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새 행정학 3.0

새 행정학 3.0

이종수 (지은이)
대영문화사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0,000원 -0% 0원
2,500원
47,500원 >
50,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5,000원
4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50,000원 -10% 2500원 42,500원 >

책 이미지

새 행정학 3.0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새 행정학 3.0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8545
· 쪽수 : 616쪽
· 출판일 : 2022-01-05

책 소개

행정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 행정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하도록 현상으로서의 행정을 체계적으로 소개한다. 행정의 개념, 구조, 기능, 담당자, 그리고 행정의 환경을 다루었으며, 행정학의 서론적인 내용으로서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접근방법 등을 논하였다.

목차

새행정학3.0 머리말/2

새행정학2.0 머리말/6

새행정학 초판 머리말/9

새행정학3.0의 구성체계/12



제1편 행정의 맥락과 행정학



제1장 행정과 정부

제1절 행정의 개념과 행정학 29

1. 행정의 개념/29

2. 행정의 맥락과 행정학/30

3. 행정과 경영의 관계/33

제2절 정부를 이해하는 관점 36

1. 이념에 따른 정부관/36

2. 자본주의의 발전과 정부관의 변천/38

3. 큰 정부와 작은 정부/42

4. 정부 개입의 논거로서 시장실패와 정부실패/43

제3절 행정가치 48

1. 본질적 행정가치/48

2. 수단적 행정가치/54

3. 행정과 사회적 가치/58



제2장 행정의 환경과 제도적 맥락

제1절 행정과 환경 67

1. 개방체제로서의 행정/67

2. 행정환경의 유형/68

3. 행정과 환경의 상호작용/70

제2절 행정의 일반적 환경 74

1. 자연환경/74

2. 기술적 환경/76

3. 인구 사회적 환경/78

4. 경제적 환경/79

5. 글로벌 환경/81

제3절 행정의 제도적 환경 82

1. 국가권력구조/82

2. 정치적 환경/85

3. 법적 환경/88



제3장 행정학의 접근방법과 이론

제1절 행정학의 유래와 발달 과정 95

1. 행정학의 기원으로서 독일의 관방학/95

2. 프랑스와 영국의 행정학/97

3. 미국의 행정학/98

4. 한국에서 현대 행정학의 도입과 전개 과정/107

제2절 행정학의 주요 접근방법 109

1. 구조 제도적 접근방법/109

2. 행태적 접근방법/113

3. 행정환경적 접근방법/114

4. 가치주의 접근방법/116

제3절 현대 행정학의 주요 이론 118

1. 신공공관리론/118

2. 탈신공공관리론/122

3. 뉴거버넌스론/125

4. 신공공서비스론/130

5. 공공가치관리론/132

6. 넛지이론/136

7. 특정 행정 현상에 관한 이론/145



제2편 행정의 구조와 수단



제4장 중앙정부와 행정조직

제1절 행정조직의 의의 153

1. 행정조직의 개념과 특징/153

2. 조직이론의 변천 과정/154

제2절 중앙정부의 행정조직 158

1. 행정의 구조와 행정조직의 유형/158

2. 중앙행정조직의 구성과 형태/160

제3절 조직구조의 설계와 유형 165

1. 조직구조의 의의/165

2. 조직구조의 변수/166

3. 조직구조의 설계/170

4. 조직구조의 유형/174



제5장 지방정부와 지방자치

제1절 지방정부와 지방자치의 의의 183

1. 지방자치의 개념과 의의/183

2. 지방정부, 지방거버넌스, 정부간 관계/184

제2절 지방정부의 계층구조와 사무 185

1. 계층구조/185

2. 중앙과 지방 간 사무배분/188

3. 중앙과 지방 간 역할 분담의 쟁점/190

제3절 정부간 관계와 지방자치권 192

1. 정부간 관계 이론/192

2. 지방자치권과 제약/194

3. 정부간 갈등관리와 협력제도/198

제4절 지방자치 환경의 변화와 지방정부의 대응 201

1. 지방자치 환경의 변화/201

2. 인구 감소와 지방정부의 대응/203

3. 지방자치법 전부개정과 지방정부의 변화/205



제6장 공공기관

제1절 공공기관의 의의와 설립 근거 215

1. 공공기관의 의의와 특성/215

2. 공기업의 특징과 설립 동기/219

3. 준정부기관의 특징과 설립 동기/224

제2절 공공기관의 유형과 운영 현황 228

1. 공공기관 유형의 의의/228

2. 중앙정부 공공기관의 유형과 운영 현황/233

3.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유형과 운영 현황/239

제3절 공공기관의 지배구조와 경영관리제도 245

1. 공공기관 관리체계의 의의/245

2. 공공기관 지배구조/251

3.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256

제4절 공공기관의 혁신과 개혁 과제 257

1. 공공기관 혁신의 의의/257

2. 공공기관 구조조정과 민영화/261

3. 공공기관 임원 인사제도의 개혁/263



제7장 시민사회와 시민단체

제1절 시민사회와 시민단체의 의의 269

1. 시민사회/269

2. 시민단체/270

3. 시민단체의 활동과 이념 분포/272

4. 외국의 시민단체/273

제2절 시민단체와 사회자본 275

1. 시민단체 해석을 위한 관점/275

2. 사회자본과 시민단체/277

제3절 정부와 시민단체 280

1. 정책 거버넌스의 주체로서 시민단체/280

2. 정부와 시민단체의 관계/281

3. 정부와 시민단체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283

4. 시민참여의 활성화/284



제8장 행정 수단

제1절 뉴거버넌스와 행정 수단 291

1. 뉴거버넌스 패러다임의 등장/291

2. 행정 수단에 대한 관심 증대/292

제2절 행정 수단의 의의와 유형 294

1. 행정 수단의 의의/294

2. 행정 수단의 유형과 특징/297

제3절 행정 수단의 선택 299

1. 행정 수단의 선택 기준/299

2. 행정 수단의 주체/302

3. 행정 수단의 방법/305

제4절 새로운 행정 수단의 활용 방향 308



제3편 행정관리와 지원체계



제9장 행정조직관리

제1절 조직관리와 조직인 315

1. 공공조직관리의 의의/315

2. 조직인을 보는 관점/316

3. 조직인의 동기이론/318

제2절 조직문화와 리더십 및 변화관리 324

1. 조직문화/324

2. 조직의 리더십/327

3. 조직의 변화관리/333

제3절 조직의 의사소통과 갈등 및 협력관리 339

1. 조직의 의사소통/339

2. 조직의 의사결정/343

3. 조직 내 갈등관리/347

4. 조직 내 협력관리/351

5. 조직 PR과 위기관리/354

제4절 조직목표와 성과관리 357

1. 조직목표의 의의/357

2. 조직목표의 모호성과 목표 변동/361

3. 조직효과성 평가/365

4. 조직의 성과관리/368



제10장 인적자원관리

제1절 인적자원관리의 제도적 기반 381

1. 인적자원관리의 의의/381

2. 인적자원관리의 주요 제도/384

3. 인적자원관리 조직/392

제2절 공직구조와 분류 396

1. 공직구조의 설계/396

2. 공직의 분류/400

제3절 공무원의 임용관리 407

1. 인력기획/407

2. 신규채용/408

3. 인사이동/412

4. 퇴직관리/415

제4절 공무원의 능력관리 417

1. 교육훈련/417

2. 경력개발/420

3. 성과평가/422

제5절 공무원의 사기관리 428

1. 보수제도/428

2. 복리후생제도/436

3. 제안 및 포상제도/440

4. 업무 스트레스 완화/441

제6절 공무원의 다양성관리 444

1. 다양성관리의 의의/444

2. 균형인사제도/447



제11장 재정관리

제1절 재정의 기능 및 구성체계 453

1. 재정의 개념과 기능/453

2. 재정의 규모와 포괄 범위/456

3. 재정의 수입과 지출/462

제2절 예산결정이론과 재정과정 470

1. 예산결정이론/470

2. 재정과정/472

제3절 재정관리제도와 예산제도 481

1. 재정관리제도/481

2. 예산제도/485

제4절 지방재정 492

1. 지방재정의 구조/492

2. 지방재정과정과 지방재정조정제도/496

3. 지방재정과 재정분권/499



제12장 전자정부

제1절 전자정부의 의의와 발전과정 505

1. 전자정부의 의의/505

2. 전자정부의 발전과정/508

제2절 전자정부와 행정과정 및 서비스의 변화 513

1. 정책과정/513

2. 행정관리/516

3. 공공서비스/522

4. 정보공개와 공공데이터 개방/526

제3절 전자정부와 정보화의 역기능 관리 528

1. 전자정부와 정보화의 역기능/528

2. 역기능의 전략적 관리/529



제13장 행정윤리

제1절 행정윤리의 의의와 철학적 기초 537

1. 행정윤리의 의의/537

2. 행정윤리의 철학적 기초/537

3. 행정윤리의 다양한 속성/539

제2절 행정윤리와 공무원 부패 543

1. 공무원 부패의 개념/543

2. 공무원 부패의 접근방법과 부패 유형/544

제3절 행정윤리와 이해충돌의 방지 547

1. 이해충돌의 의미와 유형/547

2. 이해충돌의 영향/548

3. 이해충돌의 방지/549

4. 미국의 이해충돌 방지제도/549

제4절 행정윤리의 관리 552

1. 행정윤리 관리의 필요성/552

2. 강령/553

3. 윤리법/556

4. 신뢰적자와 윤리적 정부/562

제5절 공무원의 복무와 권리 564

1. 공무원의 신분 보장/564

2.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569

3. 공무원단체의 구성과 운영/569



제4편 행정의 성과와 미래



제14장 공공정책

제1절 정책의 의의 579

1. 정책의 개념과 성격/579

2. 정책 유형/582

3. 정책의 영향 요인/584

4. 정책 이해의 목적/585

5. 정책 이해의 대상/587

6. 정책 이해의 접근방법/589

제2절 정책결정 592

1. 정책과정의 참여자/592

2. 정책 네트워크 모형/594

3. 정책의제설정/596

4. 정책문제의 인지와 대안 분석/599

5. 정책결정모형/602

6. 증거기반 정책결정/607

7. 전략적 기획/609

제3절 정책집행 611

1. 정책집행의 의의/611

2. 정책집행의 접근방법/612

3. 정책집행의 유형 및 영향 요인/614

제4절 정책평가 616

1. 정책평가의 의의/616

2. 정책평가의 유형과 절차/616

3. 정책평가의 구성 논리와 방법/617

4. 정책평가제도/620

제5절 정책변동 623

1. 정책변동의 의의/623

2. 정책변동의 유형/623

3. 정책변동모형/624

제6절 정책갈등 관리 625

1. 정책갈등의 의의/625

2. 정책갈등의 원인 및 유형/626

3. 정책갈등 관리 수단/630



제15장 공공서비스

제1절 공공서비스의 의의와 유형 637

1. 공공서비스의 의의/637

2. 공공서비스의 유형/640

제2절 공공서비스의 공급 방식 642

1. 공공서비스 공급 방식의 유형/642

2. 공공서비스 민간위탁/644

3. 사회서비스 공급 방식의 유형/648

제3절 공공서비스 공급의 혁신 651

1. 공공서비스 공급의 가치지향 변화/651

2. 공공서비스의 품질 혁신/653

3. 공동생산/656

제4절 공공서비스의 성과관리 657

1. 공공서비스 성과의 의의/657

2. 결과지향적 구체적 성과평가로 전환/658

3. 성과계약/659



제16장 정부규제

제1절 정부규제의 의의와 유형 665

1. 정부규제의 의의/665

2. 규제의 유형/667

제2절 정부규제의 효과 671

1. 규제 기준의 적용과 합리성/671

2. 규제의 재분배 효과/674

3. 규제의 역설/676

제3절 정부규제의 개혁 678

1. 규제개혁의 의의/678

2. 규제개혁의 대상/679

3. 규제개혁의 수단/680

제4절 정부규제 관리의 실제 681

1. 규제개혁체계/681

2. 신설 강화 규제심사제도/682

3. 기존 규제개혁 프로그램/685

4. 네거티브 규제와 규제샌드박스/686

5. 규제개혁에 대한 평가/687



제17장 정부의 혁신

제1절 정부혁신의 의의 693

1. 정부와 행정 역할의 지속적 변화/693

2. 정부혁신의 주요 쟁점/694

3. 정부혁신의 맥락/700

제2절 정부혁신의 전략 704

1. 정부혁신의 성격/704

2. 정부혁신의 구조와 전략/706

3. 정부혁신에 대한 저항과 극복/708

제3절 한국의 정부혁신 711

1. 정부혁신과 조직개편/711

2. 역대 정부의 정부혁신 전략/714

3. 정부혁신과 큰 정부와 작은 정부의 논쟁/720

제4절 정부혁신의 바람직한 방향 722



참고문헌/727

찾아보기/749

저자소개

이종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 취득 UC. Berkeley Research Associate 日本 中央大學校 政策文化硏究所 招聘硏究員 한국행정학회 회장 역임 서울행정학회 회장 역임 한국행정사연구회 회장 역임 한국정치학회 이사 행정고시, 사법고시, 외무고시 출제위원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명예교수(현) [저서 및 역서] 정부는 공정한가(대영문화사, 2012) 새 행정윤리(대영문화사, 2012) 새 미래의 행정(대영문화사, 2010) 행정학사전(대영문화사, 2009, 개정판) 행정학 외래어사전(한성대학교출판부, 2009) 새행정학(대영문화사, 2012, 6정판) 새인사행정론(대영문화사, 2011, 개정6판) 정부혁신의 미래 비전(한국행정연구원, 2006) 정부혁신의 메커니즘과 전략(대영문화사, 2005) 일본의 행정개혁(도서출판 한울, 2002) 한국행정론(대영문화사, 1998) 지방자치 이렇게 해야 한다(한겨레신문사, 1995) 행정과 가치(법문사, 1988) 외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6449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