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9887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5-05-07
목차
머리말/3
PART 1 도시행정의 기반
CHAPTER 01 도시행정 환경의 변화와 과제_[이병준] 15
1. 도시환경 변화 개요 16
2. 도시와 도시행정 17
3. 도시행정 환경의 변화와 과제 22
4. 새로운 도시행정의 구성 36
5. 새로운 도시행정 과제에의 대응 38
CHAPTER 02 지방의 인구문제와 청년정책_[김진아] 41
1. 인구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42
2. 인구변화의 현황과 전망 42
3. 인구감소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 46
4. 인구위기 대응정책 48
5. 인구위기 극복을 위한 제언 52
CHAPTER 03 도시행정과 메가시티_[김진수] 55
1. 메가시티 이슈 대두 56
2. 메가시티의 개념 및 필요성 57
3. 정부․국회 메가시티 추진동향 59
4. 최근 메가시티 이슈 66
5. 메가시티 경쟁력 강화 방안 74
6. 메가시티의 성공적 추진을 기대하며 79
CHAPTER 04 정보통신, 빅데이터, 통계_[임성은] 83
1. 개요 84
2. 전자정부 86
3. 디지털 플랫폼 정부 90
4. 데이터 관련 법률과 활용 94
5. 향후 발전방안 96
CHAPTER 05 도시브랜드와 도시경쟁력_[강현철] 99
1. 지방자치와 도시브랜드 100
2. 도시브랜드와 도시경쟁력 101
3. 도시브랜드 법적 근거 및 정책 사례 110
4.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시브랜드 추진 방향 119
PART 2 지속가능한 주거 및 도시재생
CHAPTER 06 주거환경 정비: 빈집정비를 중심으로_[이자은] 127
1. 빈집의 전염성 128
2. 빈집정비, 왜 어려운가? 132
3. 빈집정비를 위한 그동안의 노력 139
4. 빈집정비를 위한 앞으로의 노력 142
CHAPTER 07 도시재생정책의 등장과 진화_[유병권] 145
1. 도시재생정책의 등장 146
2. 도시재생제도 147
3. 도시재생정책 149
4. 평가 및 전망 160
PART 3 균형적 공간발전과 포용적 도시경제
CHAPTER 08 지역혁신정책의 종언과새로운 탐색을 위한 소고_[이흥권] 167
1. 중앙 주도 지역혁신의 시대, 종언을 고하다! 168
2. 우리나라 지역혁신정책의 제도적 발전과정 169
3. 지역혁신정책 진단, 지역의 객체화․정책 무대화 171
4. 지역혁신 정책과정의 전환 방향 184
CHAPTER 09 지방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 그 한계 및 방향: 서울시를 중심으로_[유기현] 187
1. 지역불균형의 확대와 고민 188
2. 서울시 지역 간 균형발전정책 및 현황 192
3. 정책의 한계 및 방향 모색 201
4. 포용적 도시공간의 기대 208
CHAPTER 10 지역 고용정책 현황 및 개선방안_[김용탁] 213
1. 지역 고용정책의 등장 214
2. 지역 중심의 고용정책에 대한 논의 215
3. 지역 고용정책의 문제점 223
4. 지역 고용정책 개선방안 226
CHAPTER 11 지속가능한 도시사회를 위한마을공동체와 사회적 경제_[염일열] 231
1. 개요 232
2. 도시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대안은 무엇인가? 232
3. 도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할 해법, 마을공동체 239
4. 함께 살아가는 도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한사회적 경제 244
5. 지속가능한 도시사회 구축 253
PART 4 회복력 있는 도시관리
CHAPTER 12 안전한 도시와 재난관리_[주필주] 259
1. 재난관리의 패러다임 전환 260
2. 재난 개념과 재난관리 261
3. 안전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제도적 노력 265
4. 변화에 강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리질리언스 전략 270
5. 불확실성 시대, 도시 안전정책의 방향 274
CHAPTER 13 웰빙, 의정갈등 시대의 공공보건의료_[임성은] 279
1. 건강과 보건의료의 주요 개념 280
2. 보건의료시스템 282
3. 의정갈등과 관련한 주요 이슈 285
4. 우리나라 보건의료의 발전방안 297
PART 5 도시행정의 운영
CHAPTER 14 도시행정 평가와 메타평가_[김병철] 303
1. 도시행정 평가 개관 304
2. 도시행정 평가 메타평가 311
3. 도시행정 평가 사례 321
CHAPTER 15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의 제도적 특성과정책 변화, 그리고 향후 과제_[김영단] 329
1. 공공기관 지배구조의 원칙 330
2. 공공기관의 실질적인 통제 수단으로서경영평가와 제도적 변화 333
3. 정책환경 변화에 따른 지방공기업경영평가 지표체계 개편 337
4. 향후 개선과제 343
CHAPTER 16 지방정부의 국정참여제도_[이병준] 347
1. 지방정부 국정참여제도의 배경 348
2. 중앙-지방정부의 관계 349
3.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국정참여제도 351
4. 선진 외국의 지방정부 국정참여제도 360
5.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국정참여제도 발전방안 371
CHAPTER 17 도시의 미래와 정책 방향_[서순탁] 377
1. 도시의 미래 378
2. 미래도시의 정책 방향 381
3. 미래 도시행정가의 역할 383
찾아보기/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