민사회의 형성
1. 1945년 이전
2. 1945년 ~ 1980년
3. 1980년 ~ 1986년
4. 1987년 ~ 문민정부
5. 김대중 정부 (1998~2003)
6. 노무현 정부 (2003~2008)
7. 이명박 정부 (2008~2013)
8. 박근혜 정부 (2013~2017)
9. 문재인 정부 (2017~2022)
제2절 시민단체의 연혁과 NGO의 급성장
1. 주요 시민단체의 연혁
2. 한국에서 NGO의 급성장에 대한 여덟 가지요인
4장 한국의 사회운동과 정책 과정에서의 제도화
제1절 노동운동
1. 개념과 태생
2. 정부의 정책 과정에서의 노동운동단체(NGO)들의 역할
3. 정부의 정책 과정에서 제도화로의 정착 과정
제2절 환경운동
1. 개념과 태생
2. 정부의 정책 과정에서의 환경운동단체(NGO)들의 역할
제3절 소비자운동
1. 개념과 태생
2. 정부의 정책 과정에서의 소비자운동단체(NGO)들의 역할
3. 정부의 정책 과정에서 제도화로의 정착 과정
제4절 여성운동
1. 개념과 태생
2. 정부의 정책 과정에서의 여성운동단체(NGO)들의 역할
3. 정부의 정책 과정에서 제도화로의 정착 과정
5장 NGO의 주요 활동과 이념 갈등
제1절 21세기 NGO의 변화
1. 시민사회 내부의 변화
2. 새로운 다중매체(SNS) 시대에서의 변화
제2절 2000년대 이후 NGO의 주요 활동
1. 2000년 총선시민연대의 '낙천ㆍ낙선운동'
2. SOFA 개정운동
3. 2003년의 파병 반대, 여성과 환경운동의 분출
4. 한반도 대운하 반대운동
5. 평택 미군기지 이전 반대운동
6. 한ㆍ미 FTA 협정 반대운동
7. 태안 기름 유출사고
8. 광우병 파동
9. 세월호 참사
10. 광화문 촛불집회
제3절 시민사회단체 간 이념 갈등의 확장
1. 진보적 NGO 내부에서의 신사회운동과 구사회운동
2. 진보단체와 보수단체의 갈등 분출
6장 우리나라 NGO의 활동 방식과 정책 영향력
제1절 정부의 정책 과정 참여
1. 정책 과정에의 참여 의의
2. 정부와 NGO와의 관계 변화
3. 정책 과정에서 정부와 NGO
제2절 정부와 NGO 간의 파트너십
1. 등장 배경 및 개념
2. 파트너십형 사회구조로의 전환
3. 파트너십의 의의
4. 파트너십의 유형
제3절 NGO 활동 현황 분석
1. 활동 영역별 분류
2. 활동 방식에 의한 분류
3. 법적 자격에 의한 분류
4. NGO 상근 직원과 회원
제4절 우리나라 NGO들의 정책 영향력
1. 배경
2. NGO의 영향력에 대한 이론적 논의
3. 우리나라 NGO의 정책 영향력 행사에 관한 논쟁점
7장 NGO의 내부 거버넌스, 재정과 기부
제1절 조직 및 인력관리
1. 조직관리
2. NGO의 인적자원 관리
3. NGO의 의사결정 구조
제2절 NGO의 재정자율성과 의존성
1. 현황
2. 재정 자립을 둘러싼 두 가지 견해
제3절 기부
1. 개념
2. 기부의 의의
3. 기부의 유형
8장 공유재의 확장과 중간 지원조직
제1절 공유재의 확장과 NGO 역할
제2절 공유재의 확장을 위한 중간 지원조직의 개념과 역할
제3절 공유재 확장 활동 사례 : 영국과 한국
제2절 정책 과정에서의 공론화제도 운영의 의의와 평가
1. 공론화의 개념과 추진 방법
2. 우리나라에서의 시민배심원제 활용 사례
3. 평가와 전망
제3절 중간 지원조직 : 영국과 일본 사례
1. 영국
2. 일본
3. 영국과 일본 사례에서의 시사점
4. 우리나라에의 적용
9장 사회적 기업의 등장과 의의
제1절 사회적 기업의 등장
1. 배경
2. 개념
제2절 사회적 기업의 의의
1. 등장 배경
2.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특성
3.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
4. 사회적 기업의 역할
5. 사회적 기업의 유형
6. 우리나라 정부의 사회적 기업에 관한 지원 형태
7. 사회적 기업에 대한 비판
10장 국제화 시대 NGO의 역할
제1절 글로벌 시민사회의 도래
1. 지구시민으로서의 개념
2. 글로벌 시민사회에서 NGO의 역할과 방향
제2절 글로벌 NGO 사례
1. 월드비전 (World Vision)
2. 그린피스 (Greenpeace)
11장 일본 시민사회의 변화
제1절 일본 시민사회의 형성과 변화
1. 전후 태동 시기 (1945년 이후)
2. 시민사회의 발전
3. 지역사회의 변화
제2절 정부 주도형에서 새로운 파트너십으로
1, 행정 주도형의 자원봉사 구축
2. 1990년 이후 정부와 시민사회단체와의 새로운 파트너십
3. 정부와 시민사회단체와의 파트너십
4. 재난관리에서의 민-관 협력체제의 강화
제3절 주민조직과 NPO 조직
1. 주민조직
2. 일본 NPO와 특징과 내념
3. 전통적 주민조직과 NPO의 구분
제4절 공익법인 제도 도입
1. 사단법인ㆍ재단법인의 진화
2. 공익법인 개혁의 배경
3. 신공익법인 제도의 도입과 변화
4. 공익사단법인ㆍ공익재단법인
12장 영국과 미국에서의 정부와 NGO
제1절 영국
1. 20세기 영국 시민사회의 변화
2. 제도적 지원 체계
제2절 미국
1. 형성과 성장
2. 미국 시민사회의 영역별 활동 유형
3. 미국 시민사회의 특징
4. 미국 시민단체에 대한 지원 제도
13장 사회적 자본의 위기와 협치적 공동체주의
제1절 참여 민주주의의 위기
1. 시민참여와 민주주의
2. 시민참여의 허와 실
제2절 사회적 자본의 위기와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극복
1. 사회적 관용성이 미흡한 사회적 자본의 위기
2. 지역공동체 붕괴와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