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8552
· 쪽수 : 405쪽
· 출판일 : 2022-01-05
목차
제5판 머리말/3
초판 머리말/5
제1장 지방자치의 의의
제1절 지방자치의 의의 19
1. 지방자치의 개념/19
2. 지방자치의 필요성/20
3. 지방자치와 관련된 용어: 지방자치, 지방정치, 지방행정/21
4. 지방자치의 3요소/24
5. 지방자치와 지방관치/24
6. 지방자치의 위기/26
제2절 주민자치와 단체자치 27
1. 의의/27
2. 양자의 관계: 보완적 관계/28
3. 주민자치와 단체자치의 차이/28
4. 양자의 상호 접근/31
제3절 지방자치의 양면성 32
1. 지방자치와 민주성/32
2. 지방자치와 효율성/38
3. 결론/44
제2장 한국의 지방자치
제1절 헌법과 지방자치 46
1. 헌법의 지방자치 규정/46
2. 지방자치에 대한 헌법적 보장의 내용/47
3. 지방자치에 대한 헌법적 보장의 의의/48
제2절 한국의 지방자치 48
1. 지방자치법의 제정(1949. 7. 4 공포)/48
2. 1949. 12. 15의 지방자치법 개정/50
3. 1952년 지방선거/51
4. 1956. 2. 13의 지방자치법 개정/53
5. 1956. 7. 8의 지방자치법 개정/54
6. 제2대 지방의원 및 제1대 지방자치단체장선거/55
7. 1958. 12. 26의 지방자치법 개정/57
8. 1960. 11. 1의 지방자치법 개정/59
9. 제3대 지방의원 및 제2대 지방자치단체장선거/60
10. 제3, 4공화국과 지방자치/62
11. 제5공화국 헌법과 지방자치/63
12. 제6공화국과 지방자치/63
13. 문민정부와 지방자치/70
14. 국민의 정부와 지방자치/75
15. 참여정부와 지방자치/82
16. 이명박 정부와 지방자치/91
17. 박근혜 정부와 지방자치/95
18. 문재인 정부와 지방자치/100
제3장 자치권
제1절 자치권의 의의 103
제2절 자치권의 근거 103
1. 고유권설/103
2. 전래권설/104
3. 제도적 보장설/105
제3절 자치권의 특성 106
1. 종속성/106
2. 자주성/107
3. 포괄성/107
제4절 자치권의 내용 107
1. 자치입법권/107
2. 자치행정권/113
3. 자치사법권/120
제4장 신중앙집권과 신지방분권
제1절 집권과 분권 121
1. 의의/121
2. 집권과 분권의 장점과 단점/122
3. 중앙집권과 지방분권/123
제2절 신중앙집권 123
1. 신중앙집권의 의의/123
2. 신중앙집권의 원인/123
3. 신중앙집권에 대한 평가/124
4. 신중앙집권의 한계/124
제3절 신지방분권 125
1. 자치단체 관련 국가정책에 대한 참가, 공동 결정, 의견진술권의 인정/125
2. 국가의 자치단체 규제를 위한 법과 계획 결정 시 원칙만 규정/125
3. 국가의 관여는 지식적 관여 위주/126
4. 지방자치단체의 자구 노력/126
5. 지방자치단체 간의 연합조직의 결성 및 활동/126
제4절 21세기와 지방분권 127
1. 21세기의 환경 변화/127
2. 외국의 지방분권 추진 동향/127
3. 참여정부의 지방분권/129
4. 이명박 정부의 지방분권 추진/132
5. 박근혜 정부의 지방분권 추진/135
6. 문재인 정부의 지방분권 추진/138
제5장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구성 형태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의의 140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140
1. 보통지방자치단체/141
2. 특별지방자치단체/141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구성 형태 142
1. 기관통합형/142
2. 기관분립형(기관대립형, 기관분리형)/146
3. 절충형(의회-집행위원회형)/154
4. 주민총회형/155
5. 우리나라의 기관 구성 형태/156
제6장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제1절 의결기관(지방의회) 161
1. 지방의회의 의의/161
2. 지방의회의 권한/162
제2절 집행기관 167
1. 의의/167
2. 지방자치단체장/168
3. 보조기관/170
4. 소속행정기관/171
5. 하부행정기관/172
6. 교육 과학 및 체육에 관한 기관/172
제3절 지방의회와 집행기관의 관계 172
1. 재의요구권/173
2. 재의결 사항에 대한 제소권과 집행정지 결정 신청권/174
3. 선결처분권/175
제7장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과 구역
제1절 계층 176
1. 의의/176
2. 계층의 성격/177
3. 종류/177
4. 우리나라 계층구조의 변화/180
5. 우리나라 계층구조의 문제점/182
6. 계층 조정의 문제/183
제2절 구역 186
1. 의의/186
2. 구역의 성격/186
3. 구역 조정의 필요성/187
4. 구역 설정의 기준에 대한 견해/188
5. 구역 설정의 기준/190
6. 현행 자치구역의 문제점/191
7. 도농 통합형 자치구역 개편 논의/192
제8장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배분
제1절 의의 196
제2절 사무배분의 결정 요인 196
1. 규범적 측면/197
2. 현실적 측면/197
제3절 사무배분의 원칙 197
1. 현지성의 원칙/198
2. 행정 책임 명확화의 원칙/198
3. 종합성의 원칙/198
4. 경제성의 원칙/198
5. 통일성의 원칙/199
제4절 우리나라의 사무배분 원칙 199
1. 국가와 지방자치단체/199
2. 광역과 기초/200
제5절 사무배분의 방식 201
1. 개별적 배분 방식/201
2. 포괄적 배분 방식/202
3. 절충 방식/202
제6절 우리나라의 사무배분 방식 203
1. 포괄적 예시주의/203
2. 특례주의/204
제7절 사무배분의 제약과 사무의 유형 209
1. 제약/209
2. 사무의 유형/210
제8절 사무배분의 문제점 217
1. 중앙집권적 사무배분/217
2. 국가사무와 지방사무의 불명확/217
3. 사무배분의 불명확/218
4. 자치단체의 특성 무시/219
5. 중앙정부 주도의 사무배분/219
6. 사무배분과 재정의 불일치/219
제9장 지방자치단체 상호 간의 관계
제1절 지방자치단체 간의 협력 221
1. 광역행정의 의의/222
2. 광역행정의 성격/222
3. 광역행정의 필요성/223
4. 광역행정의 유형/224
5. 한국의 광역행정/228
제2절 지방자치단체 간의 분쟁 235
1. 지역이기주의/235
2. 지방자치단체 간 분쟁 조정/240
제10장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
제1절 정부 간 관계의 유형 248
1. 분리모형/249
2. 포괄모형/250
3. 중첩모형/250
제2절 중앙통제 250
1. 의의/250
2. 목적/251
3. 중앙통제의 비교/251
4. 중앙통제의 변화/252
5. 중앙통제의 유형/254
6. 중앙통제의 한계/264
7. 중앙통제의 방향/264
제3절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 간 협의․조정 265
1.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협력 의무/265
2. 중앙지방협력회의/265
3. 행정협의조정위원회/268
제11장 지방자치와 주민
제1절 주민의 의의 271
제2절 지방자치와 간접민주제 273
제3절 지방자치와 직접민주제 273
1. 주민투표/273
2. 조례의 제정과 개정 · 폐지 청구/280
3. 주민의 규칙에 대한 제정 및 개정 · 폐지 의견 제출/283
4. 주민의 감사 청구/283
5. 주민소송/285
6. 청원/290
7. 주민소환/291
8. 주민자치회/294
제12장 지방자치와 시민운동
제1절 서론 301
제2절 시민운동의 의의 302
1. 시민운동의 의의/302
2. 시민운동과 민중운동/302
제3절 시민운동의 가치 303
1. 국민 주권의 실현/303
2. 공공 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303
3. 정부실패와 시장실패의 극복/306
제4절 지방자치와 시민운동 307
1. 지방행정 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308
2. 대의민주제의 한계 보완/309
3. 지방자치법의 한계 보완/309
4. 정당정치의 한계 보완/310
제5절 시민운동의 과제 311
제6절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시민운동의 역할 312
제13장 지방자치와 정당
제1절 서론 313
제2절 지방자치와 정당정치 314
1. 민주주의와 정당/314
2. 지방자치와 지방정치/314
3. 지방정치와 중앙정치/315
제3절 지방자치와 정당 참여 316
1. 찬성론/316
2. 반대론/317
제4절 지방자치와 중앙정치의 관계 유형 318
1. 우호적 관계/318
2. 중립적 관계/318
3. 수단적 관계/318
제5절 한국의 지방자치와 정당정치의 방향 319
제14장 지방재정
제1절 지방재정의 의의 320
1. 지방재정의 개념/320
2. 지방재정의 특징/320
3. 지방재정의 기능/322
4. 지방재정의 운영 원칙/323
제2절 지방재정과 국가 관여 324
1. 재원 부여권/324
2. 재정적 격차 해소/324
3. 국민적 최저 수준의 유지/324
4. 국가재정의 일부분/325
제3절 국가재정과 지방재정 325
1. 국가재정과 지방재정의 규모 비교/325
2. 중앙정부의 지방재정 지원 현황/327
제4절 지방재정력 328
1. 지방재정력의 개념/328
2. 지방재정력: 지방재정자립도 지방재정자주도/329
3. 지방재정력 평가의 대안(재정력지수)/334
제5절 지방재정력의 강화 방안 338
1. 국토의 균형 발전/338
2. 자치재정권의 강화/338
3. 의존재원의 개선/339
제15장 지방재정조정 제도
제1절 지방재정조정 제도의 의의 341
1. 지방재정 조정의 의의/341
2. 지방재정 조정의 기능/342
3. 지방재정 조정의 유형/342
제2절 중앙정부의 지방재정조정 제도 344
1. 지방교부세/344
2. 국고보조금/354
제3절 광역자치단체의 기초자치단체 지방재정조정 제도 358
1. 자치구 조정교부금/358
2. 시 군 조정교부금/361
3. 시 도비 보조금/363
제16장 지방자치단체의 수입
제1절 지방재원의 의의 365
제2절 지방재원의 종류 365
제3절 자체수입 366
1. 지방세 수입/366
2. 세외수입/375
3. 공기업 수입/377
4. 지방채 수입/378
제4절 의존재원 381
제17장 지방재정의 현황과 과제
제1절 지방재정 구조의 현황 382
1. 지방재정 구조의 취약/382
2. 자치단체 간의 재정 불균형/383
제2절 세입 측면의 과제 384
1. 지방세/384
2. 세외수입/389
제3절 세출 측면의 과제 391
1. 주민 1인당 세출예산액의 증가/391
2. 자체사업의 비중 감소/392
3. 보조사업의 비중 증가/393
4. 사회복지비의 비중 증가/394
5. 행정운영비 비중 증가/399
제18장 자치경찰
제1절 시 도자치경찰위원회 401
1. 위원/401
2. 소관 사무/403
3. 심의 의결/404
4. 위원회의 운영/405
5. 사무기구/405
제2절 시 도 경찰청 및 경찰서 406
1. 시 도 경찰청장/406
2. 시 도 경찰차장/406
3. 경찰서장/407
제3절 지방자치와 자치경찰의 문제점 407
1. 자치경찰위원의 임명/407
2. 자치경찰공무원에 대한 임용권/408
제19장 지방자치의 발전 방향
제1절 서론 410
제2절 지방자치의 환경 변화 411
1. 정보화/411
2. 도시화/411
3. 고령화/412
4. 세계화/412
5. 분권화/412
6. 민주화/413
제3절 지방자치의 발전 방향 413
1. 주민 참여의 활성화/413
2. 자치권의 확대/414
3. 사무의 적정 배분/415
4. 행정적 재정적 능력의 강화/416
제4절 결론 416
참고 문헌/419
찾아보기/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