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76460790
· 쪽수 : 448쪽
· 출판일 : 1999-05-10
책 소개
목차
1. 선진 유가 - 정치와 윤리의 일체화, 그 동양적 전통의 출발점 (이승환)
전통 질서의 붕괴와 유가의 현실 인식 / 예禮적 질서의 회복과 그 정치적 표현 / 내면적 도덕과 외재적 규범의 조화 / 현실에서의 실패와 '유가적인 것'의 생명력
2. 선진 묵가 - 논리성과 실용성으로 무장된 보편애의 세계 (정재현)
묵가의 성격과 문제 의식 / 규범의 객관적 기준 - 논리성과 실용성 / 보편애(겸애)와 지식의 객관성 / 비중국적 사유의 중국화
3. 선진 도가 - 유목적적 세계상에 대한 반동 (박원재)
선진 도가의 사상적 지형도 / 하나의 출발점 - '자연' / 제도와 탈제도의 스펙트럼 / '자연'이라는 화두가 남긴 것들
4. 선진 법가 - 세습적 신분제에서 기능적 관료제로 (이재룡)
새로운 질서에 대한 요구와 법가의 등장 / 법가의 이론적 토대 / 법가 사상의 3요소 / 법가의 주인공들 / 법가 사상의 역사적 명암
5. 진한대 도가 - 통일 시대를 위한 철학적 구상과 그 전환 (이석명)
통일 시대의 등장과 황로학 / '백가쟁명'에서 '백가합류'로 / 전기의 외적 지향과 후기의 내적 모색 / 황로학과 황로학 이후의 도가
6. 한대 경학 - 제국의 논리와 제국의 학문 (문재곤)
한 제국의 등장과 경학 / 경학의 성립 과정과 동중서의 「천인삼책」 / 제국적 힘의 논리와 유가적 가치의 결합 / 경학 국헌화로 가는 길 / 경학의 뒤안길
7. 위진 현학 - 자연과 명교, 그 갈등과 조화의 변주곡 (원정근)
자연 질서의 이상과 도덕 질서의 현실 / 자연과 명교를 둘러싼 새로운 흐름 / 자연과 명교의 대립과 충돌 / 자연과 명교의 융합과 화해 / 위진 현학이 남긴 것
8. 위진남북조 불교 - 불교의 중국화와 중국의 불교화 (박태원)
얽혀 있는 두 힘 / 제국의 붕괴와 불교 착근의 토양 / 정통과 비정통의 갈등 그리고 격의 불교 / 불교 토착화의 두 갈래 길 / '불교'와 '중국'의 만남이 갖는 의미
9. 수당 불교 - 현세주의와 정신주의의 융화 (이효걸)
통일 전 단계까지의 불교의 중국화 과정 / 불교 이론의 자주적 모색 / 이론 불교에서 실천 불교로 / '중국 불교', 그 이후
10. 북송 성리학 - 유학의 부흥과 '이단'의 그림자 (김병환)
새로운 지식인층과 북송 유학 / 유학에 대한 소명 의식과 타자를 향한 시선 / 성리학적 본체론과 인성론의 전개 - 주돈이와 장재 / 성리학적 전통의 갈림길 - 정호와 정이 / 북송 유학이 잃은 것과 얻은 것
11. 남송 성리학 - 주자학적 도학의 완성과 사상적 도전들 (박경환)
남송의 역사적 조선과 사상의 갈래 / 수기 중심과 경세 중심 유학의 갈등 / 수기 중심 유학 내부의 갈등 / 주자학적 도학의 완성이 갖는 의미
12. 명대 양명학 - 성리학적 이상과 현실의 틈새 메우기 (윤천근)
성리학적 모순의 시대 / 성리학적 질서의 수호를 위한 신념 / 삶의 현실과 함께하는 진리 / 맹자, 주희 그리고 왕수인 / 사상가의 책임과 현실 사이
13. 청대 철학 - 탈성리학적 경향과 전통 철학의 황혼 (유흔우)
명청의 교체와 경세치용학의 등장 / 경세치용학에서 고증학으로 / 고증학의 토대 - 기철학과 욕망 긍정 / 전통 철학의 마지막 모습
14. 청말 변법 운동 - 서양 배우기와 공자 되세우기 (홍원식)
역사상 최대의 위기 / 변법의 길 - 입헌군주제와 공자의 복원 / 공자 되세우기 - 변화와 인仁의 철학 / 공자와 서양의 만남, 그 이후
15. 현대 신유가 - 서양의 도전에 대한 동양의 응답 (김제란)
동서 문화의 충돌과 근대화의 두 갈래 길 / 도덕적 형이상학의 확립 / 전통 철학의 현대화 / 열려 있는 물음 - 동서 철학의 융합
16. 모택동 주의 - 중국적 사회주의로 가는 혁명과 모색의 길 (유동환)
중국 현대철학사의 세 원천 / 위기의 시대 - 반식민지 반봉건 사회인 근대 / 계몽의 시대 - 반봉건에서 사회주의로의 전환 / 혁명의 시대 - 신민주주의 사회로의 길 / 혼돈을 넘어 새로운 모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