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88836895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1-02-10
책 소개
목차
제1편 소방과 소방행정학
제1장 소방과 소방행정
제1절 소방의 기초적 이해 /
1. 소방의 정의와 의의 /
2. 소방의 기능과 영역 /
3. 소방행정의 특수성 /
제2절 소방 관련 학문 체계와 소방행정학의 학문적 정체성 /
1. 소방 관련 학문 체계 /
2. 소방행정학의 학문적 정체성 /
3. 소방행정학의 정의 /
제2장 한국 소방행정의 역사적 변천 과정과 소방조직의 특성··· 0
제1절 한국 소방행정의 역사적 변천 과정 /
1. 조선시대 이전의 소방행정 /
2. 조선시대의 소방행정 /
3. 일제강점기의 소방행정 /
4. 미군정시대의 소방행정 /
5. 대한민국 정부 수립기의 소방행정 /
제2절 한국 소방조직의 특성 /
1. 한국의 소방행정 조직 /
2. 한국의 소방행정 조직의 구조적 특성 /
제2편 소방정책론
제3장 소방정책의 이해
제1절 정책의 개념과 정책결정이론 /
1. 정책의 개념 /
2. 주요 정책결정이론 /
제2절 소방정책의 정의와 앞으로의 정책 방향 /
제4장 우리나라의 국가재난관리 및 안전정책
제1절 국가재난 및안전관리 운영 체계 /
1. 법률적 근거 /
2. 국가재난관리 및 안전관리 관련 일반법 /
제2절 국가재난 및 안전관리 정책 /
제3절 국가재난과 소방정책 /
1. 선진국의 재난관리 체계 /
2. 화재 예방 및 경계정책 /
3. 구조 및 구급정책 /
4. 재난관리 정책 /
5. 국민 생활안전 관리정책 /
제5장 소방정책의 유형과 정책형성 참여자
제1절 소방정책의 의의 /
제2절 소방정책의 유형 /
제3절 소방정책 형성의 참여자 /
1. 대통령(행정수반) /
2. 의회 /
3. 사법부 /
4. 정당 /
5. 행정기관과 관료 /
6. 언론 /
7. 이익집단 /
8. 시민사회단체 /
9. 국민과 여론 /
10. 외부 전문가 /
제6장 소방정책의 집행과 발전 방향
제1절 소방정책의 집행 절차 /
제2절 소방정책 집행의 구조분석 /
제3절 소방정책 집행의 성공과 불응 /
제4절 소방정책의 평가 /
제5절 소방정책의 발전 과정과 방향 /
1. 소방정책의 발전 과정 /
2. 소방정책의 발전 방향 /
제3편 소방조직론
제7장 조직의 개념과 유형
제1절 조직의 개념 /
제2절 조직의 유형과 조직구조 /
1. 조직의 유형 /
2. 조직구조 /
제3절 조직구조와 조직 규모와의 관계 /
제4절 조직구조와 환경과의 관계 /
제5절 기술과 조직구조 변수와의 관계 /
1. 복잡성과의 관계 /
2. 공식성과의 관계 /
3. 집권성과의 관계 /
제8장 소방조직의 체계와 기능
제1절 소방조직의 체계 /
1. 소방조직의 개념 /
2. 소방조직의 특성 /
3. 소방조직의 환경 /
제2절 우리나라 소방조직의 변천 과정 /
제3절 소방행정조직 /
1. 중앙조직의 체계 /
2. 광역지방자치단체 조직 /
3. 세계 주요 국가의 소방조직 /
제4절 소방조직의 리더십과 의사소통 /
1. 소방조직의 리더십 개념과 일반이론 /
2. 리더십의 유형과 리더십 이론 /
제5절 소방조직의 의사소통 /
1. 의사소통의 일반적 개념 /
2. 소방조직의 의사소통 /
3. 의사소통의 개선 방향 /
제4편 소방인사론
제9장 소방공무원의 인사관리
제1절 소방공무원의 인사관리 체계 /
1. 인사관리의 의의 /
2. 소방공무원의 인사관리 체계 /
3. 소방공무원의 인사관리 문제점과 발전 방향 /
제2절 소방공무원의 임용 /
1. 소방공무원의 임용 과정 /
2. 소방공무원의 채용 과정 /
3. 소방공무원 채용 시의 특전 /
제3절 소방공무원의 교육훈련 /
1. 소방공무원 교육훈련의 의의 /
2. 소방공무원의 교육훈련 체계 /
3. 소방공무원 교육훈련 체계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 /
제4절 소방공무원의 인사관리 /
1. 소방공무원의 인사 이동과 경력 발전 /
2. 승진, 보직 이동, 퇴직 /
3. 경력 발전 /
4. 소방공무원의 평정제도 /
5. 소방공무원의 퇴직관리 /
제5절 소방공무원의 사기와 동기부여 /
1. 일반 행정조직의 사기와 동기부여 /
2.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 /
3. 소방공무원의 행동규범과 권익 보장 /
4. 소방공무원의 징계 /
제5편 소방재정론
제10장 소방재정의 이해
제1절 재정의 구분과 지방재정 조정제도 /
1. 재정의 구분 /
2. 재정 활동 /
3. 지방재정 조정제도 /
제2절 소방재정의 의의와 특성 /
1. 소방재정의 의의 /
2. 소방재정의 특성 /
제3절 한국의 소방재정 운용 /
1. 국가재정 및 지방재정과 소방재정 편성 /
2. 한국 소방재정의 운용 현황 /
3. 한국 소방재정의 특징과 문제점 /
4. 한국 소방재정의 발전 방향 /
제11장 소방사무
제1절 한국의 소방사무 /
제2절 외국의 소방사무 /
제3절 소방사무 실태 분석 /
제6편 지방자치와 소방행정
제12장 지방자치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이해 /
1. 지방자치단체의 의미 /
2.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정부의 명칭 비교 /
3.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
4. 의결기관(지방의회) /
5.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
6. 지방자치단체장의 권한 /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
1. 지방자치단체 사무의 이해 /
2. 사무 배분의 기본 원칙 /
3. 지방자치단체 사무와 중앙사무 구분 /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체계 /
1.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중요성 /
2.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책임과 역할 /
3.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개선 방향 /
제7편 소방행정의 미래
제13장 환경의 변화와 미래의 소방행정
제1절 소방행정 환경의 변화 /
1. 소방조직과 재난관리 조직의 상관 관계 /
2.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네트워크, 무인기술의 발전 /
3. 대국민 안전에서 소방 서비스 중심으로 변화 /
제2절 소방행정의 문제점과 과제 /
1. 국가 재난관리 조직과 소방조직의 역할 구분 /
2.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소방조직 편성과 임무 구분 /
제3절 소방행정의 발전 방향 /
1.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소방의 연계성 및 효율성 제고 /
2. 합리적 소방조직 편성 및 인력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