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의 왕비 기록으로 만나다

조선의 왕비 기록으로 만나다

이현주, 이현진, 이영춘, 박현모, 이숙인, 한희숙, 이종덕, 김범, 지두환, 이순구, 김학수, 이근호 (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의 왕비 기록으로 만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의 왕비 기록으로 만나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58664206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8-11-30

책 소개

고전탐독 8권. 태조의 비인 신의왕후 한씨의 지문부터 영조의 비인 정성황후 서씨까지 역대 왕후 31인에 대한 이야기를 한글로 수록한 <열성후비지문>. 이 책은 31인의 왕비 중 13인의 지문과 행록 등을 통해 왕비의 일생을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재구성한 책이다.

목차

책머리에
1 신덕왕후, 왕후로 인정받지 못한 왕비 이현진
2 원경왕후, 친정의 몰락과 함께 사랑도 끝나다 이영춘
3 소헌왕후, 온유함으로 역경을 이겨내다 박현모
4 정순왕후, 비운과 연민의 아이콘 이숙인
5 정희왕후, 조선왕조 최초로 수렴청정을 하다 한희숙
6 소혜왕후, 완벽한 왕비의 삶을 담다 이현주
7 단경왕후, 살아서도 죽어서도 그리움 그지없네 이종덕
8 문정왕후, 가장 강력한 여성 권력자 김범
9 장렬왕후, 예송과 환국의 소용돌이를 겪다 지두환
10 인선왕후,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이순구
11 명성왕후, 자애로움과 통찰력을 겸비하다 이영춘
12 인현왕후, 당쟁에 시든 화합의 꿈 김학수
13 정성왕후, 사도세자의 후원자 이근호

저자소개

박현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9년 서울대학교에서 ‘정조(正祖)의 정치사상’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2001년부터 14년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정조와 세종, 정도전과 최명길 등 왕과 재상의 리더십을 연구했다. 2013년부터는 미국의 조지메이슨대학교, 일본의 ‘교토포럼’ 등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리더십’을 강의하는 한편, 시민강좌 ‘실록학교’를 운영했다(2022년 기준 3,600여 명 수료). 현재 여주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교수 및 세종리더십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며 대학교양 필수과목인 ‘세종리더십’을 대학생들에게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태종평전』, 『정조평전』, 『정조 사후 63년』, 『세종처럼』 등이 있고, 『몸의정치』와 『휴머니즘과 폭력』을 우리말로 옮겼다. 「경국대전의 정치학」, 「정약용의 군주론: 정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왕의 동선과 정치재량권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정조와 순조」 등 90여 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지두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8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마치고, 1990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2년까지 '태동고전연구소'의 한학연수 장학생으로 4년 간 한학을 연수하였다. 부산대학교 사학과(1981~1993) 교수를 거쳐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국사학과(1994~2016 현재)에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이숙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가족과 여성의 연구 시각으로 조선시대 사상사를 읽고 쓰는 중이다.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유교경전의 여성사상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아시아 학술원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연구교수를 지냈고, 여러 대학에서 동양철학 및 한국철학을 강의해 왔다. 지은 책으로 『유교와 여성, 근대를 만나다』, 『또 하나의 조선』, 『신사임당』, 『정절의 역사』, 『동아시아 고대의 여성사상』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열녀전』, 『여사서』, 『오륜행실도』 등이 있다.
펼치기
이영춘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1년 울산시 울주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대학원 한국사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사편찬위위원회에서 편사연구사, 편사연구관, 연구편찬실장을 역임하였다. 2019년 현재 한중역사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오래 동안 조선시대 정치사와 사상사를 연구해 왔으나, 현재는 한중 관계사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조선시대 왕위계승연구』를 비롯한 다수의 저서와 10여 종의 번역서가 있다. 이 외에도 「철종초 신해조천 예론」, 「인조반정 후에 파견된 책봉주청사의 기록과 외교 활동」 등 수십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근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국사학과 부교수. 국민대학교에서 「영조대 탕평파의 국정운영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후기 탕평파와 국정운영』 『경기도의 세거성씨』 『공公, 천하의 기준이 되다』 외 다수의 저서가 있으며, 「영조 어제훈서류의 현황과 가치」 「조선후기 공신 녹훈의 정치적 배경」 「17세기 중반 홍여하의 정치 활동과 정치운영론」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한희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북도 문경군(현 문경시) 점촌읍에서 태어났다. 숙명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1991년부터 숙명여자대학교 역사문화학과에 재직 중이다. 어릴 때 문경새재에는 산적들이 많았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때는 흥미로운 옛날이야기로만 들었는데, 역사를 공부하며 그들은 왜 도적이 되었을까? 조선 후기에 비해 조선 전기의 농민 저항은 어떤 형태와 성격을 띠었을까 하는 궁금증에서 홍길동·임꺽정·장길산 등 도적 활동을 연구했다. 대표적 저서로는 『의녀-팔방미인 조선 여의사』(문학동네, 2012), 『역사학자가 쓴 인수대비-조선왕실 최고 여성지식인의 야망과 애환』(솔과학, 2017), 『조선왕실 이혼의 사회사–쫓아낸 자와 쫓겨난 여성들의 민낯–』(솔과학, 2022), 『한국역사입문 ②: 중세편』(공저, 풀빛, 1995), 『한국 역사속의 여성인물』상·하(공저, 한국여성개발원, 1998), 『사회사로 보는 우리 역사의 7가지 풍경』(공저, 역사비평사, 1998,), 『모반의 역사』(공저, 세종서적, 2001), 『조선여성의 일생』(공저, 글항아리, 2010), 『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공저, 글항아리, 2011), 『조선의 역사를 지켜온 왕실여성』 (공저, 글항아리, 2014), 『조선왕실 왕자의 생활』(공저, 국립고궁박물관, 2014), 『조선시대사』 2(공저, 푸른역사, 2015), 『조선의 왕비 기록으로 만나다』(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문화유산으로 본 한국여성인물사』(공저, 역사여성미래, 2021) 외 다수가 있다. 논문으로는 조선시대 도적 활동 관련 논문을 비롯해 조선시대 여성사·인물사·사회사·제도사 관련 수십 편이 있다.
펼치기
김학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북도 영천에서 태어나 인하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로 조선시대 지식문화사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끝내 세상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허주 이종악의 삶과 풍류』, 『구미 구암 김취문 종가』, 『김천 정양공 이숙기 종가』, 『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공저), 『조선사회 이렇게 본다』(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제주지역 유교 지식(知識)·문화(文化)의 수용 양상과 ‘제주학풍(濟州學風)’」, 「17세기 영남학파 연구」, 「조선중기 한강학파의 등장과 전개」,「존주론의 작동과 정치이념적 家의 출현」, 「鄭經世·李埈의 穌齋觀」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순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조선시대 여성사로 석사, 박사를 받았다. 오랫동안 국사편찬위원회에 근무하면서 조선왕조실록, 일기류 등을 통해 연구의 폭을 넓혔다. 서울시 문화재위원, 서울 역사도시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조선의 가족 천개의 표정』(2011), 공저로 『혼인과 연애의 풍속도』(2005),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2012), 『한국여성사 깊이읽기』(2013), 『한국의 과학기술과 여성』(2019) 등이 있다.
펼치기
김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0년 서울 출생.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이다. 조선전기 정치사를 연구해 고려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저서에 『사화와 반정의 시대』 『연산군: 그 인간과 시대의 내면』 『사람과 그의 글』, 『민음 한국사―15세기』(공저) 등이 있고, 번역서에 『유교적 경세론과 조선의 제도들: 유형원과 조선후기』(제임스 팔레), 『조선왕조의 기원』(존 던컨), 『무신과 문신』(에드워드 슐츠), 『조선의 변방과 반란, 1812년 홍경래 난』(김선주), 『동아시아 세계질서의 종막』(김기혁)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현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연구부교수 및 인문사회과학부 겸임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한림대학교 부설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문 연수 과정을 이수했다. 저서로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조선 왕실의 상장례』가 있고, 공저로 『종묘와 사직』, 『한양의 탄생』, 『조선의 국가 제사』, 『영·정조대 문예중흥기의 학술과 사상』, 『조선시대 다스림으로 본 성저십리』, 『한국의 수도성 연구』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조선시대 종묘의 부묘 의례와 성격」, 「대한제국의 선포와 종묘 제도의 변화: 七廟의 구성과 황제 추존, 신주 改題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장생전(長生殿)의 설치와 운영」, 「고종대 경복궁 중건에 참여한 別看役의 성격」 등이 있다.
펼치기
이종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국어학(국어사) 전공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