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과 대한제국 의례의 경계

조선과 대한제국 의례의 경계

이현진 (지은이)
신구문화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050원
33,950원 >
35,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3,500원
31,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과 대한제국 의례의 경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과 대한제국 의례의 경계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76682628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22-03-04

책 소개

명성왕후/황후의 국장을 중심으로 조선-대한제국 국가 의례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본서의 주요 목적이지만 그 당시 시대상을 살펴 현재의 양국 관계를 다시 들여다보는 것도 못지않게 중요하다. 과거와는 면면이 달라진 현 시점에서 과거사의 해결을 선제로 관계 개선이 하루 속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목차

머리말 005

서 론 021

제1장 조선의 왕후 칭호 031
제1절 고려말 조선초 왕후의 칭호 정비 033
제2절 조선의 왕후를 가리키는 여러 칭호 042

제2장 조선의 왕후 국장 절차와 변화의 계기 051
제1절 국가전례서에 규정된 왕후 국장 절차 053
1. 국가전례서의 국장 규정: 『국조상례보편』 053
2. 국왕·왕후 국장 절차의 차이 060
제2절 명성왕후 시해 직전 조선의 위상과 의례의 변화 070
1. 청일전쟁과 조선의 자주독립: 제후국인가 천자국인가 070
2. 개국기년(開國紀年)과 의례 변화의 예고 075

제3장 김홍집 내각기 명성왕후 국장 085
제1절 명성왕후 시해와 왕후의 죽음 공표 087
1. 명성왕후 시해와 폐서인(廢庶人) 087
2. 왕후 위호(位號) 회복과 죽음의 공식 선언 098
제2절 국장의 시작과 건양(建陽) 선포 101
1. 국장의 시작과 전개 101
2. 연호 건양의 선포와 국장 138

제4장 아관파천과 명성왕후 국장 155
제1절 아관파천과 고종 주도의 국장 157
1. 아관파천 단행과 김홍집 내각의 몰락 157
2. 국장 담당자의 교체와 국장 중지 165
제2절 빈전의 경운궁 이봉(移奉)과 국장 재개 179
1. 경복궁에서 경운궁으로의 빈전 이봉 179
2. 산릉 재확정과 국장 재개 194

제5장 경운궁 환어(還御)와 대한제국 선포 223
제1절 경운궁 환어와 국장 지연 225
1. 아관에서 경운궁으로의 환어 225
2. 시호 개정과 산릉 개봉표(改封標) 232
제2절 대한제국 선포와 황후 책봉 243
1. 국장 지연과 연호 광무(光武)의 선포 243
2. 황제 즉위와 황후 책봉 257

제6장 명성황후 국장과 의례 변화 289
제1절 발인(發引)부터 부향(祔享)까지 291
1. 국장 재개와 황후 국장 절차 논의 291
2. 발인부터 부향까지 국장 전개 330
제2절 연제(練祭)부터 부묘(祔廟)까지 366
1. 연제와 상제(祥祭) 366
2. 담제(禫祭)와 부묘 392

제7장 명성황후 국장의 특징 415
제1절 의식 절차 417
1. 왕후 국장 의절과 주요 의절 거행 시점 417
2. 황후 국장 의절과 주요 의절 거행 시점 427
제2절 용어와 도설 448
1. 용어의 변화와 용례 448
2. 왕후·황후 국장 도설의 비교 453

결 론 575

참고문헌 590
찾아보기 601

저자소개

이현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연구부교수 및 인문사회과학부 겸임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한림대학교 부설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문 연수 과정을 이수했다. 저서로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조선 왕실의 상장례』가 있고, 공저로 『종묘와 사직』, 『한양의 탄생』, 『조선의 국가 제사』, 『영·정조대 문예중흥기의 학술과 사상』, 『조선시대 다스림으로 본 성저십리』, 『한국의 수도성 연구』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조선시대 종묘의 부묘 의례와 성격」, 「대한제국의 선포와 종묘 제도의 변화: 七廟의 구성과 황제 추존, 신주 改題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장생전(長生殿)의 설치와 운영」, 「고종대 경복궁 중건에 참여한 別看役의 성격」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본서는 제후국 조선에서 천자국 대한제국으로 거듭나는 여정에서 명성 왕후/황후의 국장을 통해 의례의 변화를 밝히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는 국가 의례의 변화가 처음으로 구체화된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명성황후의 죽음을 계기로 상장(喪葬)으로 대표되는 흉례(凶禮)가 다른 국가 의례인 길례(吉禮), 가례(嘉禮), 빈례(賓禮), 군례(軍禮)보다 앞서 수면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곧, 국가 의례 ‘변화’의 시작에 명성왕후/황후의 국장이 출발점이 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서에서 필자가 밝히고자 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조선의 왕후를 어떻게 일컬었는지 칭호부터 정리하고자 한다. 본서에서 주요하게 다루고자 하는 내용이 명성왕후에서 명성황후 로 신분이 바뀌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의례의 변화이다. 그렇다면 선제적인 작업으로 왕후의 칭호부터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조선 초기 왕후의 칭호가 어떻게 정비되어 가는지 고려말부터 검토하며, 이후 조선에서 왕후를 가리키는 칭호에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전반적으로 파악해보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조선의 왕후가 세상을 떠난 뒤 치르는 국장 절차를 검토한 뒤 어떠한 상황으로 인해 절차가 변화하게 되는지 그 계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전자는 조선 왕실의 상장례를 최종 정비하면서 편찬한 『국조상례보편』(1758, 영조 34)을 주요 문헌으로 삼아 정리할 것이다. 후자는 을미사변이 일어나기 전 조선의 국내외적 위상의 변화와 그것이 의례의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게 되는지를 짚어보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김홍집 내각기에 명성왕후가 시해되고 우여곡절 끝에 국장을 치르게 되는 과정을 정리하고자 한다. 명성왕후가 시해되고 시해 직 후 국장을 치르지 못하고 시간이 흐른 뒤에 시작하게 된 과정, 본격적인 국장의 전개, 그 와중에 연호 건양의 선포와 태양력의 사용으로 인한 향후 국가 의례 시행의 난항 예고 등을 추이별로 검토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명성왕후의 시해로 위협을 느낀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파천하는 과정과 그로 인한 정치세력의 교체, 그리고 국장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가를 차근차근 다루고자 한다. 무엇보다 국장의 변화가 주목되는데 김홍집 내각 시절에 진행한 국장이 어느 부면에서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조명하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긴 고종이 경복궁이 아닌 경운궁으로 돌아오고, 그 이후 연호 광무의 제정과 대한제국의 선포, 고종의 황제 즉위와 명성왕후의 황후 책봉 등 당시 국내 사정을 두루 정리하고자 한다. 국체가 달라진다는 것은 국장의 격과 직결되므로 향후 국장의 변화를 예고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정치적으로 굵직한 사건들은 국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때 고종이 국장을 어떻게 진행시켜 나가는지에 대해서도 주목하고자 한다.
제6장에서는 명성왕후의 황후 책봉으로 인해 왕후 국장이 아닌 황후 국장을 치르게 된 상황에 직면하여 어떠한 논의를 거치며 국장을 진행하고 마무리짓는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황후 국장을 처음 치르는 만큼 어떤 문헌을 참고하고 어떤 사례를 근거로 드느냐는 초미의 관심사이다. 이는 조선의 왕후 국장과의 차이를 드러내는 지점이기도 하므로 비교를 통해 그 차이도 드러내고자 한다. 단 한 번도 치르지 않은 황후 국장이기에 치르면서 겪는 어려움도 있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
제7장에서는 이제까지 정리해 온 명성왕후/황후 국장을 통해 이것의 특징을 짚어보고자 한다. 오랜 기간에 걸쳐 많은 일들을 겪으며 국장을 치르고, 중간에 황후 국장으로의 전환도 있었다. 조선시대 일반 왕후의 국장과 어떤 부면에서 어떻게 달라지는 것인가에 주안점을 두되 제6장과의 차별을 두기 위해 좀 더 구체적으로 심도 있게 다루고자 한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그동안 검토한 문헌을 중심으로 의식 절차, 용어, 도설 세 부 분으로 나누어서 살펴보려 한다. 비록 세 부분을 중심으로 검토하지만 당 시 국내외적 상황을 고려할 때 조정에서 고심한 흔적을 엿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